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대운동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7초

움직이는 창 기법에서의 덩이글 난이도에 따른 글꼴 변화맹 (Font Change Blindness Triggered by the Text Difficulty in Moving Window Technique)

  • 박성준;현주석
    • 인지과학
    • /
    • 제34권4호
    • /
    • pp.259-275
    • /
    • 2023
  • 본 연구는 McConkie와 Rayner(1975)가 고안한 움직이는 창 기법을 사용해 덩이글의 내용 난이도에 따른 글꼴 변화맹의 발생 여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움직이는 창이 처치된 읽기 과제 수행 중 본문 글꼴과 다른 표적 어절을 제시하고 참가자의 시선이 해당 어절 위치에 도착한 순간 표적 어절의 글꼴을 본문과 동일한 글꼴로 변화시켰다. 변화 이전 표적 어절의 글꼴은 본문 글꼴이 세리프인 경우 산세리프 글꼴이었으며 혹은 반대로 산세리프인 경우 세리프 글꼴이었다. 읽기 과제 종료 후 참가자의 절반 이상(62.5%)이 글꼴 변화를 탐지하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각 문장 내에서의 안구 운동을 관찰한 결과 덩이글 내용에 대한 이해가 어려웠을 때 안구운동 회귀횟수와 응시시간이 증가했고 도약거리가 단축되었다. 특히 회귀횟수 증가는 본문 글꼴이 세리프였을 때 즉 표적 어절 글꼴이 산세리프에서 세리프로 변화한 경우에만 분명했다. 이러한 결과는 내용 이해와 무관한 감각적 간섭은 읽기 수행 도중 잘 탐지되지 않지만, 과제 본문에 대한 내용 이해가 어려워지면 오히려 탐지될 가능성이 증가함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예외적인 탐지의 가능성은 본문 덩이글 글꼴이 산세리프 글꼴인 경우보다 세리프 글꼴일 때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진동해머의 진동특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Vibrational Properties of Vibro-hammer)

  • 이승현;김응석;윤기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577-3581
    • /
    • 2013
  • 진동해머에 의해 시공되는 말뚝의 해석을 위해서는 진동해머의 진동특성을 파악함이 우선되어야 한다. 진동해머의 진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동시스템에 대한 지배방정식 구성에 있어서는 진동기만의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스프링작용력을 말뚝에 작용시키는 개념보다는 기진기와 말뚝이 연결된 단일 질량체를 고려하여 지배방정식을 구성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운전시 스프링상수가 증가함에 따라 진폭의 변화량은 크지 않았으나 스프링작용력은 대체로 스프링상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공운전시 기진기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진폭은 대체로 반비례관계를 보였으며 스프링작용력은 진폭의 변화율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스프링작용력과 변위의 방향은 회전운동 중인 편심질량이 가리키는 방향과 반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K-CBS 기반의 편측무시 정량적 평가 방법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Unilateral Neglect based on K-CBS using Virtual Reality)

  • 문호상;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1-148
    • /
    • 2020
  • 뇌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학적 질환인 뇌졸중과 관련이 있는 편측무시(Unilateral neglect)는 대뇌반구의 반대측 자극에 대하여 인지 또는 반응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주로 우측 대뇌반구 손상에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편측무시에 대한 행동적 평가 척도로 사용되고 있는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의 10가지 문항과 내용을 기반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이용한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콘텐츠는 편측무시 환자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신체 무시, 운동성 무시, 시각 및 공간 무시, 청각 주의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반응하는 동안의 시간과 머리 회전각을 측정함으로써 질환의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한 편측무시 진단과 이를 응용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재활 훈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와전류 충격완충장치의 실험적 동특성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Dynamic Characteristics of Eddy Current Shock Absorber)

  • 곽동기;황재혁;배재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1089-1094
    • /
    • 2007
  • 연구에서는 코일 스프링 및 작동유체가 없는 새로운 감쇠기의 개념을 소개한다. 이 감쇠기는 영구자석과 전도체 실린더로 구성된다. 극성이 반대인 자석은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이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영구자석과 전도체 실린더 사이의 상대운동은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와전류를 생성하고, 이로 인해 감쇠 유체를 대신할 수 있는 감쇠력을 만든다. 이러한 감쇠를 와전류 감쇠기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와전류 감쇠기의 중요한 장점은 감쇠 유체 및 어떠한 외부의 전력도 필요로 하지 않고, 비접촉식이며, 온도에도 민감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와전류 감쇠기를 제작하고 실험을 통하여 감쇠기의 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안된 와전류 감쇠기가 우수한 감쇠 성능을 가짐을 보였다.

