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강접 접합부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6초

강구조에서 ㄱ형강을 이용한 반강접 접합의 간편 설계 (A Study on the Simple Design Method of Semi-Rigid Connection with Angle in Steel Structure)

  • 허명재;김홍근;최원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61-273
    • /
    • 2011
  • 최근에는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라는 시대적인 흐름과 요구로 인해서 철골 구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인 철골 구조의 해석은 접합부를 강접합과 단순접합으로 가정하여 수행되고 있는데, 강접합(Fixed connection)의 경우에는 절점에 연결된 각 부재의 변형 전 상대적인 각도가 변형 후에도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므로 접합부가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패널존 부분에 스티프너로 보강을 한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과 함께 강접 접합부의 제작비가 과도해짐으로 경제성 측면에서 스티프너 보강을 생략한 접합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단순접합(Pinned connection)의 경우에는 단순보처럼 거동하여 보와 기둥 사이에 휨모멘트가 전달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는 공장제작이 간단하고,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접합부에서 모멘트를 전달할 수 없어서 구조적인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강접의 도입은 단면치수 결정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현장에서의 부재조립 용이성, 골조 전체의 안전성 확보 등의 이점이 있어서 외국의 경우, 보-기둥 접합부의 실제적인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계속적인 노력을 해왔고 그 결과를 규준에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AISC의 LRFD 설계규준을 참고하여 국내 강재를 적용한 반강접의 구조해석을 실시해서 각 강재에 대한 자료은행을 만들 것이고 이상화된 접합부의 구조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경제성 측면, 단부 고정계수, 회전강성과 함께 반강접을 고려한 구조물의 설계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탄성계수 불확실성을 고려한 반강접 프레임 구조의 확률적 비선형 거동 해석 (Probabilistic Nonlinear Analysis of Semi-Rigid Frames Considering Random Elastic Modulus)

  • 김대영;노혁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1-19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반강접을 고려한 프레임 구조에서 강재 탄성계수의 불확실성이 프레임 구조의 비선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강재 탄성계수의 불확실성의 확률분포는 정규분포로 모델링 하였으며, 이러한 확률적 물성치를 반강접 프레임의 비선형 거동에 적용할 수 있는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레임의 비선형 거동 인수인 기하학적 비선형, 재료적 비선형, 그리고 접합부의 반강접에 의한 비선형 효과를 고려하여, Monte Carlo Simulation에 기반한 확률론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확률론적 해석을 위해 확률변수를 세 종류로 생성하여 사용하였다. 확정론적 해석의 결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확률론적 해석의 경우, 변위의 분산계수는 구조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그 값은 프레임구조의 구조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합요소를 이용한 볼트 접합부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Bolted Connections Using Joint Elements)

  • 변대근;윤성기;박성수
    • 전산구조공학
    • /
    • 제7권2호
    • /
    • pp.139-146
    • /
    • 1994
  • 볼트 접합부의 정확한 해석을 위하여 접합 요소와 볼트 요소 및 쉘 요소를 사용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접합면을 단순하게 이상화시키는 접합 요소와 장력을 갖는 볼트 요소를 도입하였고, 전체적인 계산과정은 2단계, 즉 제안된 방법에 의한 초기 강성의 결정과 뉴턴-랩슨법에 근거하는 호장법을 이용한 비선형 거동의 추적으로 구분하여 행함으로써 계산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앵글을 사용한 반강접 접합부와 모멘트 판을 사용한 접합부를 해석하여 기존 실험 및 해석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의 정확성과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볼트 접합부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짐의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며 접합부를 구성하는 판재의 3차원적인 변형의 해석도 무시할 수 없는 역할을 하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 PDF

U형 강봉을 사용한 PC 계단 접합부 개발 (Development of Improved PC Stair Connections Using U-Rods)

  • 장극관;서대원;천영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509-516
    • /
    • 201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현장작업을 최소화하고 공사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계단실의 경우 재래식 거푸집을 사용할 경우 골조공사의 품질저하와 다수의 인력투입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및 시공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 계단 접합부 상세를 개발하고, 제안한 접합부의 일체성확보와 사용성 및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성능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단순 핀접합 실험체에 비해 구속도의 증가, 내력, 강성 및 연성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강·반강 철골 접합부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system for figid and semi-rigid connection)

  • 장미;이상섭;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51-361
    • /
    • 2001
  • 골조의 보-기둥 접합부는 보통 강접합과 반강접합 또는 핀접합으로 구성된 분류체계에서 평가되어 진다. 대표적인 분류체계로는 EC3와 Bjorhovede등에 의한 체계가 있다. 그런데 EC3의 경우 강접합과 반강접합 사이의 경계값은 접합부의 모멘트 강도와 강성 면에서 너무나 높은 제한선을 가지고 있고, Bjorhovede등의 경우 강접합일 때의 거동을 표현하는데 부적한 강성을 갖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프링으로 모델링된 접합부를 갖는 비가새 1층 1경간의 골조를 대상으로 기둥에 대한 보의 강성비 ($\rho$)와 보에 대한 접합부의 강성비(k)로 완전 강접 골조의 임계하중과 접합부를 갖는 골조의 임계하중을 비교하여, 수정된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분류체계가 EC3나 Bjorhovede등과 비교할 때 실용적이고 실제적임을 실험데이터를 이용해서 검증하였다.

