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형태

Search Result 1,62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LCZ Type on Particulate Matter (LCZ 유형이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Yeonju Kim;Hansol Mun;Juchul J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5
    • /
    • pp.338-352
    • /
    • 2023
  • As of 2019, Korea's fine dust is the most severe among 38 OECD countries, and in the same year, 「the Framework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was revised to define fine dust as a social disaster. Currently, the government is working to achieve its emission reduction goals by preparing a comprehensive fine dust management plan (2022-2023) consisting of a total of five areas, 42 tasks, and 177 detailed task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not just as a source of emi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hape of the city was classified using the LCZ (Local Climate Zone) classification system into 17 types by building type and land cover type in Busan, and the average annual PM10 and PM2.5 concentration were mapped using the IDW technique. In addition, Fragstats and Moving Window were used to quantify the LCZ classification system.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CZ classification system and PM10 and PM2.5.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of low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type of green space with tre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fine dust reduction policies based on efficient spatial planning.

Fine Structure of Compound Eye Surface of 2 Species belong to 2 Genera in Korean Laphriinae(Asilidae, Diptera, Insecta) (한국산(韓國産) 벌파리매아과(亞科)(파리매과(科),파리목(目),곤충강(綱)) 2속(屬) 2종(種)의 복안(複眼)표면 미세구조)

  • Lee, Ok-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4 no.2
    • /
    • pp.113-118
    • /
    • 1999
  • The fine structure on the compound eye surface of 2 species(Choerades isshikii (Matsumura), Laphria rufa R$\ddot{o}$der) belong to 2 genera of Laphriinae in Korea was morphologically studi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image analyser. The compound eye was divided into 3 parts(medial, middle, and lateral)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a facet. The fine structure of a facet in the medial and middle part was characteristic in Korean Laphriinae. And this morphological character was valuable in taxonomy because of the fine structure was differ from each genus.

  • PDF

치과용 Ni-Ti 파일의 피로파절특성에 미치는 표면개질의 영향

  • Choe, H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76-76
    • /
    • 2017
  • Ni-Ti 파일은 근관치료 시 근관형성에 사용되며 근관계 내 조직 잔사와 세균 을 포함한 모든 내용물을 제거하고 미세누출이 생기지 않도록 성공적으로 근관충전을 할 수 있는 근관의 형태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Ni-Ti 파일은 수동형 파일처럼 날이 풀어지거나 예각으로 꺾이는 등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파일의 피로도나 손상정도를 인지하기 어려워 파일이 근관 내에서 부러지는 것을 막기가 어렵다. Ni-Ti 파일은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는 구부러짐이나 풀림 등의 소성변형 없이 기구의 탄성한계 내에서 갑작스럽게 파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만곡 근관 내에서 기구가 회전하는 동안 만곡의 안쪽에는 압축응력이, 만곡의 바깥쪽에는 인장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파절의 표면에 미세 파절과 균열이 발생하고 전파되어 결국 피로파절(fatigue fracture)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Ni-Ti파일이 반복응력을 받으면 균열이 형성되면서 파절이 야기되며 연성파절(ductile fracture) 양상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Ni-Ti 파일을 이용한 피로파절에 대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파일의 직경이나 경사도 (taper), 단면 형태 및 회전속도, 표면결함 등이 파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사용하지 않은 Ni-Ti파일을 구부려 응력을 가 한 상태에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기계 가공 과정에서 발생한 균열, 미세 결함, 긁힌 자국 및 불균질성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발표에서는 표면결함을 최소화하고 기구의 회전응력 하에서 피로파절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Micro Metal Powder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마이크로 금속분말사출성형 기술)