RADARSAT 위성의 궤도결정과 자세결정을 이용한 SAR 영상의 자리매김 (GEOCODING OF SAR IMAGE USING THE ORBIT AND ATTITUDE DETERMINATION OF RADARSAT)

  • 소진욱;최규홍;원중선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83-196
    • /
    • 1998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과 수치지형표고모형(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지도를 만드는 과정이 소개된다. 영상좌표와 DEM의 지리적 좌표 계를 이어주기 위해서는 그 연결고리로써 위성의 궤도결정과 자세결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신호 취득 기하를 정밀하게 모형 화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 대상으로 삼은 RADARSAT의 궤도결정과 자세결정을 수행하였다. 궤도결정을 위해서는 영상신호 취득 시 관측된 영도 플러(zero Doppler) 경사거리를 이용하며, 자세결정을 위해서는 도플러 중심주파수(Doppler centriod)를 이용한다. 엄밀한 영상신호 취득기하를 확립함으로써 위성중심의 정밀한 영상 자리 매김 과정이 소개된다. 기존의 영상자리 매김이 순방향(영상좌표 계에서 지리적 좌표 계)으로 이루어진 것과는 반대로 영상 내에 지형 보정을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서 DEM을 이용하여 역 방향(지리적 좌표 계에서 영상좌표 계)으로 수행하였다. 위성과 지상목표물간의 운동은 지구중심 관성좌표 계에서 기술된다.

  • PDF

소성변형특성을 이용한 사실적인 직물 시뮬레이션 (Realistic Cloth Simulation using Plastic Deformation)

  • 오동훈;정문렬;송창근;이종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2권3호
    • /
    • pp.208-217
    • /
    • 2006
  • 본 논문은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특성을 갖는 직물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소성은 탄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물질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었을 때, 초기상태로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는 성질이다. 직물은 파티클 모델(particle model)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며, 파티클간의 상호작용은 바로 인접한 파티클간의 순차연결과 한 파티클 건너에 있는 파티클간의 교차연결을 설정함으로써 표현한다. 순차연결은 직물의 압축과 인장변형을, 교차연결은 직물의 굽힙변형을 표현한다. 연결은 스프링으로 모델링하는데, 순차연결은 탄성스프링으로, 교차연결은 변형정도에 따라, 탄성스프링 또는 소성스프링으로 모델링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파티클 모델에서 사용하는 탄성스프링에 소성스프링을 추가하여 직물의 소성변형 현상을 표현한 것이다. 그 결과, 굽힘주름과 영구변형된 구김주름, 그리고 주름이 직물 전체에 고루 분포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었다. 연결의 탄성스프링과 소성스프링을 모델링할 때 직물운동방정식 수치해법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직물 시스템의 강성 메트릭스 (stiffness matrix)가 indefinite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호안용 매트리스내 채움재의 한계_허용 전단응력에 관한 연구 (Study on Critical_Allowable Shear Stress of Filling Rocks With Mattress Revetment)

  • 배상수;이승윤;지홍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2호
    • /
    • pp.137-147
    • /
    • 2008
  • 본 논문은 호안용 매트리스내 채움재의 한계_허용 전단응력을 제시하였다. 먼저, 매트리스가 설치된 수로에서 유수력이 작용할 때 각 지점에 대한 유효전단응력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입자들의 한계운동을 결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Shields 계수와 전단응력을 이용한 채움재의 평균입경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정된 각 인자들을 근거로 철망내 개별 암석의 안정조건을 만족시키는 한계_허용 전단응력의 범위를 결정하였다. 또한 매트리스와 사석의 비교를 통해 매트리스의 거동에 관한 안정성을 규명하면서 안정적인 수리구조물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동일 한계전단 응력에 대한 소요 평균입경은 사석이 매트리스보다 대략 3배 정도 더 크다. 이와 반대로 동일 크기의 암석이 주어질 때 매트리스는 사석보다 3배 정도 더 큰 전단응력에도 저항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형수조를 이용한 머드유동층의 연행부상률 산정 (Estimation of Entrainment Rate of Fluid Mud using Annular Flume)

