• Title/Summary/Keyword: 반박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about Myeonggok(明谷) Choiseokjeong(崔錫鼎)'s persuasive style(論說類) proses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의 논설류 산문 연구)

  • Kwon, Jin-ok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70
    • /
    • pp.91-117
    • /
    • 2018
  • This paper examines the persuasive style(論說類) proses of Myeonggog(明谷) Choi, seokjeong(崔錫鼎, 1646~1715). He is a disciple of Namguman(南九萬) and Parksechae(朴世采), and is a man who played an active part by political soron(少論) leader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It is also a central figure that links the genealogy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leads to Namguman(南九萬)-Choiseokjeong(崔錫鼎)-Chotaeeok(趙泰億). He wrote total 14 persuasive style prose. The time of creation is from around 1671 until the end of life. In this paper, the preoses to be analyzed are Sunukron(荀彧論), Bujadaegaron(夫子待賈論) and Muneongyebyeon(文言系辭辨). The reverse idea that reverses the existing discussion is outstanding, and the work which is unique in composition is Sunukron(荀彧論). Bujadaegaron(夫子待賈論) is a work that uses the ryubi(類比) to increase persuasiveness and converts the existing perspective. Muneongyebyeon(文言系辭辨) is a work that attempted to harmonize in the formality of vocabulary, sentence and composition while showing the logical perfection to dismiss the counter-argument's prerequisite. For example, Muneongyebyeon(文言系辭辨) consists of a total of five paragraphs in aspect of composition, each paragraph arranged in good order. In addition, this work presented sequential arguments, used the incremental method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rguments as it moves backward.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 Lee, Dong-Hwa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1
    • /
    • pp.143-157
    • /
    • 2016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games as a way to provide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ith doing mathematics. The game had induc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ransforming the game, the teachers have been able to experience of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generat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Based on this, we discuss the role of mathematical games as a method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node management system for secure communications in MANET (MANET에서의 안전한 통신 보장을 위한 노드 관리 기법)

  • Kim Tae-Eun;Lee Young-Gu;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909-912
    • /
    • 2006
  • 최근 MANET에서 보안적인 요소를 추가한 라우팅 연구가 활발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방안들은 거짓 신고를 하는 악의적인 노드를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라우팅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고, 반박, 증명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악의적인 노드의 여러 가지 공격을 차단하고 라우팅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여러 가지 MANET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라우팅 경로 선정 및 관리의 보안적인 부분을 추가하였다.

  • PDF

'부정'을 통한 발전적 수학학습에 관한 연구

  • Han, Gil-Jun;Jeo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29-750
    • /
    • 2002
  • 고대 이후로 수학은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고, 지금도 발전 지향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학을 발전적 관점에서 보는 것은 기존의 수학적 지식을 답습하여 그 기능을 익히는 것보다는 수학을 끊임없이 창조, 발전시키는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수학에서 발전적 학습은 대상을 고정된 것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결과가 얻어졌더라도 보다 더 나은 방법을 알아본다거나 또는 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인, 보다 새로운 것을 발견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적 수학학습은 증명과 반박의 과정, What if not, 관점의 변경, 부정에 의한 방법 등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적인 수학학습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고찰하고 특히, 부정을 통한 발전적 학습 전개의 방법 및 과정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발전적 수학학습에 대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PDF

Blindsight and Phenomenal Consciousness (맹시와 현상적 의식)

  • 김효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89-193
    • /
    • 2002
  • 의식에 관한 가장 흥미 있는 최근의 과학적 작업들 중 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다수는 시각으로부터 나왔으며 그 중 특히 맹시 현상은 심리철학에 있어서 의식, 지각, 그리고 지향성의 개념에 문제를 제기한다. 맹시 환자들은 후두엽 피질의 두뇌 손상으로 인하여 생긴 암점(Scotoma) 때문에 현상적으로 의식적인 과정을 경험할 수 없으면서도 그들의 보이지 않는시야 영역에 대하여 보통 시각을 가진 사람들과 상당히 비슷하게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현상은 의식이 행동을 제어하는 데에 과연 인과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문제들, 심리철학에서 뿌리깊게 논의되어왔던 의식의 기능과 부현상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즉, 맹시 현상은 현상적 의식이 실재하지 않는 것이거나, 존재하더라도 어떤 인과적 효력을 가지지 않는 부수현상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강하게 지지하는 것 같다. 이와 함께 인간과 동일한 물리적 구성과 행동을 가지지만 의식적 경험을 결여하는 피조물인 좀비(zombie)의 이론적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 초맹시(super-blindsight)의 개념과 사례가 제안된다. 이 논문은 맹시 현상을 통해서 현상적 의식의 실재성을 부정하려는 논변들을 반박하고, 의식은 행위의 수행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인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역설적으로 맹시 사례가 오히려 현상적 의식이 인과적 역할을 가진다는 감각질 실재론의 견해를 지지할 수 있다고 논증할 것이다.

