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민속풍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비비안 탐의 디자인에 나타난 민속풍에 관한 연구 - 1990년에서 2005년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 (The Ethnic Look Featured on Vivienne Tam's Collection from 1996 to 2005)

  • 노미경;김찬주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145-157
    • /
    • 2008
  • Vivienne Tam was born in mainland China and educated in Hong Kong and has worked mainly in New York. Within multi-cultural background, she has shown unique fashion designs where western styles and China esprit were harmonized.. This study analyzed the ethnic look featured on Vivienne Tam's design to identify how she has expressed her ethnic identity into fashion. Photos featuring ethnic appeal among her New York collection from 1996 S/S to 2005 F/W were analyzed in terms of shape/silhouette, color, fabric, motifs, detail and accessaries. She utilized frequently chinese motifs and patterns such as bamboo, panda, budha, flowers, letters, and masks. Secondly she modified the shapes of Chinese traditional costume like Quipao to render ethnic appeal. Color, fabric and detail like frog and embroidery also contributed to enhance China mood. Comparatively, she used western clothing items including shirts, blouses, skirts, pants, dresses, and coats and maintained the silhouette tight and fit so that most her designs look wearable and westernized.

예술.문화 - 강릉 서지마을 질밥과 씨종지떡

  • 김순경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1권2호
    • /
    • pp.123-125
    • /
    • 2008
  • 1천년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강릉(江陵)은 태백준령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하천이 수놓은 기름진 들녘과 수자원이 풍성한 동해바다를 거느리고 있어 음식문화 또한 다채롭다. 날로 먹어도 꺼릴 것이 없는 청정한 해산물과 반가에 전래해오는 전통한식, 사천 한과를 비롯한 서지마을 질밥과 씨종지떡 등 고유한 민속음식들이 유구한 경지를 자랑한다.

  • PDF

울산쇠부리소리의 민속연행적 구조와 의미 연구 (The Study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UlsanSoeburisoree)

  • 심상교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127-155
    • /
    • 2018
  • 본고는 울산쇠부리소리의 민속연행적 구조와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찰 과정은 구조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구조적 특징의 주요 요소를 대비하면서 대비 과정에 울산쇠부리소리 각 구조의 의미를 살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1.길놀이 2.고사 3.쇠부리불매소리 4.쇳물내기 5.쇠부리금줄소리 6.아이어르는불매소리 7.성냥간불매소리 8.뒷풀이난장으로 구성 되었다. 이 구성은 길놀이-고사-연행-대동마당이라는 민속놀이의 구조와 일치하며 민속신앙의 기본 구조인 청신-오신-위민-송신과도 유사하며 민속놀이의 길놀이-고사-연행-대동마당의 구조와도 일치한다. 이처럼 울산쇠부리소리는 순차적 병렬구조로 형식화 되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삼한시대 이래의 제천의식과도 닮았다. 육체적 희생에 따른 생명 탄생의 쇠부리소리는 새 생명 창조의 송가와 같은 역할도 한다. 울산쇠부리소리에는 한국의 민속문화 뿐만 아니라 좁혀서 경남지역의 민속문화가 그대로 녹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지모신을 향해 삶의 풍요를 기원하는 축제성격도 많다. 철을 생산하는 과정에 흙은 절대적 역할을 한다. 그만큼 쇠부리하는 사람들에게 흙은 신앙적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영남지역에 전승되는 민속연희 중에는 삶의 고단함을 넘어서려는 민중들의 애환이 예술정신과 혼합되면서 전승되는 연희들이 많다. 울산쇠부리소리의 경우는 삶의 고단함을 넘어 서려는 바람과 예술정신이 혼합되면서 만들어지고 전승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전국 유일의 풍철기원(豊鐵祈願)의례다. 풍농과 풍어를 기원하는 의례는 전국에 다수 분포하고 있으나 풍철을 기원하는 울산쇠부리소리 의례는 전국 유일의 희소성을 지닌다.

