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박판재료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9초

강재의 압연유

  • 김재중
    • 기계저널
    • /
    • 제31권4호
    • /
    • pp.389-400
    • /
    • 1991
  • 압정가공은 열간압정과 냉간압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압정기와 피압정재의 종류에 따라 서도 분류한다. 열간압정에서는 알루미늄과 알루미늄합금을 제외하고는 종래에 오직 물만이 냉각겸 윤활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년에 와서 열간압정에서도 윤활유를 사용하게 됨으 로서 롤(roll)의 수명연장, 전력소비량의 저감 및 사상(finishing) 강판의 표면품질향상등에 극히 유효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한편 냉각압정에서는 압정유를 사용해 온 것이 100년 가까이 되는 역사가 있고, 특히 과거 십 수년간에는 상당히 광범위하게 연구가 이루어져서, 많은 실적을 갖게 되었다. 예컨대, 석도원판으로 대표되는 박판압정에 있어서는 고속고압하에서 판의 형상 및 표면정쟁성 향상은 물론이고 저온(에너지 절감, 작업성 개선) 저농도사용(원단위감소)이 이루어 지고, 나아가 장수명(액의 오염이 적은 것)의 압정유가 개발되었다. 또한 마대강 압정에 있어 서는 고윤활이면서도 ECL(electric cleaning line)의 성략도 가능한 압정유 즉 밀크린시트(mill clean sheet) 압정유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압정유의 역할을 살펴보면 열간 또는 냉 간을 불문하고, 롤과 재료간의 감마작용이 주가 되지만 기타 실용적으로는 (1)냉각성 (2)판의 끝맺음(finishing)성 (3)선정선 (4)방장성,비부식성 (5) 내노화성 (6) 오일.스테인(oil stain) (7) 급 유성 (8)액관리성 (9)비수처리성 10) 안전위생 (11)경제성 등을 열거할 수 있다.

  • PDF

박판 인장 시험에서 가공열의 영향에 관한 유한요소 해석 (A Finite Element Analysis of Deformation-Induced Heating in Tensile Testing of Sheet Metals)

  • 김용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80-688
    • /
    • 1989
  • 본 연구의 목적은 2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변형과 열전달의 복합된 열소성 문제를 해석하여 재료의 성형성에 대한 가공열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2차원 해석은 종래 단순 인장시험의 해석에 사용되던 1차원 해석에 비해 보다 정확한 해를 가지며 특히 넥킹의 발생 이후의 해석에 유용하다.

ESPI와 음향공진법을 이용한 Foil 재료의 동적탄성계수 측정 (Measurement of Dynamic Elastic Modulus of Foil Material by ESPI and Sonic Resonance Testing)

  • 이항서;김경석;강기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4-917
    • /
    • 2005
  • The paper proposes a new sonic resonance test for a dynamic elastic constant measurement which is based on time-average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TA-ESPI)and Euler-Bernoulli equation. Previous measurement technique of dynamic elastic constant has the limitation of application for thin film or polymer material because contact to specimen affects the result. TA-ESPI has been developed as a non-contact optical measurement technique which can visualize resonance vibration mode shapes with whole-field. The maximum vibration amplitude at each vibration mode shape is a clue to find the resonance frequencies. The dynamic elastic constant of test material can be easily estimated from Euler-Bernoulli equation using the measured resonance frequencies. The TA-ESPI dynamic elastic constant measurement technique is able to give high accurate elastic modulus of materials through a simple experiment and analysis.

  • PDF

복합재료 회전축의 진동 특성 및 안정성 해석 (Vibration and Stability of Composite Thin-Walled Spinning Shaft)

  • 윤형원;나성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83-1088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vibration and stability of a circular cylindrical shaft, modeled as a tapered thin-walled composite beam and spinning with constant angular speed about its longitudinal axis, and subjected to an axial compressive force. Hamilton's principle and the assumed mode method are employed to derive the governing equations of motion. The resulting eigenvalue problem is analyzed, and the stability boundaries are presented for selected taper ratios and axial compressive force combina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directionality property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it is shown that for a shaft featuring flapwise-chordwise-bending coupling, a dramatic enhancement of both the vibration and stability behavior can be reached. It is found that by the structural tailoring and tapering, bending natural frequencies, stiffness and stability region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ose of uniform shafts made of the same material. In addition, the particular case of a classical beam with internal damping effect is also included.

