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다

검색결과 2,421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연안에서 바다뱀 관찰과 포획의 제보 및 오제보 분석 (Analysis of the Correct and Incorrect Reports on the Observation and Capture of Sea Snakes in the Coasts of South Korea)

  • 김일훈;박재진;최우진;구교성;박대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55-460
    • /
    • 2017
  • 2016년에 1종이 추가로 보고되어, 현재 한국 연안에는 총 4종의 바다뱀이 분포하고 있다. 기후변화 등으로 한국 연안에 바다뱀의 년 중 서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인적, 물적 한계로 인하여 관련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국내 연안 내 바다뱀 분포에 대한 정보 및 샘플을 시민의 활동을 통해 확보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해안지역과 제주도에 제보를 권하는 바다뱀 포스터와 현수막을 게시하고 제보를 접수하였다. 연구수행결과 2013년 3월부터 2016년 12월 사이 45건의 신뢰성 있는 제보가 접수되었다. 바다뱀 제보는 18건으로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에서 접수되었으며, 시기적으로는 8-11월 사이가 많았다. 총 3종 18건의 바다뱀 분포정보와 2종 13개체의 포획이 가능하였다. 바다뱀의 오제보는 27건이었는데, 육지뱀이 7건, 어류가 18건, 무척추동물과 사물이 각 1건이었다. 자료를 바탕으로 시민을 활용한 효율적 바다뱀 조사방법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수문순환과 지진자료를 활용한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Characteristic of Spatio-temporal Variability Using Hydrological Cycle and Earthquake Catalog in Korea)

  • 장석환;오경두;이재경;이한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3-433
    • /
    • 2018
  • 한국은 지진에 대한 관심이 낮았으나, 2016년 0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에서 가장 큰 규모인 5.8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지진과 관련된 정확한 원인 분석과 정량적인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규모와 빈도, 위험지역 분석 등 정밀한 평가와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량적인 지진 발생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과 지하수와 같은 수문기상학적인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을 세우고 지하수의 변동 패턴과 지진의 발생 패턴의 유사점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지진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질특성이나 지각 판 운동 외에도 수문순환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육지와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구분하여 지진발생횟수와 에너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육지와 바다로 구분했을 때 바다에서 더 많은 지진이 일어났다. 또한 Wilcoxon rank-sum test 비모수 추정기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서로 다른 성질을 보여 따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해와 남해, 서해와 동해가 같은 성질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육지는 8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지진발생의 한 주기를 이룰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바다는 육지와 정반대로 2월부터 7월까지 많은 지진 에너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1월까지는 에너지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지하수가 육지에서 바다까지 유동하는 시간으로 인해 6개월의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 대표 해양·수산 과학논문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표기에 대한 제언 (Nomenclature of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erived From Analyses of Papers in Two Representative Korean Ocean and Fisheries Science Journals: Present Status and Future)

  • 변도성;최병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3호
    • /
    • pp.125-151
    • /
    • 2018
  • 지난 20년간(1998-2017년) 한국해양학회지(바다)와 한국수산과학회지에 실린 한글 논문 중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을 지도에 표기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그 표기 방법을 살펴보았다. 지도에 표기된 바다 명칭들의 형태는 크게 세 가지 - 'East Sea(동해)와 Yellow Sea(황해)', 'East Sea(동해), Yellow Sea(황해), South Sea(남해)', 'East Sea(동해), West Sea(서해), South Sea(남해)' - 가 있다. 'East Sea'는 모든 논문에서 'East Sea'로 표기된 반면, 'Yellow Sea'는 'West Sea'와 혼용해서 사용되고 있었다. 'Korea Strait(대한해협)' 대신 'South Sea'의 사용 빈도도 높았다. 이 결과는 연구자들이 해안선으로부터 가까운 연안해역을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지리적 방위에 근간하여 부를 때 사용하는 바다 명칭과 주변해에 대한 국제적인 바다 명칭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 해양 수산 연구자들이 바다 이름표기에 관한 기준을 세우고 일관성 있게 표기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연구논문 작성 시에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대한 바다 명칭을 서로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주변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East Sea(동해)', 'Yellow Sea(황해)', 'Korea Strait(대한해협)', 'East China Sea(동중국해)'로 사용하고, 이들 주변 바다에 포함되어 있는 연안해역은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상대적 방위에 근거한 'Coastal Sea off the East Coast of Korea(한국 동쪽 연안 바다)', 'Coastal Sea off the West Coast of Korea(한국 서쪽 연안 바다)', 'Coastal Sea off the South Coast of Korea(한국 남쪽 연안 바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East Korea Coastal Zone', 'South Coastal Zone of Korea', 'West Korea Coastal Zone'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작은 규모의 특정 해역의 경우 해양지명(해상지명과 해저지명)을 사용하여 연구해역을 표기할 수 있다.

