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 운동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7초

수면 자세가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leep position and of body weight on motor development)

  • 박경연;강지웅;장영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375-380
    • /
    • 2006
  • 목 적 : 엎어 재우기, 똑바로 누워 재우기, 옆으로 재우기 등 수면 자세에 따라서 조대운동발달과 미세운동발달이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2003월 12월부터 2005년 9월까지 1년 9개월 동안, 전주예수병원 소아과를 방문하는 3개월부터 16개월 사이의 소아 800명을 대상으로 운동발달검사, 수면 자세, 몸무게를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결 과 : 똑바로 누워 재우기가 79.3%, 엎어 재우기가 10.0%, 옆으로 재우기가 10.7%로, 똑바로 누워 재우기가 가장 많았다. 남아와 여아의 조대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109.5{\pm}16.3$, $108.1{\pm}17.3$이었으며, 미세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102.3{\pm}17.1$, $100.7{\pm}16.9$로 성별에 따른 발달의 차이는 없었다. 똑바로 누워 재우기, 엎어 재우기, 옆으로 재우기에 따른 조대운동발달 지수는 5개월에 $98.2{\pm}16.8$, $126.2{\pm}10.9$, $117.2{\pm}6.6$, 6개월에 $101.2{\pm}13.0$, $115.2{\pm}18.0$, $95.7{\pm}20.2$로 각각 엎어 재우기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 7개월에서 16개월까지는 차이가 없었다. 똑바로 누워 재우기, 엎어 재우기, 옆으로 재우기에 따른 미세운동발달 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 평균 미만의 몸무게 군과 연령별 평균 이상의 몸무게 군에서, 조대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106.3{\pm}16.3$, $109.9{\pm}16.8$이고, 미세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99.4{\pm}16.2$, $102.5{\pm}17.2$로 연령별 평균 이상의 몸무게 군에서 조대운동발달 지수와 운동발달 지수가 의의 있게 높았다. 결 론 : 엎어 재웠을 경우 5개월과 6개월에서 조대운동발달 지수가 높았으나, 7개월부터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운동발달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엎어 재우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운동질환에 대한 뇌심부자극 수술 중에 미세전극 기록의 분석과 유용성 (Analysis and Usefulness of Microelectrode Recording during Deep Brain Stimulation Surgery in Movement Disorders)

  • 백재승;박상구;김동준;박찬우;임성혁;현순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68-474
    • /
    • 2019
  • 뇌심부자극술은 뇌심부핵에 고주파 전기자극을 전달하여 약물 불응성 이상운동질환을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리고 미세전극기록은 뇌심부자극 수술 중에 MRI와 함께 뇌심부핵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수술 결과를 향상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보조적인 검사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상운동질환에 대한 뇌심부자극 수술 중에 실시한 미세전극기록을 분석하여 신경생리학적 파형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이상운동질환에 대한 뇌심부자극 수술 중에 미세전극기록를 실시한 환자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총 28명의 환자 중에 시상하핵은 38 개의 MER, 내측 담창구는 10개의 MER, 복내측 시상핵은 4개의 MER을 실시했다. 모두 목표지점을 찾았고 미세자극을 이용해서 부작용의 여부를 확인하고 목표지점을 재조정하였다. 수술 후 총 28명의 환자에서 모두 임상 증상은 호전되었다. 결론적으로. 미세전극기록은 신경생리학적 파형을 이용해서 MRI와 함께 정확한 뇌심부핵 부위를 파악해서 이상운동질환에 대한 뇌심부자극 수술 결과를 향상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다.

Lumbar spine 의 뼈와 Interbody cage의 접촉면에서 기계공학적 민감성 고찰 (The Mechanical Sensitivity at Interfaces between Bone and Interbody Cage of Lumbar Spine Segments)

  • 김용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5-301
    • /
    • 2000
  • 뼈의 성장에 미치는 많은 요소들 중에서 implant의 상대적인 미세운동(relative micromotion)은 뼈의 implant와의 접합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상대적인 운동 및 spinal stability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하중조건, spinal material의 물성치, spinal geometry 및 뼈와 implant의 접촉면에서의 마찰계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하나의 titanium interbody cage 가 삽입된 human lumbar segments (L4-L5)의 유한요소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유한요소 모델의 해석을 통하여 상대적인 미세운동, Posterior의 수직적인 변위, von Mises 응력 및 마찰력이 예측되었다. Cancellous bone. annulus fibers 및 ligaments의 기계적인 물성치의 감소 또는 접촉면에서의 마찰계수의 감소는 상대적인 미세운동 (relative micromotion or slip distance)을 증가 시켰다. 접촉면에서의 normal force는 뼈의 밀도 (cancellous bone density) 가 감소하거나 접촉마찰계수가 증가하면 감소했다. 특히 하중조건에 있어서, compressive preload에 대한 torsion의 추가는 접촉면의 anterior부위에서 상대적인 미세운동을 증가 시켰다. 하지만 디스크면적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인 미세운동은 감소했다. 결론적으로, 접촉면의 기계공학적 거동 (Relative micromotion, stress response, posterior axial displacement and contact normal force)은 접촉면의 마찰계수 뼈의 밀도, 하중조건 및 노화에 따른 형상/물성의 변화에 매우 민감함을 보이고있다.

