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UlsanSoeburisoree

울산쇠부리소리의 민속연행적 구조와 의미 연구

  • Received : 2018.07.05
  • Accepted : 2018.08.17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folktale accompaniment of the sound of UlsanSoeburisoree. The review process examined the meaning of each structure of the UlsanSoeburisoree in the preparation process while preparing the main elements of the structural features along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tructure. UlsanSoeburisoree is Poongcheol ritual ceremony which means prayer ceremony for the production of iron. The sound of UlsanSoeburisoree is 1-Gilnori 2-Gosa 3-The sound of blowing smelting process 4-The sound of process of iron smelting 5-The sound of tabooline 6-The sound of blowing smelting process 7-The sound of blowing matches 8-The After-party. This structure is in line with the structure of folk play called Gilnory-Gosa-Performance-After-party. This is similar to the basic structure of folk beliefs Cheongsin(請神)-Osin(娛神)-Songsin(送神). Thus, the sound of UlsanSoeburisoree was formulated in a sequential parallel structure. The sound of UlsanSoeburisoree resemble the sacrifice of heaven ceremony since the time of the SamHan dynasty. The sound of the birth of life by physical sacrifice also plays the role of the song of creation of new life. The sound of UlsanSoeburisoree can be seen not only in Korea 's folk culture but also in folk culture of GyeongnamDo area. There are many festivals to pray for the abundance of life for UlsanSoeburisoree. Soil plays an absolute rol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iron. For those who soak it, the earth is a religious object. Among the folk tales handed down in the Yeongnam area, there are a lot of performances that are passed down through the blending of the people 's affection to overcome the harshness of life. In the case of the sound of UlsanSoeburisoree, it can be said that it was made and mixed with the wind that wanted to go beyond the harshness of life and the spirit of art.

본고는 울산쇠부리소리의 민속연행적 구조와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찰 과정은 구조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구조적 특징의 주요 요소를 대비하면서 대비 과정에 울산쇠부리소리 각 구조의 의미를 살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1.길놀이 2.고사 3.쇠부리불매소리 4.쇳물내기 5.쇠부리금줄소리 6.아이어르는불매소리 7.성냥간불매소리 8.뒷풀이난장으로 구성 되었다. 이 구성은 길놀이-고사-연행-대동마당이라는 민속놀이의 구조와 일치하며 민속신앙의 기본 구조인 청신-오신-위민-송신과도 유사하며 민속놀이의 길놀이-고사-연행-대동마당의 구조와도 일치한다. 이처럼 울산쇠부리소리는 순차적 병렬구조로 형식화 되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삼한시대 이래의 제천의식과도 닮았다. 육체적 희생에 따른 생명 탄생의 쇠부리소리는 새 생명 창조의 송가와 같은 역할도 한다. 울산쇠부리소리에는 한국의 민속문화 뿐만 아니라 좁혀서 경남지역의 민속문화가 그대로 녹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지모신을 향해 삶의 풍요를 기원하는 축제성격도 많다. 철을 생산하는 과정에 흙은 절대적 역할을 한다. 그만큼 쇠부리하는 사람들에게 흙은 신앙적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영남지역에 전승되는 민속연희 중에는 삶의 고단함을 넘어서려는 민중들의 애환이 예술정신과 혼합되면서 전승되는 연희들이 많다. 울산쇠부리소리의 경우는 삶의 고단함을 넘어 서려는 바람과 예술정신이 혼합되면서 만들어지고 전승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울산쇠부리소리는 전국 유일의 풍철기원(豊鐵祈願)의례다. 풍농과 풍어를 기원하는 의례는 전국에 다수 분포하고 있으나 풍철을 기원하는 울산쇠부리소리 의례는 전국 유일의 희소성을 지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