  • PDF

"道德經"與"素問.上古天眞論"中的養生思想 ("도덕경(道德經)"과 "소문(素問).상고천진론(上古天眞論)"의 양생사상(養生思想))

  • Jeong, Chang-Hyeo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7 no.4
    • /
    • pp.171-17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고대 양생사상을 대표하는 "도덕경"과 한의학 양생사상을 대표하는 "황제내경소문 상고천진론"을 중심으로 양생의 의의, 양생의 목표, 방법, 기본사유 등 몇 가지 방면에서 두 경전의 내용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양생은 섭생과 동일한 의미로 천지자연의 이치에 따라 인제 생명을 건강하게 유지하여 장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의 활동을 의미한다. 둘째, "상고천진론"과 "도덕경"이 모두 육체적 정신적으로 안정상태를 유지하여 질병이 없이 오래 사는 것을 양생의 목표로 삼고 있다. 셋째, 양생의 방법은 두 방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염담무욕(恬淡无欲)을 양생의 핵심요소로 삼았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노자는 '색(啬)'과 '반박(返朴)'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관념은 "상고천진론"에도 똑같이 보인다. 둘째, 근본 이치인 도(道)에 합치하는 것을 무병장수의 요건으로 삼았으며 구체적인 방법으로 천지자연의 사시음양(四時阴阳)의 규율을 따를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천인상응사상(天人相应思想)과도 상통한다.

  • PDF

The malicious node detecting system for secure communications in MANET (MANET에서 안전한 통신 위한 악의적 노드 검출 기법)

  • Kim, Tae-Eun;Lee, Young-Gu;Lee, Chang-Bo;Joo, So-Jin;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368-372
    • /
    • 2006
  • 최근 MANET에서 보안적인 요소를 추가한 라우팅 연구가 활발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방안들은 거짓 신고를 하는 악의적인 노드를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라우팅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고, 반박, 증명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악의적인 노드의 여러 가지 공격을 차단하고 라우팅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여러 가지 MANET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라우팅 경로 선정 및 관리의 보안적인 부분을 추가하였다.

  • PDF

교수학적 상황론에 입각한 효과적인 극한지도

  • Go, Sang-Suk;Yang, Pil-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47-69
    • /
    • 2001
  •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에서 학습자들이 오류를 범하기 쉽고, 어려워 하는 극한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한다. 현실적으로 교수활동은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일정한 수업시간동안에 교사와 학습자와의 관계속에서 이루어진다. 그 속에서 학습자들은 주변의 세계를 관찰함으로써, 혹은 추측과 반박을 통해 시행착오적으로 사고함으로써 혹은 모순, 어려움, 불균형을 일으키는 주위환경에 동화 ${\cdot}$ 조절을 함으로써 자신을 적응시켜 가면서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교수학적 의도가 미비한 환경은 학습자에게 획득하기를 기대하는 학습을 할 수 없게 한다. Brousseas의 교수학적 상황론에 근거하여 교육의 현장인 교실에서의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교수-학습의 중요성에 초점을 둔 본 논문은 Freudenthal의 역사발생적 원리에 의한 극한의 정의와 학습자의 오류수정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으로 Lakatos의 발견술을 제안하였다. 또한 극한 개념에 대해 실생활에서 학습자에게 쉽게 동화 ${\cdot}$ 조절이 일어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Computational Possibility of Natural-Language Understanding (자연언어 이해의 전산적 가능성)

  • Lee, Cho-Sik;Rhee, Young-Eu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637-646
    • /
    • 1992
  •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연언어를 처리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언어가 사고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연구가 성공한다면 인공지능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마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될 것이다. 이글은 이러한 연구와 관련하여 컴퓨터에 의한 자연언어 이해의 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먼저 그러한 이해가 불가능하다는 써얼의 비판을 시발로 해서, 써얼에 대한 라파포트의 재반박을 검토할 것이다. 라파포트는 자신의 인공지능 프로그램과 사고실험 등을 통해서 가능성을 인정한다. 그의 주장의 핵심은 컴퓨터가 자연언어를 이해하는데 있어 구문론적 이해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기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성립될 수 없다고 비판된다. 인간이나 컴퓨터가 자연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와 그 지시 대상, 그리고 언어의 사용자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기호학적 관점이 요구된다. 그결과 컴퓨터에 의한 자연언어 이해의 가능성에는 한계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 PDF

Contingency and the Argument of Explanation-Requirement (우연성과 설명의 요구 논증)

  • Kim, Sea-Hwa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4 no.1
    • /
    • pp.103-118
    • /
    • 2011
  • In his paper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and Contingency" Professor Choi deals with the debate between Hartry Field and Hale/Wright. In this famous debate, Hale/Wright and Field argue back and forth about whether some explanations for the contingency of mathematical objects need to be provided or not. In this paper, I raise 3 objections to Professor Choi's critical analysis of this deb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