  • PDF

플로팅 구조물 주각부의 유한요소 해석

  • 송화철;김세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2-284
    • /
    • 2012
  • 해양플랜트의 관심의 증가로 사업의 수요가 많아지고 플랜트 사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플로팅구조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간의 발생 할 수 있는 집중응력으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이보시스템을 제안한다. 전이보시스템이 주각부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통해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 PDF

SS400 강재를 사용한 개량 T-stub 반강접합부의 역학적 거동 (The Structural Behavior of Semi-Rigid Connections with Reformed T-stub by Using of SS400 Steel)

  • 이명재;양명숙;조원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통권39호
    • /
    • pp.241-241
    • /
    • 1999
  • 강구조 건축물의 해석과 설계는 기둥-보 접합부가 완전강접이나 핀접합이라는 가정하에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경우의 접합부형태들이 반강접합의 거동을 보이고 있다. 필자 등은 개량 T-stub로서 SM490강재를 이용하여 반강접합부의 거동을 조사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S400강재로 된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반강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개량 T-stub요소의 인장, 압축실험과 해석 및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단조가력 및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로부터 개량 T-stub를 이용한 반강접합부의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명시적 호장법을 이용한 공간프레임의 반강접 탄소성 후좌굴 해석 (Semi-rigid Elasto-Plastic Post Buckling Analysis of Space Frame by Using the Explicit Arc-Length Method)

  • 이경수;한상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35-5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명시적 호장법을 사용하여 공간프레임의 반강접 탄소성 후좌굴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전 연구를 발전시켜 다양한 명시적 알고리즘의 호장법과 명시적, 묵시적 해석법에 동시에 적용 가능한 반강접 탄소성 공간프레임요소를 제안하였다. 다양한 명시적 호장법은 예측단계와 수렴단계에 명시적 해석법인 동적이완법을 적용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시적 호장법에는 명시적(예측단계)-명시적(예측단계) 호장법, 명시적(예측단계)-묵시적(수렴단계) 호장법, 묵시적(예측단계)-명시적(수렴단계) 호장법으로 구분된다. 또한 명시적 호장법에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된 반강접 탄소성 공간프레임요소는 오일러리안 유한변형이론에 의해 강체회전변형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대변위가 발생하는 기하학적 비선형 문제에 적용될 수 있고, 완전 탄소성 소성힌지 알고리즘에 의한 재료적 비선형성을 고려하였으며, 부재내부에 정적 응축된 회전 및 축방향 성분의 선형 스프링에 의해 접합부 반강접 특성을 반영하였다. 제안된 해석법을 이용하여 검증예제를 수행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된 다양한 명시적 호장법 및 공간프레임요소의 정확성을 검증한다.

상·하부 ㄱ형강 반강접 CFT 기둥-보 접합부의 단조 및 이력거동 (Monotonic and Hysteresis Behavior of Semirigid CFT Column-to-Beam Connections with a Top-Seat Angle)

  • 이성주;김주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1-20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CFT 합성골조에서 부분강접 접합부인 상 하부 ㄱ형강 접합부의 휨모멘트 내력을 구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고강도강 연결봉으로 조립된 합성 부분강접 CFT 접합부의 회전강성, 휨모멘트 내력 및 파괴모드를 연구하기 위하여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이 수행되었다. 부가적인 다양한 구조적 거동은 ㄱ형강의 두께 및 고강도 강봉 게이지 거리로 상 하부 ㄱ형강 접합의 파라미터에 대한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해석모델의 적합성은 유한요소해석 결과로부터 얻은 모멘트-회전각 곡선을 Richard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반강접 접합부의 요소인 개량 T-stub의 비탄성 해석과 약산식 (Inelastic Analyses and Simplified Equations for Improved T-stub Element Used at Semi-Rigid Connections)

  • 조재철;김원기;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통권40호
    • /
    • pp.271-279
    • /
    • 1999
  • 보와 기둥과의 반강접에 관한 최근 연구로서 기둥 면과 T-stub 플랜지 사이에 격리재를 설치하는 개량된 T-stub 요소를 개발하고 있다. 개량된 T-stub에 대한 비탄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비탄성 해석 방법은 기둥 면과 격리재 사이에 간격요소(gap element)를 적용하고, 고력볼트에 초기 응력을 부여하여 실험값과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다. 실무에서의 설계와 해석에 적용할 수 있는 약산식으로서 T-stub의 초기 강성도와 압축하중에 의한 소성내력에 관한 설계식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