바다갯고사리과(바다나리강, 바다나리목, 협중강아목)의 1 한국미기록종 (A New Record of Thalassometridae (Crinoidea, Comantulida, Oligophreata) in Korea)

  • 신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185-189
    • /
    • 2004
  • 대한해협에서 채집한 바다나리류를 동정$\cdot$분류한 결과 바다갯고사리과 (Thalassometridae) 에 속하는 1종의 한국미기록종, 푸른발갯고사리 Parametra orion (A. H. Clark. 1907)로 밝혀져 재기재하고 보고한다. 바다갯고사리과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韓國産 바다거미 一新種, Achelia crurispinifera (Achelia crurispinifera, a New Pycnogonid Species from Korean Waters)

  • Kim, Hoon-Soo;Kim, Il-Ho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0-124
    • /
    • 1985
  • 서울大學校 動物學科에 保管되어 있던 바다거미류 標本 中에서 1970年에 釜山 近海에서 採集된 암컷 한 個體와 1976年에 慶北 九龍浦에서 採集된 수컷 한 個體가 genus Achelia에 屬하는 一新種임이 確認되어 各各 holotype 및 paratype으로 定하고 學名으로 Achelia crurispiniferad, 韓國名으로 "가시다리바다거미"로 命名하여 記載한다. 吻部가 圓筒形이고 다리에 길고 많은 돌기가 나 있으며 수컷의 卵脚 第7節에 커다란 隆起가 있는 점은 이 種의 特徵으로서 genus Achelia의 다른 모든 記錄된 種으로부터 쉽사리 區別된다. 쉽사리 區別된다.

  • PDF

동행+함께하는 마음 - 길에서 찾은 건강, 길에서 만나 미각 - 태양의 바다 초록빛 물결로 가득한 무.안 백.련.지. 초의선사 탄생지에서 그윽한 차 향기와 만날 수 있는 여행

  • 장태동
    • 건강소식
    • /
    • 제34권9호
    • /
    • pp.30-33
    • /
    • 2010
  • 계절마다 빼 놓지 않고 가는 여행지가 있는데 그 중 한 곳이 연꽃으로 가득한 연밭이다. 연꽃은 꽃마다 피는 시기가 달라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볼 수 있다.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연꽃은 고혹하다. 향기가 없는 것 같으면서도 향리 천리를 간다는 연꽃의 향은 꽃의 자태와도 잘 어울린다. 초록 잎이 끝없이 펼쳐진 연밭은 태양의 바다다. 해바라기 보다 넓은 잎을 펴서 이글거리는 태양의 열기를 다 받아낸다. 포화된 열기는 희고 붉은 꽃으로 피어난다. 무안군 회산 백련지는 초록빛 연잎의 바다에 보석 같은 연꽃을 피워내고 있었다.

  • PDF

자연산 및 양식산 조피볼락 치어의 영양학적 특성 비교

  • 이해영;박민우;전임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2-273
    • /
    • 2000
  • 수산자원의 남획, 연안오염의 증대와 간척ㆍ매립에 의한 연안어장의 축소 등의 요인에 의해 수산자원은 감소하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연안어장의 관리 방법으로 바다목장화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게 되었다. 바다목장화에 의한 연안의 수산자원증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방류종묘의 종류와 방류량이 증가하였으나, 방류 종묘의 품질과 방류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이와 관련하여 바다목장화에 대한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중략)

  • PDF

고온가열처리에 의한 바다방석고둥의 식품성분 변화

  • 하진환;김풍호;허민수;조문래;김인수;김진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5-106
    • /
    • 2001
  • 제주도에서 보말이라고 불리고 있는 바다방석고둥,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은 남해안 일대에 다량으로 서식하는 고둥류로, 맛과 씹을 때의 촉감이 독특하여 예로부터 즐겨 식용하여 오던 고둥류이다. 그러나, 바다방석고둥은 선도저하가 빠르고, 자가소화에 의한 변질이 일어나기 쉬우며, 패각과 같은 비가식 부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Ha et al., 2000). (중략)

  • PDF

일본과 미국의 해양이용기술 개발 동향

  • 정태영;정정훈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12
    • /
    • 1996
  • 전세계적인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인하여 육지면적의 부족과 육상자원의 고갈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는 요즈음의 상황에서 앞으로 우리 인류에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해양개발 뿐이다. 이미 세계의 많은 인구가 해안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수는 점점 더 증가할 것이다. 이로 인해 한정된 해안 지역의 용지 및 필요한 물에 대한 압박이 심화되고, 증가되는 폐기물처리의 개선에 대한 요구도 점점 더 심해질 것이다. 만약 산업단지가 바다위에 위치하게 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 산업단지가 바다위에 위치하게 되면 현재 도시에 근접해 있는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 재생과정에서 바다라는 매체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배가된 개선책을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