1960년대 저항 패션이 민속풍 패션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the 1960s Anti-Fashion on the Ethnic Fashion)

  • 간문자
    • 복식
    • /
    • 제30권
    • /
    • pp.153-16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thnic Fashion which is influenced by the Anti-Fashion in 1960s. Anti-Fashion as Hippie style had an effect on high fashion in the 60s-70s and which was restored in the early 90s are ethnic and folk-lore style. The influence that the Anti-Fashion has had on the Ethnic Fash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Ethnic Fashion in 60s-70s: First Europian romantic style that is velvet doublet breecheese race cuffs ruffle flounce race jabbot embrioderd blouse frilled blouse Victorian mode and Pre-Raphaello style. Second handicraft ornaments style & peasant style what are embroidery weaving variaty ornaments tie-dye patch work smocking beads & bell paisely print peasant blouse dundle skirt long skirt to clinging layered look floral print dress and shepherd-ness styl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Oriental mao-suit harem pants & Indian pants caftan monk robe Afgan vest burnoos dhoti pants Hindu robe Red Indian fringe head band feather ornaments Red indian embroidery & weaving body painting gaucho poncho and serapi. At the Ethnic Fashion in 90s.: First Europian classical romantic style that is Victorian style Pre-Raphaello style ruffle & race decorations and velvet materials. Second peasant look& handicraft orna-ments what are floral print long skirt to cling-ing uneven stitches top stitchings patch work embroidery crochet and tie-dy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Red Indian style South East mode is sarong skirt & Nheru jacket Tibet & Mongolian style South America style and gypso style.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민속풍(Ethnic look)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thnic look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정연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15-229
    • /
    • 1993
  • As a result of making an inquiry into the ethnic look of each region appearing in present-day fashion by Asia. America and Oceania. Africa and Europe as mentioned above, its characteristic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sian ethnic look consists of Indian, Chinese and Japanese looks as mainstream. In terms of form, the draped form constituted its mainstream, and both the draped form and the tunic form are appearing Simultaneously in the Chinese look. And in respect to color the Indian look is using luxurious primary colors red, blue, yellow and green and other regions are making overall use of natural colors. With respect to ornament various kinds of ornaments is utilized in Indian's Sari and turban. Chines's Coolie hat, straw hat and embroidery, knotted button, and bead ornament, and Japan's Obi and Obijime, etc. Secondly in America and Oceania, costurme representing the Indian look in North America and the picture of Western pioneer, and the Peruvian, Mexican and chilean ethnic looks in South America were expressing much. Here, the form consistied a draped form as its main strem, such colors as yellow, purple, grey, etc were much utilized, and the material of costume comprised knits, cotton and the like. And the ornament consisted of hats, tassel ornaments, bead ornaments, metal chain belt, long braided hair, etc. Thirdly, the African ethnic look had an exposing form and a draped form, and such colors as black, white, yellow, brown, etc were used as the fashion color. Ornaments such as precious stone, bead ornaments, animal bones, straw metal ornament, etc were used as fashion decorations. Fourthly, Russia's Cossack look, Bulgaria's Bavshika look, spain's ethnic look cane to the fore as the European look Both the draped form and the tunic form were used simultaneously as fashion form. And grey, brown, purple, etc were much used as fashion color in the European look. Such ornaments as Cossack. Bavshka, boots, tassel ornaments were much used and paisley pattern also was used.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의 민속식물 (Ethnobotany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Its Adjacent Regions, South Korea)

  • 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6-61
    • /
    • 2016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에 대한 전통지식 정보를 수집 및 보존을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수행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 70개소에서 주민 18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430장의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조사된 식물은 총 82과 197속 224종 3아종 19변종 1품종의 총 247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식용 166분류군, 약용 138분류군, 생활용품 27분류군, 용재용 16분류군, 제례용 9분류군 등으로 주로 식·약용 이용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줄기, 열매,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된 247분류군의 전통지식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특정식물 종의 이용을 언급한 정보보유자의 수(FC), 이용범주 수(NU), 특정식물을 이용하는 수(UR), 문화적 중요도 지수(CI), 상대적 인용빈도(RFC), 상대적 중요도(RI), 문화적 가치(CV)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중요도 지수(CI)는 쑥, 칡, 민들레, 상대적 인용빈도(RFC)는 쑥, 쇠무릎, 참취, 상대적 중요도(RI)는 쑥, 칡, 소나무, 문화적 가치(CV)는 쑥, 칡, 쇠무릎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조사지역의 고유한 전통지식으로 털머위뿌리를 관절염, 산후풍, 혈액순환 장애 등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