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늘길이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Fabrication Enhancement of Hollow-type Silicon Microneedle Array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경피 약물 전달을 위한 Hollow형 실리콘 미세바늘 어레이의 제작 공정 개선)

  • Kim, Seung-Kook;Chang, Jong-Hyeon;Kim, Byoung-Min;Yang, Sang-Sik;Hwang, In-Sik;Pak, J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32-1533
    • /
    • 2007
  • Hollow형 미세바늘 어레이는 주사기와 패치의 장점을 결합하여 여러 종류의 약물을 통증 없이,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건식 식각 방법과 습식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hollow형 실리콘 미세바늘 어레이를 제작하는 제작 공정과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미세바늘 어레이의 형태는 실리콘 웨이퍼의 앞면에서 세 번의 식각 공정을 이용해 제작되었는데, 첫 번째 건식 식각 공정으로 피부에의 침투를 원활히 하기 위해 바늘 끝을 형성하고, 두 번째 건식 식각 공정으로 바늘의 길이를 조절하며, 마지막 HNA solution을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으로 바늘을 더 가늘게 만들면서 끝을 더 날카롭게 식각한다. 바늘을 통해 약물전달이 가능하도록 웨이퍼의 뒷면으로부터 건식 식각 공정을 이용해 약물 주입통로를 형성하였다. 제작된 Hollow형 실리콘 미세바늘 어레이는 $170\;{\mu}m$의 너비와 $230\;{\mu}m$의 길이, 직경 $40\;{\mu}m$의 약물 주입통로를 가지고 있으며, $1\;cm^2$의 시편 위에 $1000\;{\mu}m$의 피치로 $9{\times}9$ 개의 바늘을 형성하였다.

  • PDF

Comparison of Plasma Jets between Two Electrode-Structures of Cylindrical Needle and Cup

  • Jeong, Jong-Yun;Han, Sang-Ho;Kim, Dong-Jun;Kim, Jeong-Hyeon;Kim, Yun-Jung;Kim, Jung-Gil;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28-228
    • /
    • 2011
  • 바늘형 전극과 컵형 전극을 사용한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플라즈마 분출 특성을 조사한다. 바늘형 전극은 원통형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였다. 컵형 전극은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전극을 사용하였다. 방전 가스는 Ar을 사용하고 가스의 유량은 3 lpm이다. 구동 전원은 DC-AC 인버터를 사용하고 구동 주파수는 40 kHz이다. 방전 전압-전류 특성과 전류별 플라즈마 방출 길이를 측정한 결과, 원통형 바늘보다 컵형 전극이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았으며 동일 전류에서 플라즈마 방출 길이가 더 길다.

  • PDF

대기압 저온 아르곤 플라즈마 제트의 분광 분석

  • Han, Guk-Hui;Kim, Yun-Jung;Kim, Jung-Gil;Kim, Yeon-Jeong;Jo, Hyeo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91-191
    • /
    • 2016
  • 대기압 저온 Ar 플라즈마 제트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에 대해 연구하였다. 플라즈마 제트의 본체는 주사기 바늘, 유리관 그리고 테프론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바늘의 앞부분은 유리관에 삽입되어 있으며 바늘의 뒷부분은 테프론 튜브와 연결되어 있다. 주사기 바늘에는 수십 kHz의 사인파를 발생시키는 DC-AC 인버터로 수 kV의 고전압을 인가해준다. 기체는 테프론 튜브를 통해 바늘의 안쪽으로 흐른다. 사용 기체는 Ar이며 유량은 3 lpm이다. 주사기 바늘형 전극의 내경은 1.3 mm, 외경은 1.8 mm, 총 길이는 39.0 mm이며 재질은 스테인레스강이다. 유리관의 내경은 2.0 mm, 외경은 2.4 mm, 총 길이는 80.0 mm이다. 자외선-근적외선 분광계를 이용하여 대기압 저온 Ar 플라즈마 제트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의 분광 분석을 하였다. 플라즈마 제트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의 휘도는 대략 $10{\sim}30cd/m^2$이다. 플라즈마의 측정 위치, 플라즈마 제트의 입력 전압과 입력 전류, 기체 종류 등의 변수에 따른 분광 실험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분광 데이터를 일반적인 볼츠만 기울기법에 대입하여 플라즈마의 들뜸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Ar 플라즈마 제트의 분광 데이터를 수정된 볼츠만 기울기법에 대입하여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바이오-의료용 플라즈마 및 플라즈마 공정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Force Reflection for a Spine Needle Biopsy Simulator (척추침생검 시뮬레이터를 위한 힘반향 구현)