  • PDF

운동훈련이 흰쥐 노화심근에 미치는 영향 I. 장기간 지구력 운동 훈련 (Effects of the Exercise Training on Aging Heart in Rat I. Long Term Endurance Exercise)

  • 박원학;이상선;이용덕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90
    • /
    • 1996
  • 장기간 반복 주행운동이 횐 쥐의 심근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생후 3개월,10개 월 및 20개월 된 횐 쥐를 운동군과 대조군으로 대별하여 motor driven treadmill을 이용하여 Park등이 사용한 방법에 준해서 5개월간, 주 5일 20분간 운동을 시킨 후 심근의 조직 및 세포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심근 세포 내 미세구조 변화를 입체해석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령 증가에 따라 장기간 반복운동이 휜쥐 심근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8, 15개월의 운동군과 대조군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며, 15개월의 운동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변성된 사립체, 리소조옴, 지방적, 공포, 노화색소 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25개월 운동군은 같은 연령 대조군에 비하여 근원섬유 수축대, 근원섬유 소실, 윤반분리,세포간질 증식, 핵의 변성,교원섬유 근섬유내 침입 등 매우 심한 변화를 보였다. 조직상에 나타나는 early lipofusin과 미세구조상에 나타나는 노화색소는 8, 15개월의 운동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25개월 운동군은 같은 연령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였다. Glucose-6-phosphatase 활성도 8, 15개월군에서 운동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활성이 높았으며 25개월의 대조군과 운동군에서는 모두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미세구조 변화를 입체해석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8, 15개월의 대조군과 운동군에서 체적 밀도의 모든 항은 양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5개월에서는 세포간질이 대조군에 비하여 운동군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근원섬유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립체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 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근형질세망의 체적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립체와 근원섬유 비는 8개월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15개월의 운동군과 대조군 사이에서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25개월 운동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연령증가에 따른 사립체 내막 표면밀도와 사립체수는 대조군과 운동군 사이에는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본 연구의 성적을 검토한 결과 젊은층(3개월군)과 중령층(10개월군)의 횐 쥐에서는 반복된 지구력운동이 심장에 미치는 역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으며 젊은 층의 횐 쥐에서는 오히려 심장기능 강화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노화층(20개월군)에서 운동군에서는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심장기능의 저하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된다.

  • PDF

이동 로봇의 수직 운동 감지를 위한 초소형 MEMS Z축 가속도계 (A MEMS Z-axis Microaccelerometer for Vertical Motion Sensing of Mobile Robot)

  • 이상민;조동일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249-25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웨이퍼 레벨 밀봉 실장된 수직 운동 가속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초소형 Z축 가속도 센싱 엘리먼트를 제작하였다. 초소형 Z축 가속도 센싱 엘리먼트는 수직 방향의 정전용량 변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단일 기판상에 수직 단차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확장된 희생 몸체 미세 가공 기술 (Extended Sacrificial Bulk Micromachining, ESBM) 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확장된 희생 몸체 미세 가공 기술을 이용하면 정렬오차가 없이 상하부 양쪽에 수직 단차를 갖는 실리콘 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MEMS 센싱 엘리먼트의 부유된 실리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웨이퍼 레벨 밀봉 실장 기술이 적용하여 고신뢰성, 고수율, 고성능의 Z축 가속도 센서를 제작하였다. 신호 처리 회로와 가속도 센서를 결합하여 Z축 가속도 센싱 시스템을 제작하였고 운동가속도 범위 10 g 이상, 정지 드리프트 17.3 mg 그리고 대역폭 60 Hz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최대 신장성 수축운동에 따른 인체 하지 족배굴곡근의 신경-기계학적 특성 변화 (Alterations in the Neuro-Mechanical Properties of Human Ankle Dorsiflexor after Maximum Eccentric Exercise)