  • 김순욱;류성수;백응률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
    • v.11 no.2
    • /
    • pp.179-185
    • /
    • 2004
  • 통상적인 금속분말의 성형은 분말야금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구현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 이래 새로운 금속분말의 성형기술로 크게 각광을 받으며 연구되고 있는 금속분말사출성형(Metal Powder Injection Molding, MIM) 기술을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성형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MIM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 부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개발이 주목받고 있다./sup 1)/ 현재까지는 마이크로 부품을 제조하는 원천기술이 반도체 공정기술이나 마이크로 기계가공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sup 2,3)/ 특히, 경제적 효용성이라는 관점에서 수 마이크로 이하의 극미세 구조물은 반도체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유리하며, 1㎜의 치수를 갖는 미세 구조물은 마이크로 기계가공기술로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그림 1). 하지만, 수십 마이크로에서 수백 마이크로의 치수를 갖는 구조물 제조에 있어서 앞선 두 공정기술은 응용 재료의 종류와 복합한 형상의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다. 비록 반도체 공정기술에서 박막 증착과 전기화학적 도금기술을 이용한 표면미세가공 기술에 의해 수십 마이크로 이내의 치수를 갖는 미세 구조물을 정밀하게 성형하지만,/sup 4,5,)/ 수백 마이크로 크기의 치수를 반도체공정기술로 구현하기는 곤란하다. 또한, 마이크로 기계가공기술도 높은 가공 정밀도를 유지하며 수백 마이크로 크기의 구조물을 가공할 수 있지만 복잡한 모양의 형태를 대량생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The Aging Behavior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g-9Al-2Zn Alloy Fabricated by Squeeze Casting (용탕단조법에 의해 제조된 Mg-9Al-2Zn합금의 시효거동 및 기계적 성질)

  • Gang, Min-Cheol;Kim, In-Bae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6
    • /
    • pp.453-459
    • /
    • 1997
  • 용탕단조법에 의해 제조된 Mg-9AI-2Zn 합금을 미세조직관찰, 미소경도측정, 인장시험 등을 행하여 시효거동과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용탕에 가압을 한 결과 주조결함이 제거된 미세한 주조조직을 얻었으며 미세조직은 초정 $\alpha$(Mg 고용체), 과포화고용체 $\alpha$상 및 $\beta$(Mg$_{17}$AI$_{12}$)화합물의 3가지 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6$0^{\circ}C$및 20$0^{\circ}C$에서 시효열처리한 결과 $\beta$석출물에 의한 피크 경도값이 나타났으며 피크경도에서의 석출물의 형태는 lamella 형태의 불연속 석출물이 대부분이었고 과시효에 따라 불연속석출물의 조대화와 함께 연속석출물의 분율이 증가하였다. 용탕단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Mg-9AI-2Zn 합금의 인장특성은 인장강도 261.4MPa, 연산율 7.6%로서 상용 AZ 92 합금보다 인장강도 및 연신율에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졌는데 이는 Zn의 고용강화 및 용탕의 가압에 의한 효과였다.다.

  • PDF

Eine Structure of Digital Arteries in Rat (흰쥐 수지동맥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 Kim, Baik-Yoon;Shin, Keun-Nam
    • Applied Microscopy
    • /
    • v.29 no.1
    • /
    • pp.83-94
    • /
    • 1999
  • The ultrastructure of small arterioles and capillaries in the lumbrical muscles of rat digits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iameter of small arterioles of rat digits were $12\sim20{\mu}m$, and it was relatively smaller than human $(30\sim35{\mu}m)$. 2. All the endothelial cells of small arterioles and capillaries in the lumbrical muscles of rat digits were continuous type, and they had typic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endothelial cells : numerous cytoplasmic pinocytic vesicles and many tight junctions between the endothelial cells. 3. In the small arterioles subendothelial layers were irregularly spaced beneath the basal lamina, and membrane to membrane contacts were found between the endothelial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4. Pericytes were often found nearby capillary endothelium, and their cytoplasmic processes surrounded part of endothelial cells. They were enclosed by basal lamina. 5. Smooth muscle cells in tunica media of small arterioles were only one layered, that is, they were terminal arterioles. Sarcoplasm of smooth muscle cell was divided to 2 areas; homogeneous or filamentous area and non-homogeneous perinuclear area. 6. The tunica adventitia contained fibroblasts with extremely attenuated cytoplasmic processes and collagen fibirls.

