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지형구조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for cavern mini-topography of cyclic stream in our country (우리나라 순환대 성인의 동굴미지형에 관한 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4 no.45
    • /
    • pp.13-27
    • /
    • 1996
  • 우리나라의 석회동굴들은 그 기후의 다양성과 지질구조의 복잡성, 그리고 지형의 단조성 때문에 매우 이질적이고도 특이한 동굴미지형들의 발달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원래 동굴중에서도 석회동굴은 다른 절리굴이나 수식동굴들보다는 보다 허다하게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들의 동굴들은 각 각 그 동굴속에 다양한 미지형, 미지물의 존재를 관찰할 수 있다.(중략)

  • PDF

Analysis of Riparian Vegetation for the Location Character-Focus on Relationship between Microtopographical Feature and Soil Character- (하반 식생의 입지 적정성 분석-미지형 토양환경을 중심으로-)

  • 안홍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93-200
    • /
    • 2001
  • 본 연구는 하반식생이 일정 지역에 정착할 때 밀접하게 관여하는 토양환경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하반 미지형 이라는 특수 지역에서 생각할수 있는 미지형 형성의 토양구조와 하반미지형이 식물에 미치는 토양수분, 그리고 식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결과 각 미지형마다 그 퇴적상태가 다르며 이에따라 하반식생도 달리 나타났다. 또한 모두 조사구에 서 모래층 밑에는 반드시 자갈층의 단계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반복된 과거의 홍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지형을 고려한 식생을 도입하여야 하며, 토양수분과 지라수위와 식생과의 관계는 하천마다 다르므로 현지 지형에 맞는 식생 도입이 요구된다. 앞으로 보다 지속적, 장기적 현장조사와 하천 수문, 수리학적 data의 축정에 따른 하반식생과 입지환경요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식생호안공법의 개발이 향후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bsequent to Cross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eams - Centering on the Cases of Dorimcheon, Banghakcheon, Seongnaecheon and Yangjaecheon in Seoul - (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 연구 -서울시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을 사례로-)

  • Bae, Jung-Hee;Lee, Kyong-Jae;Han, Bo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3
    • /
    • pp.268-279
    • /
    • 2008
  • This study is aimed at typifying the crossing structure and inquir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by type targeting Dorimcheon(stream), Banghakcheon(stream), Seongnaecheon(stream) and some sections of Yangjaecheon(stream) in Seoul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basic data for restoring vegetation in urban stream.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crossing structure into 56 slope types and 31 vertical types in combination with the three items, such as bank slope(vertical style, slope style) of bank, absence or presence of waterside, and revetment structure. This research derived nine slope types including SB1 (revetment of low water level-revetment with vegetation, and revetment of high water level-nature riverside) including SG5(revetment of low water-concrete, and revetment of high water level-riprap work), and three vertical types, such as VH4(bank revetment-wet masonry), and VH7(bank revetment - concrete )from the target survey areas. Among these, both revetment of low water level and high water level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on the longest section as the type of SG7 and VG7 structured in concrete. As a result of inquiry and analysis of micro topography structur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ight major types, this research could find out the influence of crossing structure on plant veget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by typified item, but there appeared no distinct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by crossing structure.

Morphology and Genesis of Block Fields o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in Kangwon Province, Korea (설악산국립공원에 발견되는 암괴원에 관한 고찰)

  • Park, 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5
    • /
    • pp.653-66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설악산 아고산대에 나타나는 산정형 암괴원에 관한 여러 가지 논의를 제시하였다. 이 암괴원은 산악인들에게는 너덜지대로 너리 알려져 있었으며, 설악산의 북쪽 황철봉과 귀떼기봉에서 대청에 이르는 서북주릉 상 화강암류의 기반암에 암괴원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암괴원은 규모가 클 뿐망 아니라 암괴상에는 풍화쇄설물을 가지고 있는 나마(gnamma)와 그루브(groove)를 비롯한 많은 화학적 풍화에 의한 미지형들이 발견되고 있어 한반도의 제 4기 후반의 기후변화와 지형형성 영력을 연구할수 이는 기후지형학적으로 중요한 연구지역이라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추후 발표될 암괴원의 성인과 고기후학적 의의에 관한 논의에 앞서 먼저 분포지역에 대한 소개와 몇 가지 이론적 고찰에 관하여 논의를 제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테일러스, 암괴류 등에 관한 논의가 상당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암괴원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Landsat 영상에 의한 구조선 분석 결과 구조선 밑도는 설악산 지역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으며, 암괴원은 대부분 화강암 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 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 Area - (신두리 해안사구의 미지형별 식생의 대상구조와 다양성 변화 - 천연기념물 지정지를 중심으로 -)

