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입자 중량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mparisons of the Particle Emission Characteristics Between GDI and MPI Vehicles (GDI와 MPI 자동차의 미세입자 배출특성 비교)

  • Lee, Jongtae;Kim, Kijoon;Kim, Jeongsoo;Jang, Jihwan;Park, Sungwook
    • Journal of ILASS-Korea
    • /
    • v.19 no.4
    • /
    • pp.182-187
    • /
    • 2014
  • As the regulations for Particulate Matter (PM) and Particle Number (PN) emissions from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Vehicle stringent recently, a lot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M and PN. In this study, PM and PN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GDI and Multi Port Injection (MPI) Vehicles using the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CPC) measurement equipment. And driving mode is divided into normal driving mode (CVS-75, NEDC, NIER 6, NIER 9) and a constant speed driving mode (10 km/h, 35 km/h, 80 km/h, 110 km/h)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in the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In the results, most of the driving mode, PM and PN were emitted from GDI Vehicle more than MPI Vehicle. However, in the constant speed mode of 110 km/h, PM and PN from MPI Vehicle were also a lot of emission. It is determined to cause a difficulty in the fuel injection control of the MPI Vehicle.

Comparison of Weight and Inorganic Ion Concentrations in $PM_{2.5}$ collected from Background, Urban and Industrial Complex Area (배경, 도시 및 산단 지역에서 채취한 $PM_{2.5}$의 중량 및 무기 이온농도의 비교)

  • 정경미;김희갑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29-230
    • /
    • 2003
  • 최근에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의 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기의 시정뿐만 아니라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보고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미세 입자는 화학적 조성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할 수 있다. 중량농도 및 무기이온의 농도는 대부분 겨울철에 높으며, 특히 음이온 중에서는 SO$_4$$^{2-}$ , NO$_3$$^{-}$이, 양이온 중에서는 NH$_4$$^{+}$ 이온이 중량농도 중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중략)

  • PDF

Microstructural evolution in liquid-phase sintered $\alpha$-silicon carbide (액상소결 $\alpha$형 탄화규소의 미세구조 변화)

  • 이종국;강현희;박종곤;이은구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8 no.2
    • /
    • pp.324-331
    • /
    • 1998
  • After the addition of yttrium aluminum garnet of 2, 5, 10 mol% as a sintering aid, $\alpha$-silicon carbides were prepared by a liquid-phase sintering at $1850^{\circ}C$, and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was investigated during sintering as functions of liquid-phase amount and sintering time. The highest apparent density in each compositions was obtained in specimens sintered for 2 h, and the percentage of weight loss increased with sintering tim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intering aid (yttrium aluminum garnet), the rate of grain growth during sintering decreased, but the apparent density of sintered body increased. The phase transformation from 6H-SiC to 4H-SiC was partially observed in specimens sintered for a long time, and so, a few rod-like grains were observed.

  • PDF

Development of Moving-Type Soil Washing Device for the 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이동형 토양세척 장비의 개발)

