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닥용 모르타르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3초

바닥용 모르타르의 균열방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Crack Prevention of Floor Mortar)

  • 정재동;최응규;김진근;이칠성;이상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67-175
    • /
    • 1996
  • 최근 건설 현장에서 소성수축과 건조수축으로 인한 바닥용 모르타르의 균열은 매우 심가하다. 이러한 바닥용 모르타르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성을 유지하면서 단위수량을 최소화하는 최적배합의 선정과 팽창제를 사용하여 수축을 보상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장조사에 의하면 현장에서 사용중인 바닥용 모르타르의 물 시멘트는 약 64%인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바닥용 모르타르의 물 시멘트를 줄이더라도 조립율이 큰 잔골재를 사용하고 고성능감수제를 적정량만큼 첨가하면 필요한 작업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모르타르의 플로우와 물 시멘트비, 잔골재시멘트비, 잔골재의 조립율과의 관계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시된 식은 바닥용 모르타르의 배합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난방을 위한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혼합수량비 변화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of Dry Cement Mortar for Floor Heating Depending on Water-to-Dry Mortar Rutio)

  • 박상준;황인성;이건철;김종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8
    • /
    • 2021
  • 본 연구는 바닥 난방을 위한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혼합수량비(W/DM) 변화에 따른 각종 품질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시공은 현장에서 혼합하는 혼합수량의 증가에 따라 플로가 증가하고, 단위용적질량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이며,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은 혼합수량의 변동에 따라 바닥용 DM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정 W/DM의 관리가 바닥용 DM의 시공 품질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바닥용 DM의 현장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만을 고려한 과도한 현장 W/DM 증가는 과도한 블리딩 및 재료분리 등으로 인해 바닥용 DM의 경화 후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으로, 본 연구 범위의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현장 시공 시 바닥용 DM의 품질확보를 위한 현장 품질관리 기준으로는 W/DM 약 20%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정 혼합수량이 관리될 수 있다면 바닥용 DM의 양호한 품질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칼슘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온돌 바닥용 모르타르의 물성 평가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Finishing Mortar in Ondol Floor Structure Using High-Calcium Fly Ash)

  • 이영원;송영찬;김용로;문경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89-291
    • /
    • 2013
  • This study evaluated basic material properties of finishing mortar in ondol floor using NSB(Non-sinetering binder), and the binder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ing of high performance mortar and reducing crack problem without shrinkage-reduction agent.

  • PDF

페로니켈슬래그 잔골재의 바닥용 건조모르타르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Ferro-nickel Slag Sand for Dry Mortar in Floor)

  • 조봉석;김원기;황인성;구경모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2
    • /
    • 2019
  • 페로니켈슬래그 잔골재는 천연 잔골재와 유사한 특성이 있어 국내 외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고 있으나 그 용도와 연구의 영역이 한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NS의 활용성 확대와 모르타르제품의 성능개선을 목적으로 바닥용 건조모르타르에 대한 FNS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FNS는 흡수율이 낮고 구형의 입형이며 표면이 유리질 피막의 특성이 있어 모르타르의 플로을 향상시켰다. 또한 골재 자체의 높은 강성은 몰탈 압축강도의 향상 및 수축저감 효과를 나타내어 균열저감 등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천연 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와 비교하여 FNS를 적용하는 경우 동등수준 이상의 충격음 차단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산지별 고로슬래그미분말이 바닥용 건조시멘트 모르타르의 성능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last Furnace Slag from Various Areas to the Performance of surface coating Dry-Mortar)

  • 조도영;서신석;김정환;김규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45-446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생산 산지별 제품에 대한 품질 성능에 대한 연구와 각 고로슬래그미분말이 바닥용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제품에 적용될 경우의 성능 발현 특징에 대하여, 기초 물성 시험과 길이변화 특성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양생 조건이 바닥용 건조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ing Conditions on Compressive Strength of Dry Mortar for Floor)

  • 정용;김두혁;박창환;조성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77-378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uring condition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dry mortar for floor. The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relative humidity during curing was compared, and the influence of expansive additives on compressive strength under water curing was reviewed. As a result, low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during curing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dry mortar for floor, and it was judged that the continuous hydration reaction insufficient due to lack of the moisture supply. In order to improve compressive strength, high relative humidity maintenanc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However, under water curing conditions, the compressive strength has decreased as a result of continuous volume expansion due to the use of the expansive additives.

  • PDF

실란계 프라이머를 활용한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 평가 (Evaluation of Adhesive Performance of Surface Finishing Material with Primer Based on Silane)

  • 정권영;윤다애;장석준;길배수;윤현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9-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머 도포 여 부 및 압축강도수준 그리고 바닥 마감재 시공재령에 따른 주차장용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현행 KS 기준에서는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을 모르타르 공시체를 활용하여 평가하도록 제안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바닥 마감재는 콘크리트 상부면에 시공되기 때문에 바탕면 변화에 따른 부착성능을 추가변수로 계획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모르타르는 현행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배합표에 준하여 제작하였으며,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18, 30, 50 MPa로 계획하였다. 프라이머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재령 28일 변수에 따라 바닥 마감재와 함께 도포되었으며, KS 기준에 준하여 바닥 마감재 재령 일에 따라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변수에 따른 부착성능 평가결과 바닥 마감재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파괴양상을 고려하였을 때 콘크리트 쪼갬 인장강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프라이머 도포에 따른 부착성능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머의 사용은 부착강도에 문제없이 콘크리트 표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바탕면의 부착강도 특성을 비교한 결과 바닥재의 부착강도는 구성재료 보다 압축강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KS 기준의 모르타르 바탕면 실험체의 부착강도를 근거로 실제현장의 부착강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바닥용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배합 내 In-situ 탄산화 적용을 위한 CO2 주입 특성 및 물리적 특성 검토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Situ Carbonation in Floor Dry Cement Mortar Applications)

  • 김진성;조성현;김춘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24
  • In-situ 탄산화 기술은 시멘트 기반 건설재료의 제조과정에서 CO2를 주입하여 시멘트 수화과정에서 용출되는 Ca2+ 이온과 CO2의 탄산화 반응을 통해 CaCO3의 형태로 CO2를 격리하는 광물탄산화 기술이며,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바닥용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배합의 범위에서 In-situ 탄산화 기술을 적용 시, CO2의 주입 유량 및 총 주입량을 검토하고, 바인더인 단위시멘트량 감축에 따른 제품의 품질 검토를 실시하였다.

소각장(燒却場)에서 발생되는 바닥재의 콘크리트용 잔골재(骨材)로서의 재활용(再活用) (Recycling of the Bottom Ash, Sourced from the Local MSW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as a Fine Sand for Concrete)

  • 임남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2호
    • /
    • pp.40-47
    • /
    • 2007
  •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되는 바닥재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기준모르타르에 모래 10%를 바닥재로 대체 하고 시멘트 10%를 포졸란성 규조토로 대체한 후, KS L 5105와 TCLP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바닥재의 유해중금속들은 TCLP 허용치 범위에 있었다. 포졸란성 규조토와 바닥재를 혼합한 모르타르 압축강도는 기준모르타르보다 높았으며 동시에 모든 유해중금속들은 TCLP 기준치 범위에 들어 있었다. 따라서 포졸란성 규조토를 안정재로 사용하게 되면 바닥재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