  • Song, Hong-Seon;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3
    • /
    • pp.290-298
    • /
    • 2007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e diversity, zonation of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by TWINSPAN classification and DECORANA ordination, executed with Sinduri coastal dunes of Korea, are as follows: The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of coastal dunes formed a noticeably clear zonation structure. The beach in the direction of the coastline saw a lot of appearance of Salsola komarovi and the primary dune was dominated by Elymus mol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and Carex pumila formed a colony at flat area of the sand hills and Calamagrostis epigeios was widely distributed at the wet slack. The secondary dune was dominated mostly by Ischaemum anthephoroides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and it showed an aspect of the distribution of Vitex rotundifolia and Rosa rugosa. while the hinterland hillside in the direction of inland was dominated by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thunbergii. However, Carex kobomugi, known as the pioneer species of the coastline-bound areas at the coastal dune, dominantly occupied the secondary dune of the rear side and continentally-inclined Miscanthus sinensi and Oenothera biennis of naturalized plant were irregularly spread over the whole of the coastal dune, so the stabilization of micro-topography seemed to be uncertain. Particularly, Miscanthus sinensis was predicted to be changed into dominant species of the primary dune, and secondary dune and slack having a commonly high species gathering inclination with the more progress of stabilization of the coastal dune. The expansion of sand hill wetlands and roads located between the primary dune and secondary dune was judged to have an effect on the zonation structure of plant distributi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lor selecting behavior and self-esteem in Mabinogi, the on-line game (마비노기에서의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Jang, You-Won;Doh, Young-Yi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51-655
    • /
    • 2007
  • 카툰 렌더링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RPG 게임인 마비노기에서는 게임이용자들이 염색 시스템을 통하여 의복아이템에 자신들이 원하는 색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 색에 관련된 주목할 만한 현상은유행색이 존재하고 색에 따라 같은 아이템의 가격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유행색이 존재하는 것은 현실과 비슷하지만 같은 아이템이 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현실에서는 보기 드물다. 이는 현실과 비슷하면서도 심리적인 속성이 다른 사이버공간만의 특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마비노기에서 게임이용자들이 색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작용하는 심리기제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비노기에서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예비 조사를 통해 게임이용자 20명과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색 사용 경험을 추출하고, 추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18문항의 색 선택 행동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온라인 설문으로 129명의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색 선택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색 선택 행동은 4개의 요인-색채 둔감성, 유행추종, 개성표현, 캐릭터이미지와의 적합성-으로 구분되었다. 색선택 행동 4개의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색 선택 행동 유형은 각각 색 분화형, 유행추종형, 색 둔감형으로 구분되었다.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 하위 범주 중 부정적인 자기평가, 타인의 의견에 대한 걱정, 의존성의 세 가지 하위 범주에서 색 선택 행동 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자의식 차원에서는 색 선택 행동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행추종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색 둔감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 존중감 수준이 높았다. 색 분화형은 유행추종형과 색 둔감형의 중간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볼 수 있었다. 유행추종형은 자기의 외부에서, 색 둔감형은 자기의 내부에서 색과 관련된 자신에 대한 가치감의 소재와 근원을 찾는 특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RPG 게임에서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고 색 선택 유형별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려는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추후에는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 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색이미지와 개별적인 색이미지 및 색이미지의 심리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색채감성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임을 제작할 때 캐릭터 디자인과 아이템 디자인에 어떠한 색을 사용해야 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주가시계열에 대한 확률미분방정식(確率微分方程式)의 모수(母數) 추정(推定)과 자본시장의 운동법칙(運動法則)