  • PDF

Fabrication of Depth Probe Type Semiconductor Microelectrode Arrays for Neural Recording Using Both Dry and wet Etching of Silicon (실리콘 건식식각과 습식식각을 이용한 신경 신호 기록용 탐침형 반도체 미세전극 어레이의 제작)

  • 신동용;윤태환;황은정;오승재;신형철;김성준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2
    • /
    • pp.145-150
    • /
    • 2001
  • 대뇌 피질에 삽입하여 깊이에 따라 신경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탐침형 반도체 미세전극 어레이(depth-type silicon microelectrode array, 일명 SNU probe)를 제작하였다. 붕소를 확산시켜 생성된 고농도 p-type doping된 p+ 영역을 습식식각 정지점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실리콘 웨이퍼의 앞면을 건식식각하여 원하는 탐침 두께만큼의 깊이로 트렌치(trench)를 형성한 후 뒷면을 습식식각하는 방법으로 탐침 형태의 미세 구조를 만들었다. 제작된 반도체 미세전극 어레이의 탐침 두께는 30 $\mu\textrm{m}$이며 실리콘 건식식각을 위한 마스크로 6 $\mu\textrm{m}$ 두께의 LTO(low temperature oxide)를 사용하였다. 탐침의 두께는 개발된 본 공정을 이용해서 5~90 $\mu\textrm{m}$ 범위까지 쉽게 조절할 수 있었다. 탐침의 두께를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여러 신경조직에 필요한 다양한 구조의 반도체 미세전극 어레이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공정을 이용해서 개발된 4채널 SUN probe를 사용하여 흰쥐의 제1차 체감각 피질에서 4채널 신경 신호를 동시에 기록하였으며, 전기적 특성검사에서 기존의 탐침형 반도체 미세전극, 텅스텐 전극과 대등하거나 우수한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 PDF

Modeling of Sound-structure Interactions for Designing a Piezoelectric Micro-Cantilever Acoustic Vector Sensor (압전 미세 외팔보 형 수중 음향 벡터센서의 작동 원리와 설계 기법)

  • Yang, Seongkwan;Kim, Junsoo;Moon, Wonkyu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2
    • /
    • pp.108-116
    • /
    • 2015
  • An acoustic vector sensor is a device that is capable of measuring the direction of wave propagation and the acoustic pressure. In this paper, the modeling of micro-cantilever sensor for the vector sensor are proposed by consideration of acoustic phenomenon in water. Two models based on unimorph structure are proposed in this paper and corresponding transfer function which describes the relation between input pressure wave and output voltage depending on incidence angle and frequency of pressure wave is derived based on lumped model. It has been shown that very thin and flexible micro-cantilever can be used to measure directly the particle velocity component in water.

Interactions between Particulate Matter and Plants: Focusing on Current Research Status and Ecological Impacts (미세먼지와 식물의 상호작용: 국내외 연구동향 및 생태적 영향 고찰)

  • Son, Min-Jeong;Nam, Ki-J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3 no.4
    • /
    • pp.436-444
    • /
    • 2020
  •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PM)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it has adverse impacts on environment and human public health. As plants can have a potential to reduce APM significantly by its deposition on leaves, considerable efforts has been made to use them as a biofilter. However, APM accumulation on plants can induce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alterations in plants. The present review aimed to synthesize the methods and results of the recent relevant research on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APM, especially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briefly took into account the current status in Korea on this actively increasing research area.

Classification of Warhead and Debris using CFAR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FAR와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기두부와 단 분리 시 조각 구분)

  • Seol, Seung-Hwan;Choi, In-Si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7 no.6
    • /
    • pp.85-94
    • /
    • 2019
  • Warhead and debris show the different micro-Doppler frequency shape in the spectrogram because of the different micro motion. So we can classify them using the micro-Doppler features. In this paper, we classified warhead and debris in the separation phase using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the input image of CNN, we used micro-Doppler spectrogram. In addition, to improv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warhead and debris, we applied the preprocessing using CA-CFAR to the micro-Doppler spectrogram. As a result, when the preprocessing of micro-Doppler spectrogram was used, classific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in all signal-to-noise ratio(SN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