  • 소정현;김형수;박준형;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4a
    • /
    • pp.194-19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효율적인 이동형 연속식 토양세척 장비를 개발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진세척조는 내부에 스크류를 설치함으로써 주입되는 오염토양과 세척용액의 기계적 교반에 의한 원활한 접촉과 토양간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의 탈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전세척조 외부에 위치한 주세척조는 전세척조에서 탈착된 오염물질과 미세입자를 원 토양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헹굼작용과 배출부에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세척 유출수가 효율적으로 분리 배출이 될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현장 적용 실험결과, 설계 목표치인 토양 주입 속도 15m$^3$/day, 계면활성제 POE$_{5}$POE$_{14}$의 비 1:1 (농도 0.1%), 세척수/토양 비 (부피/중량비) 1, 전세척조 회전속도 18rpm. 주세척조 회전속도 5rpm의 운전조건에서 90% 이상의 높은 세척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omposite Active Materials (Activated Carbon + $LiCoO_2$) Electrode (혼합 활물질 (활성탄소 + $LiCoO_2$)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 Kim, Ick-Jun;Jeon, Min-Jae;Yang, Sun-He;Moon, Seoung-In;Kim,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497-497
    • /
    • 2007
  • 활성탄소를 양쪽 전극에 사용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고출력 특성과 반영구적인 cycle 수명인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단위 중랑 또는 부피 당 용량이 작아 메모리 백업용 보조전원으로서의 활용에 그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앙쪽의 전극에 충방전 메카니즘을 달리하는 비대칭 전극 설계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가 개발되었고, 에너지밀도로서는 유기계 전해액에서 약 15-20 Wh/kg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메서는 양극의 활성탄소에 비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LiCo02 분말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전극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LiCoO_2$ 분말의 혼합 종량비의 영향에 의한 전극 부피 당 용량(mAh/cc)의 변화와 $LiCoO_2$ 분말의 입자 크기에 의한 하이브리드 전극의 출력 특성을 조사하였다. $LiCoO_2$ 분말은 불밀을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조절하였고, 각각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LiCoO2 분말을 활성탄소와 함께 혼합하여 혼합 활물질 : Carbon black : PTFE의 중량비가 90 : 5 : 5가 되도록 sheet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전극을 양극에, Li foil을 음극에, 전해액을 LiPF6 in EC DMC를 사용하여 코인셀을 제조하고 전기화학적 특성은 MACCOR 충방전기를, AC 저항은 AC impedance를 각각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활성탄소에 $LiCoO_2$ 분말의 첨가 중량비가 증가할수록 전극 부피 당 용량은 증가하였으나, 원료 상태의 $LiCoO_2$ 분말의 첨가에서는 코인셀의 전극 저항은 첨가 중량에 따라 단순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세 $LiCoO_2$ 분말을 첨가할 경우, 20%의 첨가에서 전극 저항은 활성탄소 만을 사용한 전극과 동등한 전극저항을 나타내고 충방전 cycle 특성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Apparatus to Measure a Pore Size of Micro-pore Fabrics Used for a Bedding to Block the House Dust Mite Allergen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차단 침구에 사용되는 극세 공극 직물의 공극 측정을 위한 입자 투과 실험 장치의 개발)

  • Kim, Donhu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0 no.4
    • /
    • pp.557-563
    • /
    • 2022
  • In order to measure the allergen penetration of micropore fabr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venient and appropriate experimental method for measuring a pore size of micropore fabrics. In this study, a simple and economical experimental apparatus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he pore size of micropore fabrics by measuring the weight reduction rate. In addition, the allergen blocking propertie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pore sizes of various fabric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microporous fabric could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weight reduction rates. In addition, higher weight reduction rate was obtained as the suction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particle permeation device decreased and the suction time was increase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experimental method and apparatus can be utilized as an experimental standard for quality control method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icropore fabrics used for house dust mite blocking bedding.

The Properties of OPC-Slag Cement Mixed with Nano-Silica Solution by Mixing Water Weight Replacement Method (나노실리카 졸을 배합수 중량치환 방법으로 혼합한 OPC-slag cement의 특성)

  • Seo, Ki-Young;Kim, Taewan;Kim, Seong-D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4 no.1
    • /
    • pp.24-34
    • /
    • 2020
  •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PC-slag cement using nano-silica solution (NSS) with water-weight substitution method. The new replacement method is a fundamental step to study the behavior of cement with higher NSS replacement rates than previous studies. NSS was replaced by 10%, 20%, 30%, 40%, and 50% of the mixing water weight. As a result, the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This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when the NSS is replaced with mixing water, the homogeneous dispersion action of the nano-silica particles is improved. This promotes initial hydration. Second, substitution of NSS with higher density than mixing water reduces w / b. This forms a dense hydration reaction material. The new substitution method did not show any degradation of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properties as compared with the results using the powdered nano-silica particles revealed in the previous stud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weight substitution of NSS u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formulation of OPC-slag cement.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 장치 특성 연구