  • Lee, Il-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279-337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주가가 확률과정, 즉 확률미분방정식에 의하여 생성되는가를 검정하고 주가의 운동법칙을 규명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가 양수의 완전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으며, 더욱이 3년 정도의 시차까지 의미있는 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수익률과 가격변화의 시계열상관도 존재하고 시계열은 정상성(定常性)을 갖고 있다. 마팅게일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고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계산하고 있는 일별 종합주가지수를 포함한 41개 산업별 지수를 사용하여 자본시장의 운동법칙을 규명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세개의 확률미분방정식을 검정하였다. 각 주가지수들이 온스타인 울렌벡 브라운 운동과정과 평균회귀과정을 따르지 않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주가가 편류를 갖는 일반 기하 브라운 운동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이 검정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평균회귀과정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발견은 의외라 할 수 있다. 주가가 온스타인 울렌벡 과정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주가가 제 1계 정상적 자기회귀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에 의하여 생성된다. 가격변화와 수익률의 생성함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이다. 종합주가지수의 제 1계 시계열상관계수는 1이다. 상당히 큰 시차를 갖을 때까지 시계열상관이 대략적으로 1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수가 마팅게일을 따르고 있지 않다. 이 점은 가격변화와 수익률에 있어서도 유사하다. 가격변화, 수익률, 대수수익률의 제 1계 시계열상관이 0.1로 유의적이다. 따라서 수익도 마팅게일 과정을 따르고 있지 않다. 증권가격은 세 번에 걸쳐 구조의 번화가 발생하였다. 구조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평균가격이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장기적 기대가격이 미지일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단기적 기대 주가가 알려진 반면 장기적 기대 주가가 미지라면 평균회귀과정은 장기적 기대주가로 회귀하고 있는 과정이므로 장기기대 주가의 미지성이 평균회귀 과정의 기각을 유도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투자자들은 무위험자산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하여 투자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선형의 효용함수를 갖는 위험중립적 태도의 투자자가 아니다. 위험기피형 효용함수 아래에서 투자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합리적 투자자들이라 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자신의 평생에 걸친 소비를 소비가 이루어지는 각 기마다 가급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

  • PDF

동굴 문화재의 보전 관리 지침

  • 원종관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65-66
    • /
    • 1996
  • 동굴은 모두가 지구과학적인 면에서, 그리고 물리, 화학, 기상, 생물학적 인 면에서 그밖에도 고고학적인 측면에서도 현실적인 현지 학습장으로 등장하고 있다. 선사시대의 주거지였던 동굴, 변화가 적은 동굴 속의 기온, 그리고 진화가 느린 특수한 동굴 생물, 화학적인 용식과 물리적인 침식작용, 그밖에도 이들 작용에 의한 동굴미지형과 이들을 덮고 있는 지질구조 등 그 모든 것들이 우리들의 모든 학술 연구와 실험실습의 대상이 되고 있어, 그대로 현실과 진실을 관찰할 수 있는 현장이 바로 동굴인 것이다.(중략)

  • PDF

Geometrical Non-linear Analyses of Tapered Cantilever Column Subjected to Sub-tangential Follower Force (경사 종동력을 받는 변단면 기하 비선형 캔틸레버 기둥의 수치해석)

  • Lee, Byoung-Koo;Oh, Sang-Jin;Lee, Tae-E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6 no.1
    • /
    • pp.29-38
    • /
    • 2013
  • This paper deals with geometrical non-linear analyses of the tapered cantilever column subjected to the sub-tangential follower force at the free end. Cross-sections of the column whose flexural rigidities are functionally varied with the axial coordinate. The differential equations governing the elastica of such column are derived on the basis of the large deformation theory. These differential equations have three unknown parameter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s and rotation at the free end. These differential equations are numerically solved by the iteration technique for obtaining three unknowns and elastica of the deformed column. For validating theories developed herein, laboratory scaled experiments are conducted.

A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Study on Jeomal Cave (점말동굴 지역의 지형과 지질)

  • Kim, Joo-Wha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7
    • /
    • pp.21-34
    • /
    • 2005
  • Jeomal Cave consists of limestone. Soil distribution is very different from mountain area to piedmont area. The Cave developed in a part of the fault valley. The joints controls the low level stream orders in the cave. in this area the geological structure is close relate to the underground water flow. It is certai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clay came from the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