  • 권동수;경기욱;강흥식;김진국;나종범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1 no.6
    • /
    • pp.575-58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척추침생검 시뮬레이터에서 사용의 햅틱 디바이스인 PHANToM(sup)TM을 이용하여 사실적인 힘을 구현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PHANToM(sup)TM은 툴의 끝부분에서 좌표축 방향으로만 힘을 낼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시스템의 구동장치의한계로 인하여 딱딱한 물체에 닿을 때 불안정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좁은 영역 안에서 복잡한 조직들로 인한 급격한 강도 변화도 시스템의 불안정을 초래한다. 모사되는 힘은 두가지 성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바늘이 삽입될 때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느껴지는 힘으로 생체 조직의 모델을 통해 값이 구해진다. 다른 하나는 바늘이 피부를 뚫고 지나간 이후에 바늘이 초기 삽입 방양을 유지 시켜주는 회전방향 힘으로 피봇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불안정성 문제와 바늘이 튀어나오는 문제는 램핑 필터와 시간변수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침생검 과정은 생체조직의 탄성 변형뿐 아니라 파괴가 일어나는 변형이므로 사실적인 힘을 구현하기 위해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삽입 깊이에 따라 탄성 계수와 마찰 상수가 변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Taxonomic studies of tribe Epilobieae Endl. (Onagraceae)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seed microstructure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

  • Lee, Sangryong;Heo, Kyeong-In;Lee, Sangtae;Yoo, Manhee;Kim, Yongseong;Lee, Joon Seon;Kim, Seung-Chu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3
    • /
    • pp.208-222
    • /
    • 2013
  • In this paper, we conducted the taxonomic study of the tribe Epilobieae Endl. and concluded that a total of nine taxa, including one Chamerion (Raf.) Raf. ex Holub and eight Epilobium L., exist in Korea. Although C. angustifolium subsp. angustifolium has been placed traditionally either in Epilobium or Chamaenerion, i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pecies of Epilobium by having alternate leaves, slightly zygomorphic flowers, non-clefted petals, and equal length of 8 stamens, supporting the recognition of genus Chamerion. All but one species of Epilobium, E. platystigmatosum, was investigated for the surface of seed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seed sculpture of Korean Epilobium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e., papillose, reticulate, and ridged. E. ciliatum subsp. ciliatum is the only species Epilobium, which has the ridged seed sculpture. 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can be distinguished from conspecific E. amurense subsp. amurense based on leaf shape, trichome shape and distribution, size and habit. Both E. fastigiatoramosum and E. palustre have entire leaf margins, but they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leaf shape, stigma, and seed sculpture; the former has elongated elliptic leaves, capitate stigma, ridged seed sculpture, whereas the latter one has elongated lanceolate leaves, club-shaped stigma, and reticulate seed sculpture. Finally, we report the first record of E. platystigmatosum in Korea, and further comparative study including conspecific populations from Japan and China can clarify the occurrence of this taxon in Korea.

A Preliminary Study on the Model of the Shadow Definer (影符) Using for the Large and Small Gnomon of Joseon

  • Mihn, Byeong-Hee;Lee, Ki-Won;Kim, Sang Hy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51.4-52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원사" "천문지" <경부>조의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영부에 대해 연구하였다. 조선에서는 1435년과 1440년에 처음으로 대규표와 소규표가 제작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횡량을 가진 진화된 형태의 규표로써 영부를 사용하여 그림자길이를 측정하였다. 영부는 바늘구멍 장치로 Needham et al.에 의해 처음으로 그 모델이 제시되었지만, 구조적 측면에서 "원사"의 원문 내용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영부를 "원사"의 경부와 동일했을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새 모델의 재원 중 "원사"에 명시되지 않은 영부 밑받침의 높이를 추정하였다.

  • PDF

Plasma Propagation i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

  • Jeong, Jong-Yun;Im, Hyeon-Gyo;Kim, Jeong-Hyeon;Kim, Dong-Jun;Han, Sang-Ho;Jeong, Jong-Mu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29-229
    • /
    • 2011
  •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의 플라즈마 전파 현상을 조사하였다. 바늘침과 유리관으로 구성된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Ar을 주입하여 교류 고전압을 인가하면, 바늘침 전극부에 발생된 플라즈마가 길이방향에 따라 유리관 밖으로 전파된다. ICCD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결과, 고압부에 발생한 플라즈마 총알처럼 전파되는 것을 관측 되였다. 전파속도는 ~104 m/s이다. 이는 기체의 유속 ~10m/s 보다 훨씬 큰 값이다. 또한 광 프로브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측정하였다. 광 신호가 고압 측부터 유리관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파되는 것이 관측 되었다. 전파 속도 ~104m/s으로 ICCD로 측정한 플라즈마 전파 속도와 일치한다.