  • PDF

경계요소법에 의한 2차원 탄소성응력해석 (Two Dimensional Elasto-plastic Stress Analysis by the B.E.M.)

  • 조희찬;김희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21-62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Kelvin의 기본해와 초기응력 증분에 의해 정식화된 경계적분방 정식을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외력을 증가시켰을 때, 선형등방경화재에 국부적으로 생 기는 항복영역과 항복하중, 탄소성 응력해석등을 재료비선형문제로 해석하였다. 이 때 초기응력 증분을 결정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등가 소성변형률을 수렴판정으로 해석 하였지만, 이는 구분적인 선형 경화재와 온도 의존성 문제에는 적당하지 않으므로 암 기용일등은 등가응력과 응력-변형률 선도를 이용하여 수렴판정을 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소성역에서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곳에서는 피할 수 없는 오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계산된 초기응력 증분에 의한 초기 탄성변형률에너지 증분과 응력 -변형률선도로 부터 구해지는 초기 탄성변형률에너지 증분을 이용한 수렴판정으로 초 기응력증분을 결정하였다. 또한, 내부영역적분을 일부 해석적인 적분과 수치적분을 병행한 경우와 전부 수치적분방법으로 내압을 받는 실린더와 단순 인장하중이 작용하 는 양편 Ⅴ형 노치를 갖는 박판의 경우에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유한요소 법 프로그램인 NISA(numerically integrated elements for system analysis)로 구한 결과치와 비교, 고찰하였다.

레이저 절단공정에서 절단부재의 최적배치를 위한 네스팅 알고리즘 (Nesting Algorithm for Optimal Layout of Cutting parts in Laser Cutting Process)

  • 한국찬;나석주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2권2호
    • /
    • pp.11-19
    • /
    • 1994
  • 레이저 가공기술은 재료가공 분야에서 넓은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절단, 용접, 열처리 등의 가공분야에서 고정밀도와 자동화의 용이성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은, 고부가가치의 첨단응용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레이저절단은 타 절단법에 비교되는 절단정도, 열영향, 생산성, 작업 환경등의 각종 우위성으로 박판 및 후판절단분야에서 급속한 보급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현재 대 부분의 레이저 가공기는 CNC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레이저 절단의 경우 생산성증대 및 고 정밀화를 위하여 CAD/CAM인터페이스에 의한 자동화가 필연적인 상황이다. 뿐만아니라 고출력 레이저 발전기를 가공 기본체에 탑재한 탑재형 레이저가공기의 출현으로 대형부재의 절단이 가능 하게 되었으며, 더불어 절단공정의 무인화를 지향하는 각종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인화, 생산성증대, 작업시간단축과 러닝 코스트 및 재료의 절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컴 퓨터에 의한 자동 및 반자동 네스팅 시스템의 개발을 들 수 있다. 레이저에 의한 2차원 절단응 용분야에서의 네스팅작업은 설계가 끝난 각 부품의 절단작업의 전단계로서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네스팅공정이 완료되면 절단경로를 결정하고 가공조건과 함께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제어에 필요한 NC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네스팅 시스템이 일부 생산현장에 적용되고 있 으나 이러한 시스템들의 대부분이 외국에서 개발된 것을 수입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2차원 패턴의 최적자동배치문제는 비단 레이저 절단과 같은 열가공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블랭킹 금형, 의류, 유리, 목재등 여러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며 패키지의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네스 팅작업은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요구사항과 구속조건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알고리즘과 자료구 조도 달라지게 되나 공통적인 목표는 주어진 영역안에서 겹침없이 배치하면서 버림율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지난 10여년간 여러 산업의 응용분야에서는 네스팅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는데 수동에 반자동 및 자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나 자동네스팅시스템의 경우 배치 효율의 신뢰성이 비교적 부족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생산현장에서 기피하는 실정이다. 배치알 고리즘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문제들은 NP-complete문제로 분류하며 제한된 시간안에 최적의 해를 구하기가 가능한 조합 최적화 문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레이저 절단분야 에서의 네스팅시스템에 관한 개요와 최근의 연구동향 그리고 몇 가지 전형적인 네스팅 알고리 즘들을 소개하고 비교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간략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 PDF

용융드래그방법을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 박판의 제조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Magnesium Alloy Thin Plate using Melt Drag Method)

