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박판 모델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9초

플라스틱제품의 효율적인 모델링기법 (Efficient Modeling Method of Plastic Products)

  • 권병욱;이건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503-1511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는 얇은 물체를 모델링하기 위해 새로운 기법을 도입했는데, 그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다. Fig.(a)에서와 같이 먼저 사용자 는 박판으로 불리는 두께가 없는 얇은 판을 여러장 가지고 이들을 접거나, 오려내거나, 붙이는 등의 작업을 통해서 원하는 형상으로 모델링한다.각각의 박판의 형상의 입 력은 거의 모두 2차원 좌표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철판위에 선을 긋는 것과 같이 쉽게 박판의 형상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박판에서 임의의 부분을 오려내거나 임의의 박판을 붙이는 등의 작업을 통해서 원하는 형상으로 모델링한다. 각각의 박판의 형상의 입력은 거의 모두 2차원 좌표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 는 마치 철판위에 선을 긋는 것과 같이 쉽게 박판의 형상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박판에서 임의의 부분을 오려내거나 임의의 박판을 붙이는 등의 작업이 기존의 시스템 에서와는 달리 복잡한 입력이나, 수행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모델링 을 할 수 있다. 또한 곡면으로 된 박판 형상의 경우는 해당되는 모서리들을 곡선으 로 바꿈으로써 모델링 되도록 하였다. 박판의 모델링이 끝나면, 입력된 박판에 일정 한 두께를 부여하여 Fig.2(b)에서와 같이 부피를 갖는 입체(솔리드)로 변환하게 되는 데 이 작업은 Stroud에 의한 것과 같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SWATH의 구조해석을 위한 Thin-Walled Beam 모델 (Thin-Walled Beam Model for Structural Analysis of SWATH)

  • 이상갑;고윤섭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136-152
    • /
    • 1993
  • 정확하고 효율적인 해석적 박판보 모델을 개발하여 반복적인 과부하를 받고 있는 SWATH선의 전체적인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SWATH선을 단순한 채널형 박판보로 이상화하고, 박판보 모델은 기하학적으로 완전한 비선형 보를 응력성분으로 정식화하여 유한요소법에 의해 수치해석적으로 처리한다. 또한 복잡한 하중상태하의 재료의 비선형 거동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효율적인 주기적 소성모델도 고려한다. 이 박판보 모델은 단면에서의 응력분포를 국부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나타내고, 재료가 항복되어 가는 과정을 쉽게 추적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전단변형의 영향을 국부적으로 취급함으로서 변형과 전단응력의 분포를 보다 더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석적 박판보 모델에 의한 초기 설계단계에서의 해석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이 연구방법을 좀 더 진전시켜 보다 현실적인 박판보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 PDF

P-delta 효과를 고려한 박판 스프링 형 체크밸브의 압력전달 해석 및 실험적 검증 (Pressure Transfer Analysis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in Plate Spring Type Check Valve Considering P-delta Effect)

  • 황용하;응위웬 안 푹;황재혁;배재성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2-3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소형 압전유압펌프에 적용된 박판 스프링 형 체크밸브의 변형에 의한 이론적인 압력전달 비율을 계산하였다. 박판 체크밸브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유연체이며, 체크밸브의 변형은 챔버 압력이 부하 압력으로 전달되는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박판 체크밸브를 강체로 가정하였을 때와 유연체 모델일 때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각각의 모델에 대한 이론적인 압력 전달 비율을 계산하였고, 유연체 체크밸브 모델의 압력 전달 비율 계산을 위해 P-delta 효과를 고려하였다. 또한, 유연체 체크밸브 모델의 변형을 고려하여 계산된 압력 전달 비율의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는 박판 스프링 형의 체크밸브와 볼-박판 스프링 형의 체크밸브를 각각 적용하여 부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어진 각각의 부하 압력을 이용하여 실험적인 압력 전달 비율을 계산하였다.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를 이론적으로 계산된 압력 전달 비율과 비교하여 P-delta 효과를 고려한 박판형 체크밸브 압력전달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Warping 조건하에서 박판 폐단면 보의 동적 모드 해석 (Dynamic Mode Analysis of Thin Walled Closed Section Beams under Warping Conditions)

  • 유환신;천동준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67-374
    • /
    • 2012
  • 박판 폐단면을 갖는 프레임과 같은 보가 warping 조건하에서 동적 거동 특성이 어떠한가를 시뮬레이션과 시험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보는 단면은 비틀림 뿐만 아니라 warping에 의해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어떤 박판 단면을 갖는 보에서는 warping이 매우 커서 축방향과 전단방향 응력을 발생하고 보의 비틀림에 저항이 크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유한요소에서 warping restraint factor가 보의 변형 거동과 동적 모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유한 보 요소와 박판 요소 모델을 사용하여 정적변형과 고유주파수 및 모드해석을 시뮬레이션하며 이 결과를 시험 결과와 비교한다.