  • 김동호;김원규;황규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257-2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머드유동층의 연행부상률 산정을 목적으로 국내 최초로 환형수조를 이용하여 고령토 머드유동층에 대한 연행부상 실험이 수행되었다. 고령토로 제작된 머드유동층의 초기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총 6회의 연행부상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머드유동층의 연행부상률이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머드유동층의 부상률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사의 침강의 영향으로 인하여, 경계면에서 난류 운동에너지의 부가 손실이 유발되고, 결과적으로 리차드슨 수가 높은 경우에 염수 성층 구조일 때 보다 상당히 감소된 부상률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타 연구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환형수조는 성능 상에 문제가 없음이 간접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연행부상 실험 방법 및 실험 결과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을 통한 고유감각 구심로 차단이 동측 및 반대측 운동유발전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Induced Proprioceptive Deafferentation to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Motor Evoked Potentials)

  • 김민정;이경민;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8권2호
    • /
    • pp.158-162
    • /
    • 2006
  • Background: It has been proposed that proprioceptive input can modulate neural excitability in both primary motor cortices (M1) simultaneously, although direct evidence for this is still lacking.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proprioceptive accuracy of one hand is reduced after the application of one-Hz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for 15 minutes over the contralateral somatosensory cortex.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TMS-induced central proprioceptive deafferentation to excitability of both M1 as reflected in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motor evoked potentials (MEP). Methods: MEPs of both abductor pollicis bravis (APB) muscles were recorded using single-pulse TMS over right M1 in seven healthy subjects. Immediately after one-Hz rTMS was applied for 15 minutes over the right somatosensory cortex, the MEP measurement was repeated. The proprioceptive function of the left thumb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rTMS, using a position-matching task. Results: There was an increase in ipsilateral MEP after the rTMS: whereas no MEPs were recorded on the ipsilateral hand before the rTMS, MEPs were recorded in both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hand in three of seven subjects. At the same time, the mean log amplitude was reduced and the mean latency was prolonged in the contralateral MEP. Conclusions: rTMS-induced central proprioceptive deafferentation reduces the MEP generation in the contralateral hand, and fascilitates that in the ipsilateral hand. A further study with a larger sample seems warranted to confirm this finding and to elucidate the neurophysiology underlying it.

  • PDF

충격파를 이용한 레이저 어블레이션 기반의 마이크로 입자 가속 시스템 개발 및 약물전달 응용 (Development of shock wave induced microparticle acceleration system based on laser ablation and its application on drug delivery)

  • 최지혜;;이현희;여재익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7-59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피(transdermal) 및 국부적인(topical) 약물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입자가속시스템 개발에 있다. Ballistic 역학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방법을 통하여 체순환을 위한 경피 및 국부적 약물 전달이 가능하다. 얇은 금속 포일의 한 쪽 면에 마이크로 입자들을 얹어놓고 뒷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충격파가 발생하고, 이 충격파는 포일을 통과하며 포일의 끝에서 금속-공기간의 acoustic impedance 차이로 expansion wave로 반사되어 포일이 반대 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한다. 이 순간적인 변형으로 인해 포일에 붙어있던 마이크로 입자들이 가속되어 튕겨 나가게 된다. 입자들이 가속되는 속도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이들은 신체 조직을 침투할 만한 충분한 운동량을 갖고 있다. 입자들의 침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5${\mu}m$ 크기의 코발트 입자들을 연조직을 묘사하는 젤라틴에 가속시켰으며, 주목할 만한 침투 깊이를 얻으며 실험에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