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밀

Search Result 8,40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II. End-use Properties (국산밀 품종의 밀가루 특성과 가공적성 II. 가공 적성평가)

  • Kang, Chon-Sik;Park, Chul Soo;Park, Jong-Chul;Kim, Hag-Sin;Cheong, Young-Keun;Kim, Kyung-Ho;Kim, Ki-Jong;Park, Ki-Hoon;Kim, Jung-Gon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42 no.1
    • /
    • pp.75-86
    • /
    • 2010
  • End-use properties of 26 Korean wheat cultivars (KWC) were evaluated to assess consumer satisfaction with 6 imported wheat and 5 commercial wheat flours. In end-use quality testing of cooked noodles, Absorption of noodle dough sheet of ASW (Australian standard white) was similar to Anbaek, Eunpa, Gobun, Hanbaek, Jeokjoong, Jonong, Namhae, and Sukang. Thickness of noodle dough sheet of KWC was showed thin difference. In imported wheat and commercial flour, Commercial flour for baking cookie (Com5) with lower protein flour was lower than those flours. In lightness of prepared noodle dough sheet, Lightness value ($L^*$) of KWC was lower than those of Commercial flour for making white salted noodle (Com1), commercial flour for making for yellow alkaline noodle (Com2), and commercial flour for multi-purpose (Com4). Lightness value ($L^*$)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ticle size of flour, ash, damaged starch, and protein content. Hardness of cooked noodl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content. In texture of cooked noodles, Hardness of Com1 was similar to that of Alchan, Dahong, Jeokjoon, and Sukang. Also, hardness of Com2 was similar to that of Gobun, Jokyung, Jonong, Keumkang, and Namhae. In end-use quality of bread, bread loaf volume of commercial flour for making bread (Com3) was similar to Alchan, Jokyung, Keumkang, and Namhae but firmness was low. Bread volume showed better relationships with higher SDS-sedimentation volume, longer mixing time of mixograph, higher height of dough during development. Firmness of crumb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read volume. Diameter of cooki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ticle size of flour, damaged starch, and protein content. Also, Top gain score became higher as the increase diameter of cookie. In end-use quality testing of cooked cookie, Cookie diameter of Com5 was similar to that of Dahong, Geuru, Olgeuru, Tapdong, and Uri but top grain was low.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rong Wheat Flour (시판 강력분 우리밀의 품질 특성)

  • Kwak, Han Sub;Kim, Mi Jeong;Kim, Oui-Woung;Kim, Sa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6 no.5
    • /
    • pp.616-621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strong wheat flour (DSWF). Three commercial DSWFs (D1, D2, and D3) were compared with imported strong wheat flour (ISWF). DSWFs had higher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lightness, and whiteness than ISWF. DSWFs showed lower solvent retention capacity and water absorption index than ISWF. DSWF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solubility index than ISWF (P<0.05). Setback values by rapid visco analysi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1 and D2 than in ISWF and D3, which means ISWF and D3 were better in retarding retrogradatio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results showed that ISWF required 6.2 J/g of energy for phase transition, whereas DSWFs needed 6.67~7.13 J/g. The farinograph results showed that ISWF had higher water absorption, longer dough stability time, and significantly higher softening of dough at 20 min than DSWF (P<0.05). Dough resistance and extensibility were higher in ISWF than in DSWFs.

Comparison of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domestic and imported wheat starch (시판 우리밀과 수입밀 전분의 구조 및 이화학적 특성 비교)

  • Jeong, Gyeong A;Park, Jinhee;Kim, Kyeong Hoon;Lee, Chang Jo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3 no.5
    • /
    • pp.521-526
    • /
    • 2021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chemical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commercial wheat starch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imported commercial wheat starch. Three varieties of domestic commercial wheat starch (DWS) were compared to three types of imported wheat starch (IWS). The morphology of DWS granules was spherical with diameters 17.0-18.3 ㎛; the IWS granules exhibited various diameter sizes (16.6-17.7 ㎛). The amylose content of both DWS and IWS was between 23.2-23.8%. DWS exhibited small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ranges and gelatinization enthalpies compared to IW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WS-PW (plain wheat starch) is a mixture of many types of wheat starch. In conclusion, the quality of domestic wheat flour and imported wheat flour was related to gluten content as well as to the starch properties.