  • 이해동;김승재;야수오카와카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장성 수축운동에 의한 미세 근수축 요소 손강 이론(Morgan & Allen, 1999)을 검증하고자 신장성 수축운동의 범위에 따른 골격근의 기계학적 특성 변화에 주안점을 두어 실험 연구를 수행 하였다. 12명의 건강한 피험자가 최대 발목 족배굴곡근의 신장성 수축운동을 수행하였고, 운동수행 전에 최대 등척성 발목 족배굴곡 모멘트-각도 관계로부터 최적 발목 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장성 수축운동 추 최적 발목 각도 변화는 신장성 수축운동의 범위와 상관없이 근육의 길이가 긴 쪽으로 변화를 가져왔다(4도, 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많은 연구에서 거론되고 있는 신장성 수축에 의한 근력 저하 및 지연성 근육통의 촉발 기전인 신장성 수축에 의한 미세 근수축 요소 손강 이론의 부합하지 않으며, 이 현상을 설명할 새로운 이론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미소자성 기법에 의한 원자로 압력용기강의 조사취화 회복특성 평가

  • 박덕근;홍준화;김인섭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713-717
    • /
    • 1995
  • 고속중성자를 조사한 원자로 압력용기용 SA508-3 강의 조사취화 회복에 따른 Barkhausen Noise의 변화와 미세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등온소둔에 의한 미세경도의 변화와 Barkhausen Count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고찰하고 격자결함에 의한 자구벽의 운동변화로 이를 설명하였다. 이는 앞으로 자기적 성질 변화를 이용한 조사손상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 환자의 요부안정화운동과 SEBT 트레이닝이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bar Stabilizing Exercise SEBT Training on Isometric Lumbar Strength, Dynamic Balance Ability and Range of Motion in Open Laser Lumbar Microdisectomy Patients)

  • 전호민;김정훈;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2-220
    • /
    • 2020
  • 본 연구는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전통적 재활플그램인 요부 안정화 운동에 SEBT 프로그램을 적용한 재활운동이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을 받은 후 6주간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요부안정화운동(Lumbar Stabilizing Exercise Group, LSG, n=7)과 SEBT+요부안정화운동그룹(SEBT Exercise +Lumbar Stabilizing Exercise Group, SLSG, n=7)을 8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요부의 등척성 근력 비율(72°와 0°)은 LSG(p=.007)와 SLSG(p=.024)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동적균형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Y-balance test의 세 방향 도달 거리에 대한 결과는 SLSG와 LSG의 모든 방향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동적균형 능력은 좌측(LSG, p=.010; SLSG, p=.002)과 우측(LSG, p=.002; SLSG, p=.002)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관절가동범위는 LSG(p=.006)와 SLSG(p=.017)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8주간의 재활운동 후, 전통적인 요부안정화 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에 SEBT프로그램을 추가한 재활운동 모두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후에 SEBT 프로그램만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느린 전단흐름에서 편모운동에 의한 대장균의 거동 특성 (Swimming Motion of Flagellated Bacteria Under Low Shear Flow Conditions)

  • 안용태;신항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1-19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낮은 전단흐름조건에서 편모 운동성이 박테리아의 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대다수의 미생물은 편모를 이용하여 수용액 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성은 수계나 수처리 시스템에서 미생물의 거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병원성 미생물의 이동 현상과 관련된 연구에서 편모에 의한 운동성은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체장치를 이용하여 전단흐름이 낮은 조건에서 E. coli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유속이 작은 경우에 E. coli는 포물선의 형태의 궤적들을 그리며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벽면 근처에서는 상류로 헤엄쳐 올라간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유속과 종횡비(aspect ratio)에 따른 궤적의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유속이 작을수록 포물선 형태의 궤적을 그리게 되며, 길이가 짧을수록 보다 작은 회전 반경을 그리며 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박테리아의 주화성에 의한 미세입자의 운동 (Motion of Microbeads Propelled by Bacterial Chemotaxis)

  • 김동욱;김영원;유정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5호
    • /
    • pp.523-529
    • /
    • 2010
  • Micro actuator의 동력원으로 박테리아 주화성을 기반으로 한 편모박테리아 운동은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입자 추적유속계($\mu$-PTV)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주화성에 의해 추진되는 형광입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활발한 운동성을 지니고 있는 편모 박테리아 중 Serratia marcescens가 배양액속에서 형광 폴리스티렌 미세입자 표면에 자발적으로 붙게 된다. 박테리아가 부착된 미세입자를 고형화된 화학적 유인물질 L-aspartate가 담겨져 있는 유체 속으로 주입하고, 시간에 따라 입자들이 서서히 L-aspartate가 높은 농도를 가지는 구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편모박테리아가 micro actuator의 효율적인 동력원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