  • 한창석;권용준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511-518
    • /
    • 2021
  • An investigation is performed to clarify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pure magnesium and AZ31 magnesium alloy thin plate using the melt drag method. By the melt drag method, suitable for magnesium molten metal, pure magnesium can be produced as a continuous thin plate with a thickness of 1.4 mm to 2.4 mm in the range of 5 m/min to 20 m/min of roll speed, and the width of the thin plate to the nozzle outlet width. AZ31 magnesium alloy is able to produce a continuous sheet of thickness in the range of 5 m/min to 30 m/min in roll circumferential speed, with a thickness of 0.6 mm to 1.6 mm and a width of the sheet matching the nozzle outlet width. In the magnesium melt drag method, the faster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roll, the shorter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molten metal and the roll, and it is found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duced thin plate becomes thinner. The effect of the circumferential roll speed on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is evident in the low roll circumferential region, where the circumferential speed is 30 m/min or less. The AZ31 thin plate manufactured by the melt drag method has a finer grain size as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decreases, but it is currently judged that this is not the effect of cooling by the roll.

쌍롤 박판 주조법으로 제조한 Ag-27.5%Cu-20.5%Zn-2.5%Mn-0.5%Ni 브레이징 합금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g-27.5%Cu-20.5%Zn-2.5%Mn-0.5%Ni Brazing Alloy Manufactured by Twin Roll Strip Casting)

  • 김성준;강원국;김문철;김용찬;이기안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605-612
    • /
    • 2009
  • The suitability of twin roll strip casting for Ag-27.5%Cu-20.5%Zn-2.5%Mn-0.5%Ni brazing alloy (known as HS-49D) was examined in the present work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the strip wer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nealing heat treatment on the properties was also studied. The new manufacturing process has applications in the production of the brazing alloy. XRD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f the Ag-27.5%Cu-20.5%Zn-2.5%Mn-0.5%Ni strip revealed a eutectic microstructure of an Ag-rich matrix (FCC) and a Cu-rich phase (FCC) regardless of heat treatment. The results of mechanical tests showed tensile strength of 434 MPa and 80% elongation for the twin roll casted strip. Tensile results showed decreasing strengths and increasing elongation with annealing heat treatment.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fractography were also investigated and related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습식 식각을 이용한 MWCNT-PMDS 변형율 센서 전극 생성에 관한 연구 (Electrode Fabrication of MWCNT-PDMS Strain Sensors by Wet-etching)

  • 정라희;황희윤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6호
    • /
    • pp.387-39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습식 식각으로 제작된 구리 전극을 가진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PDMS 복합재료 변형율 센서의 전기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MWCNT의 질량분율에 따라 MWCNT-PDMS 변형율 센서를 제작한 후, 전극 부착 표면을 습식 식각한 후 은-에폭시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구리 박판을 부착하였다. 2-프로브 방법으로 변형율 센서의 전기 전도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저항은 MWCNT 함량과 식각 시간에 반비례하였지만 30% 변형율에 대한 저항 변화율은 MWCNT 함량과식각 시간에 비례하였다. 100회 반복 하중 시험 후 저항 변형율 감소는 MWCNT 함량이 증가할수록 식각 시간이 짧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이는 식각에 의해 MWCNT-PDMS 변형율 센서의 초기 저항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물의 대변형 비탄성 해석을 위한 범용 목적의 XFINAS 4절점 순수 변위 합응력 쉘요소 (A General and Versatile XFINAS 4-node Co-Rotational Resultant Shell Element for Large Deformation Inelastic Analysis of Structures)

  • 김기두;이창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A호
    • /
    • pp.447-455
    • /
    • 2006
  • 순수변위 비선형 4절점 쉘요소의 정식화를 제안하여 철근 콘크리트, 강재및 복합재료등 범용 목적의 구조물의 해석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기하강성의 정식은 2차 운동역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쉘이 중립면에서 정의되었고 이러한 기하강성은 면내응력, 휨 모멘트와 수직 전단력의 형태로 구성되어 두꺼운 판 및 쉘의 해석에 효과적이다. 가정된 자연 변형률 방법을 사용하여 전단잠김 문제를 제거한 복합 쉘 요소는 얇은 판및 쉘의 경우에도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다. 콘크리트 경우 소성이론 및 탄소성 파괴역학에 근거한 비탄성 해석이 가능하며 강재경우 폰미스의 항복이론과 이바노브의 항복이론을 이용한 소성해석이 가능하다. 복합 재료의 수직전단 강성 행렬은 평형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쉘 요소는 해석 예제들이 참고문헌과 잘 일치하여 정확성이 입증되었으며 범용목적의 박판구조 해석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