중국 "떡"문화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보고

  • Jo, Yeong-Gwang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8.10a
    • /
    • pp.15-29
    • /
    • 2008
  • "떡"을 대표로 하는 중국 밀 문화는 선사시기의 야생 식물 재배는 역사상의 가공과 이용으로부터 현대 사회의 정밀 가공, 더 깊은 가공의 광범위한 이용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의 긴 역사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20세기말 이전까지만 해도 밀가루는 중국 사람의 주식 원료 구성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위치에 있었다. 하지만 분명해야 할 것은 어떤 종류의 곡물이 한 민족의 주식 원료 구성에서의 높고 낮은 비중이 결코 간단하게 그 사회 의미와 문화가치의 높고 낮음과는 동일시할 수 없다. 중국 사람의 밀 식용 역사가 바로 하나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선진(先秦)시기, 밀의 재배와 식용은 주로 식량 공급이 줄곧 긴장된 상태에 처해있는 각 정권의 "接濟靑黃"(구제식량)하는 전략적 물자였다. 그러나 선진(先秦)시기에서 밀은 경제가치가 아주 높은 곡물은 아니었다. 그 원인은 밀의 무(畝)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종자의 수요량도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묵은 곡식은 다 사용되고 새 곡식이 무르익지 않은 공백기에 있는(청황불접) 시기에 전략적 곡식의 사회와 정치 의미 외에 강한 적응성, 광범위한 분포와 낮은 단가가 또한 밀의 상대적 장점으로 될 수 있다. 밀의 경제와 문화가치는 주로 한대(漢代)이후 차츰 드러났다. 혁명적인 변화는 바로 가루 음식의 섭취와 계속적인 확대이다. 밀을 가루로 내어 식용한 후 차츰 기타 곡물의 편의식품 전통 공간을 대체하였고, 한대(漢代)의 딤섬류 식품 "한구(寒具)(고대에 곡물가루 튀김 음식물 현재의 타래떡 등)"에 사용되는 재료도 거의 밀가루를 사용하였다. 오늘날 중국 사람이 자랑으로 여기는 전통식품인 국수, 만두, 혼돈(餛飩), 포자(包子), 소맥(燒麥), 떡, 찐빵(饅頭), 고(糕) 및 공업화 식품인 과자, 빵, 라면, 햄버거 등은 모두 밀가루를 기본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나아가서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딤섬 종류도 밀가루를 기본 원료로 한 주요 무대이다. 20세기말 이후 밀 소비 인구가 계속 확대되는 추세였으며 높은 소비량은 밀의 재배 면적 확대와 재배지역 확장을 결정하였다. 밀 소비량은 중국 사람의 주식 원료 소비에서 이미 근근이 벼 뒤를 잇는 지위에 올랐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1949년 중국 밀 면적은 2,185만 헥타르로, 전국 식량 작물 총 면적의 19.6%, 총 생산량 1,380만 톤으로 전국 식량 작물 총 생산량의 12.2%에 달한다. 1980년에 이르러 면적은 2,884만 헥타르로, 총 생산량은 5,416만 톤에 달하였으며, 각각 식량작물 총면적의 24.8%, 총 생산량의 17.0%를 차지하였다. 1981이후 중국 밀 생산량은 또한, 새로운 발전을 가졌으며, 주로 단위 면적 생산량이 비교적 크게 증가되었고 총 생산량도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1981~1985년과 1976~1980년의 5년 평균치를 비교한 결과 재배 면적은 같았으나(단지 0.2%만 증가), 단위 면적당 생산량 및 총 생산량은 46%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이 9.2%에 달하여 50년 이래에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였다. 비록 지금 중국인의 "배부르게 먹기"문제는 이미 기본적으로 해결되었으나 장기적으로 "배부르게 먹기"의 물질적 보장은 여전히 취약하다. 농사가 가능한 경지면적의 급속한 격감으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의 압력을 증가되었다. 국가 표준에 따르면 품질이 좋은 밀은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과 "탄력이 약한 고품질 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지금 중국 시장의 추세를 보면 밀 품종의 선택에서 주로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을 선택하는데 즉 글루텐량이 높고 탄력이 강하며 품질이 좋은 전문 용도에 사용되는 밀을 선택한다.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은 주로 빵, 라면, 만두 등 밀가루 탄력을 요구하는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그 중에서 모든 빵은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을 사용하고 밀에 대한 품질 요구도 또한 높다. 빵가루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일부 전문 밀가루 생산 공장에서는 국산 고품질 밀에 수입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만두가루를 가공할 경우도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밀가루의 품질을 높이고 음식을 맛을 증가한다. 일부 품질이 떨어진 밀에 대하여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내부의 품질을 개선하고 찐빵이나 기타 밀가루 음식으로 가공한다. 예를 들면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고품질 밀과 봄밀을 섞어 밀가루의 봄밀의 품질을 개선한다. 총괄적으로 밀에 대한 욕구는 계속 장기적으로 벼에 버금가는 위치를 유지할 것이며 고품질 밀에 대한 욕구는 더욱 강한 추세로 발전할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Waxy and Non-waxy Wheat Grains (찰성밀과 보통밀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 Lee Choon-Ki;Nam Jung-Hyun;Kang Moon-Seok;Ku Bon-Chol;Park Kwang-Keun;Kim Jae-Cheol;Son Young-Koo;Park Jeong-Hwa;Lee Yeong-Ho;Son Jong-Rok;Min Young-Kyo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0 no.6
    • /
    • pp.419-427
    • /
    • 2005
  • For the purpose to verif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axy wheat,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waxy wheat lines and their respective maternal parents were performed on mixing and pasting properties, and flour particle sizes. The particle sizes of waxy wheat flour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their parents when milled in a same condition. Although the protein contents of flour in waxy wheat lines tested were high as much as those of bread wheat, the quality parameters showed lower baking uses based on sedimentation volumes and mixing characteristics. Waxy flour required more water than non-waxy flour to obtain the proper mixogram. Waxy wheat flour showed more or less higher onset pasting temperatures and much higher breakdown viscosities than their respective parent flour in the Rapid Viscograph test. Moreover, peak viscosity temperatures and final viscosities were dramatically reduced in waxy wheat lines by showing $79.4 - 81.7^{\circ}C$ and 101 ­116.9 RVU, respectively, compared to their parents in that the temperatures above $95^{\circ}C$ and the viscosity ranges of 148 -171.8 RV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