정사각 모자형 박판튜브의 에너지흡수특성 및 최적 용접간격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Optimal Welding Space of Square Hat Type Thin-walled Tube)

  • 이형일;김범준;한병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12호
    • /
    • pp.2703-271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점용접된 정사각 모자형 박판튜브의 적정 용접간격을 제시해보았다. 적정 용접간격은 에너지흡수 측면에 기준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실제 압괴특성을 반영하는 유한요소 모델이 확립하였다. 실제 압괴 특성을 반영하는 유한요소 모델은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1) 모자형 박판튜브의 압괴해석시 원활한 접힘을 유도하고 과도변형과 접촉에 의한 수치오류 및 비정상 압괴거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 요소크기와 해석시간에 대한 예비연구가 필요하다. (2) 다양한 용접간격의 유한요소모델들에 대한 압괴해석을 거쳐 주어진 폭에 대해 최대 에너지 흡수 용접간격 [식 (1)]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적용접 간격의 모자형 박판튜브는 후폭비 (t/w)가 커질수록 에너지흡수능력 이 증가한다. (3) 다양한 두께와 폭을 갖는 사각튜브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사각튜브 흡수에너지 예측에 있어 평균압괴하중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후폭비항으로 표현되는 수정된 평균 압괴하중으로 최적용접간격을 갖는 모자형 박판튜브의 흡수에너지식 (5)를 제시하였다. 식 (5)의 적용시, 주어진 폭에 대해 (최적)용접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식 (6)의 한계후폭비를 만족해야 한다.

박판 성형 공정의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마찰접촉 모델 (Frictional Contact Model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Sheet-Metal Forming Processes)

  • 금영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9호
    • /
    • pp.2242-2251
    • /
    • 1993
  • The mesh-based frictional contact model has been developed which does not rely on the spatial derivatives of the tool surface. Only points on the surface are evaluated from the description. which can then be simplified because of the relaxed demands placed on it. The surface tangents, normals, and corresponding derivatives at each finite-element node are evaluated directly from the finite-element mesh, in terms of the connecting nodal positions. The advantages accrue because there is no longer a need for a smooth tool surface to assure reasonable normals and derivatives. Furthermore, it can be shown that the equilibrium equations can only be properly written with a special normal derived from the mesh itself. The validity, accuracy, computation time, and stability of mesh-based contact model were discussed with the numerical examples of rounded flat-top and rough, flat-top rounded punch forming operations. Also, the forming process of a automobile inner panel section was simulated for testing the robustness of new contact model. In the discussion, the superiority of new model was examined, comparing with tool-based contact one.

혼합형 유한요소법에 의한 박판보의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Thin-walled Beams by Using a Mixed Finite Element Method)

  • 박성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99-107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박판보 구조물의 전단변형 효과를 보다 정확히 해석할 수 있는 모델인 불균일전단 뒤틀림 보이론에 대하여 혼합형 유한요소 해석법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혼합형 유한요소는 구조물의 변위 및 용력을 해석함에 있어서 변위형 유한요소에 비해서는 정도면에서 보다 균형 잡힌 해석 결과를 제공하는 특성이 있음을 밝힌다. 계산예로서, 단면의 형상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단면 박판보에 양단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는 전형적인 보의 굽힘-비틀림 연성 거동 문제에 대하여 개발된 유한요소 해석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박판성형공정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드로우비드 전문모델 개발(2부: 모델링) (Development of Drawbead Expert Model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Sheet Metal Forming Processes(Part 2:Modeling))

  • 금영탁;이재우
    • 소성∙가공
    • /
    • 제7권1호
    • /
    • pp.12-22
    • /
    • 1998
  • An expert drawbead model is developed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amping processes. The expert model calculates drawbead restraining forces and bead-exit thinnings with the forming condi-tions and drawbead size. The drawbead restraining forces and bead-exit thinnings of a circular draw-bead and stepped drawbead are computed by mathematical models and corrected by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based on experimental measurements. The squared drawbead preventing the sheet from drawing-in inside die cavity is assumed to have a very huge drawbead restraining force and no pre-strain just after drawbead. The combined beads are considered as a combination of basic draw-beads such as circular a drawbead stepped drawbead and squared drawbead so that the drawbead restraining forces and bead-exit thinnigs are basically sum of those of basic drawbeads.

  • PDF

박판성형공정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드로우비드 전문모델 개발(1부: 실험) (Development of Drawbead Expert Model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Sheet Metal Forming Processes (Part1:Experiment))

  • 이재우;금영탁
    • 소성∙가공
    • /
    • 제7권1호
    • /
    • pp.3-11
    • /
    • 1998
  • During the forming process of sheet metals, the drawbead in the die face controls a restraining force so that the sheet flows into the die cavity with tension. In order to investigate a drawgbead restraining force and a pre-strain just after drawbeads which are essential i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form-ing processes, the friction test and drawing test are employed. The experiments performed with a cir-cular bead stepped bead double circular bead and circular-and-stepped bead in the various forming conditions and bead sizes show that the restraining force varies linearly with the blank holding force. bead radius blank thickness and friction but the pre-strain nonlinearly does with them.

  • PDF

Fe-Ni-Co 박판의 동적 나노 압침법과 유한 요소법에 의한 표면 기계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Surface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formed Fe-Ni-Co Thin Foil by Dynamic Nano-indentation and Finite Element Methods)

  • 강보경;최용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4-124
    • /
    • 2017
  • Fe-Ni-Co 합금 박막(<$100{\mu}m$)을 황화물계 용액에서 전주공정으로 제조하였다. XRF로 측정한 박판의 평균 조성은 Fe-34 wt.% Ni-3 wt.% Co 이다. AFM으로 측정한 표면 조도는 35.2 nm 이다. 표면의 나노 경도는 평균 5.4 GPa 이었다. Oliver 모델을 적용한 구리 박막의 탄성하강강성도는 약 75 이었다. Alekhin 모델을 적용한 구리 박막의 마찰계수, 피로한계는 각각 0.134, 0.027 이었다. 유한요소법으로 평가한 Berkovich 형 나노압침선단의 하중분포를 이차원 선형 및 비선형 해석하면 1 [mN]의 정적하중을 가한 Fe-Ni-Co 박막은 약 576 [mN]로 예측되었다. 압침선단의 하중집중정도는 표면탐침현미경으로 관찰한 압흔의 변형정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