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호천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Design Flood in Mihochen basin based on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Climate Change Scenario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미호천 유역의 설계홍수량에 미치는 영향평가)

  • Kim, Byung Sik;Ha, Sung Ryo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1
    • /
    • pp.105-114
    • /
    • 2013
  • Recently, Due to Climate change, extreme rainfall occurs frequently. In many preceding studies, Because of extreme hydrological events changes, it is expected that peak flood Magnitude and frequency of drainage infrastructures changes. However, at present, probability rainfall in the drainage facilities design is assumed to Stationary which are not effected from climate change and long-term fluctuation. In the future, flood control safety standard should be reconsidered about the valid viewpoint. In this paper, in order to assess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rainage system, Future climate change information has been extracted from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for IPCC AR5, then estimated the design rainfall for various durations at return periods. Finally, the design flood estimated through the HEC-HMS Model which is being widely used in the practices, estimat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Design Flood of Mihochen basi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sign Flood increase by climate change. Due to this, the Flood risk of Mihochen basin can be identified to increase comparing the present status.

Evaluation of significant pollutant sources affecting water quality of the Geum River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주성분분석(PCA) 방법을 이용한 금강 수질의 주요 오염원 영향 평가)

  • Legesse, Natnael Shiferaw;Kim, Jaeyoung;Seo, Do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8
    • /
    • pp.577-588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imiting nutrient for algal growth in the Geum River and the significant pollutant sources from the tributarie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and to provide a management alternative for an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 eight-year of daily data (2013~2020) were collected from the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ater.nier.go.kr)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go.kr). 14 water quality variables were analyzed at five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the Geum River (WQ1-WQ5). In the Geum River, the water quality variables, especially Chl-a vary greatly in downstream of the river. In the open weir gate operation, TP (total phosphorus) and water temperature greatly influence the growth of algae in downstream of the river. 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investigate the factor affecting algal growth in the Geum River. At the downstream station (WQ5), TP and Temp have shown a strong correlation with Chl-a, indicating the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lgal blo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applied to identify and prioritize the major pollutant sources of the two major tributaries of the river, Gab-cheon and Miho-cheon. PCA identifies three major pollutant sources for Gab-cheon and Miho-cheon, respectively. For Gab-che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urban, and agricultural pollutions pollution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ollutant sources. For Miho-cheon, agricultural, urban, and forest land are identified as major pollutant sources. PCA seems to be effective in identifying water pollutant sources for the Geum River and its tributaries in detail and thus can be used to develop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미호천(II)지구 대단위 농업개발사업 현황

  • Song, Gi-Heo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8 no.2
    • /
    • pp.30-36
    • /
    • 2006
  • 우리나라의 수자원 활용은 생활용수나 공업용수에 비해 농업용수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농업용수 사용량에 대한 명확한 값을 추정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농업용수 이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최우선의 자료는 공급되는 농업용수량을 파악함과 동시에 그 경로를 추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농촌공사의 충북본부에서 시행한 대단위 농업개발사업을 통해 농업용수의 이용 체계도를 확립함으로서 농촌용수의 이용량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코자 한다.

Parameter Calibration and Estimation for SSARR Model for Predicting Flood Hydrograph in Miho Stream (미호천유역 홍수모의 예측을 위한 SSARR 모형의 매개변수 보정 및 추정)

  • Lee, Myungjin;Kim, Bumjun;Kim, Jongsung;Kim, Duckhwan;Lee, Dong ryul;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23-432
    • /
    • 2017
  • This study used SSARR model to predict the flood hydrograph for the Miho stream in the Geum river basin. First, we performed the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arameters of SSARR model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ameters and set the range. For the parameter calibration, optimization methods such as genetic algorithm, pattern search and SCE-UA were used. WSSR and SSR were applied as objective functions, and the results of optimization method and objective fun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lood prediction was most accurate when using pattern search as an optimization method and WSSR as an objective function. If the parameters are optim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helpful for decision making such as flood prediction and flood warning.

Water Quality Analysis of Bogang stream using QUAL2E Water Quality Model (QUAL2E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한 보강천 수질모의 분석)

  • Park, Jung-Ha;Lee, Sang-Kil;Bae, Myoung-Soon;Jeong, Si-M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74-679
    • /
    • 2008
  • 수질모델링은 제한된 공간에서 실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임의지점에서의 수질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수체로 유입되는 오염원의 변화에 대한 수질의 변화를 예측, 장래 개발계획 및 수질정책에 대한 영향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통제하고 과학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질모델링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관련모델을 적절히 적용하여야 한다. 최근 수질오염총량제가 시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자체간 갈등을 줄이고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수질모델링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 미호천의 지류인 보강천을 대상으로 QUAL2E 하천수질모형을 구축함으로써 해당 수계에 인접한 지자체들이 원활이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시행할 수 있게 정확하고 합리적인 수질예측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QUAL2E 하천수질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유량자료는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측정한 유량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수리계수는 보강천 하천정비기본계획(건설교통부, 1991)에 실려있는 하천단면 자료를 이용한 HEC-RAS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하천 수질 자료는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유량과 함께 측정한 수질자료를 이용하였고 유달계수는 S. R. HA and M. S. Bae(2003, 2004, 2005, 2006), 박정하 등(2007)이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보강천에 영향을 미치는 지자체는 증평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이며 그 중 유역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증평군과 진천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미호천 하류에 위치한 미호B 목표수질관리지점의 목표수질인 4.3 mg/L BOD를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2-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Analysis of Water Quality of the Geum River using EFDC and WASP7.2 (EFDC-Hydro와 WASP7.2를 이용한 금강하류 2차원 동역학수리 및 수질 모의)

  • Seo, Mi-Jin;Seo, Dong-Il;Lee, Yong-Sung;Yun,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53-19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하류부의 시간적 공간적 수질변화를 자세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인 EFDC 와 비정상상태 수질모델인 WASP 7.2와 를 연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구간은 금강하류 부중 대청댐 조절지 방류구 지점부터 공주의 정안천 유입 직전까지 총 48km의 구간이다. 하천의 수심별 수질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으나 폭방향의 수질은 좌 중 우로 3개의 소구간으로 나누고 하천의 흐름 방향으로 나누어 전체적으로는 2차원적으로 구분하였다. 하천의 바닥 형상을 이용하여 모델 격자를 구성하였으며 수리모델은 건교부의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수질자료는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2차원 수리동역학-수질 연계모델링 결과, 대전 갑천이 유입되고 난 후의 청원지점에서 그리고 청주지역의 영향을 포함하는 미호천이 유입되고 난 연기 지점 그리고 본 연구의 최하류인 공주지점에서는 하천의 폭 방향으로 상당한 수질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전 갑천 또는 청주 미호천 등이 유입된 이후 효과적으로 혼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해당지역의 수질시료 채취 위치에 따라 수질에 현격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현재 환경부 수동측정망의 시료채취 방법을 고려하여 볼때 하천수질의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 차원에서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오염총량관리제나 대부분의 환경영향평가에서는 하천의 폭 방향의 수질 차이에 대한 고려가 전무하며 이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incheon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률 산정)

  • Chung, Il-Moon;Kim, Nam-Won;Kim, Ji-Tae;Na, Han-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7-237
    • /
    • 2011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률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진천군을 포함하는 미호천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3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청주, 충주, 대전, 이천, 보은, 천안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 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진천군을 포함한 미호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4년~2009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6.6%,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20.8%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34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진천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진천군 평균 함양률은 20.5%로 산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