  • PDF

Glute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as an Estimate of Proper Gluteal Intramuscular Injections in Korean Adults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한국 성인의 둔부 피하지방두께 측정 -근육주사 바늘길이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

  • Joo, Ga-Eul;Sohng, Kyeong-Ya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0 no.2
    • /
    • pp.247-254
    • /
    • 2010
  • Purpose: To study the thickness of gluteal subcutaneous fat (SCF) and propose an adequate length for needle for gluteal intramuscular injections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CT) measurements. Methods: The thickness of gluteal SCF were measured and studied for 568 patients who visited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between January 2007 and February 2009 for routine health screening and who had abdominopelvic CT. Results: The average thickness of gluteal SCF was $15.92{\pm}4.08mm$ in males and $24.90{\pm}5.47mm$ in females. The thickness of gluteal SCF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The gluteal SCF thickness was greater than 20.4 mm for 54 (12.3%) of the 440 male patients and 99 (77.3%) of the 128 female patients. Conclusion: The most common syringe needle used for gluteal intramuscular injections in Korea is a 23 G, 25.4 mm-needle. The SCF thickness must be less than 20.4 mm in order to reach the dorsogluteal muscles to a depth of at least 5 mm if this 25.4 mm needle is used. In many patients, especially in female patients, the 25.4 mm needles will result in improper intramuscular injections with the injection being into the SCF. Therefore an appropriate needle should b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gender and SCF thickness of patients receiving gluteal intramuscular injections.

Characteristics of Plasma Plume with a Cylindrical Syringe Plasma Jet Device (원통형 바늘 구조의 플라즈마 제트 방출 특성)

  • Lim, H.K.;Jin, D.J.;Kim, J.H.;Han, S.H.;Cho, G.S.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0 no.1
    • /
    • pp.14-21
    • /
    • 2011
  • The plasma emission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in cylindrical syringe plasma jet device. Cylindrical syringe electrode is applied AC power using inverter. In the center of syringe is injected into a inert gas and plasma jet occurs. If there is no ground electrode, firing voltage is 3 kV and plasma column length is 10 mm. According to high firing voltage and large current, the plasma column length control is difficult. The case of an internal ground electrode, firing voltage is 1 kV. Because of the losing current from internal ground, even if a higher input voltage, plasma emission does not occur. The case of an external ground electrode, the plasma column can be controlled between 0~10 mm with change the applied voltage from 1 to 2 kV, and the discharging current changed from 1 to 4 mA.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Acrylic Needle for Percutaneous Bone Biopsy (경피적 골생검용 아크릴 바늘의 제작과 유용성)

  • Kim, Tae-Hyung;Shin, Myung-Jin;Shin, Ji-Hoon;Lim, Jin-Oh;Ryu, Ji-Yeon;Oh, Jae-Seon;Woo, Chul-Woong;Nam, Jeung-Hee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1
    • /
    • pp.25-29
    • /
    • 2010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newly designed percutaneous bone biopsy needle for pumpkin's specimen collection. We manufactured three types of biopsy needle with different internal processing which were made of 10 mm-diameter acrylic material. We made the conventional type (Ct) similar to the clinical type then compared the test group. The type a (Ta) made 1 cm-length internal processing from the distal, type b (Tb) made taper, and type c (Tc) made internal processing like spiral configuration. We performed 20 times biopsy to get an 10 mm length specimen from pumpkin's surface and evaluated the success rate of the biopsy, length of the specimen, and determine internal processing type of the most suitable biopsy needle (ANOVA test). Success rates of Ct, Ta, Tb, and Tc were 55%, 80%, 90%, and 100%, respectively. The lengths of the specimen of Ct, Ta, Tb, and Tc were $5.6{\pm}1.1\;mm$, $5.9{\pm}0.87\;mm$, $3.9{\pm}0.77\;mm$, and $9.4{\pm}0.54\;mm$, respectively. Al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except the group between Ct and Ta (p = 0.28). Newly designed bone biopsy needle seems to be useful for obtaining enough specimen. Tc may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