  • Choe, Seo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59-260
    • /
    • 2012
  • 산업화가 발달됨에 따라 대기 오염 물질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특히 기름 및 석탄 연소 보일러, 자동차, 제철, 시멘트 플렌트, 소각로 등은 미세 분진을 발생시키는 주원인이 되어 왔다. 최근 대기환경법은 오염 분진의 중량 규제로부터 $10{\mu}m$ 미만의 PM10에서 $2.5{\mu}m$ 미만의 PM2.5의 미세 분진에 대한 규제로 점차 심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미세분진은 고전적인 제거 방법으로는 매우 어려우며 고가의 HEPA 필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전기 집진은 미세 먼지 제거에 매우 효율적이어서 $1{\mu}m$ 미만의 미세 분지도 99%까지 제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입자크기가 클 경우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사이클론 집진기는 매우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가격이 저렴하고 운영비가 적게 들며 $10{\mu}m$ 이상의 먼지는 99% 이상 제거가 가능하여 산업현장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지만 입자크기가 $10{\mu}m$ 미만으로 가면 집진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이클론 집진기의 구조를 기본으로하여 사이클론 집진기 내부에 플라즈마 방전을 설치하여 원심력에 의한 집진과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기 집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사이클론 집진기는 직경 30 cm 높이 120 cm의 사이클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1 hp의 터보송풍기를 장착하여 $20m^3$/min 이상의 유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제작된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0m^3$의 체적을 가지는 테스트 챔버 내부에 사이클론 집진기를 설치하고 향을 태워 미세 먼지를 발생시킨 후 다양한 조건에서 집진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미세 먼지의 경우 사이클론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테스트 챔버 벽면에 흡착되어 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매우 느리게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 되었다. 코로나 방전을 하지 않고 오존 파괴기에 활성탄만 충진한 상태에서 사이크론을 작동시킬 경우 지속적으로 천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코로나 플라즈마를 방전시킨 경우 미세 먼지는 HEPA filter를 장착한 것보다도 조금 빠르게 미세먼지를 제거하였다. 챔버 내부의 미세먼지가 초기 값의 1/10에 도달하는 시간은 코로나 방전 전류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100초 이내에 90% 이상 제거가 가능하였다.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는 집진 뿐 만 아리라 VOC 성분도 분해가 가능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있다. 유해 가스 제거 능력을 실험하기 위하여 분진제거 실험에 사용된 챔버 안에 아세톤을 증발시켜 50 ppm이 되도록 한 후 다양한 조건에서 유해물질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세먼지와는 달리 장비를 작동하지 않을 경우 매우 느리게 아세톤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미세 먼지와는 달리 흡착이 발생하지 않고, 측정 챔버 자체가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적으로 조금씩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코로나 플라즈마만 방전시켰을 경우 초기 농도의 80%가 제거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8분 정도로 코로나 플라즈마가 VOC 제거에 효과가 있음은 확인하였으나 제거율이 그리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오존 파괴를 위해 활성탄으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시킨 경우는 약 12분 경과 후 80%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VOC의 감소가 매우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활성탄 대신 $MnO_2$ 복합촉매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한 경우 약 3분 정도 경과 후 80%의 아세톤이 제거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코로나 플라즈마를 작동시키면서 $MnO_2$ 복합촉매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시킨 경우 약 2분 정도 경과 80% 이상의 아세톤이 제거되어 코로나 플라즈마와 복합촉매를 사용할 경우 VOC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Meat Cooking (고기구이에서 발생하는 입자상물질의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Bong, C.K.;Park, S.J.;Park, S.K.;Kim, J.H.;Hwang, Y.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3
    • /
    • pp.196-201
    • /
    • 2011
  • Emission from meat cooking may contribut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s(PM) in the ci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an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pork and beef cooking. The chamber was installed for sampling of PM generated from pork belly and beef sirloin cooking including seasoned ones. Cascade Impactor and Portable Aerosol Monitor (PAM) were used to analys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t the result of the Cascade Impactor sampling, particulate matters from the pork cooking was higher than that of beef. The gravimetric concentration of PM according to the size was highest at the range of $1.95{\sim}3.2{\mu}m$ and the gravimetric concentration of PM from the non-seasoned mea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asoned one. The emission factors from pork, pork seasoned, beef and beef seasoned were 1.36 g/kg, 1.03 g/kg, 1.23 g/kg, 0.92 g/kg respectively. To see the result of PAM sampling, the ranges of $1.6{\sim}2.5{\mu}m$ and $2.5{\sim}3.5{\mu}m$ were reveled as highest. The ration of $PM_{2.5}/PM_{10}$ from pork and beef was 0.56~0.58. The emission factors from pork, pork seasoned, beef and beef seasoned measured by PAM were revealed as 3.37 g/kg, 2.76 g/kg, 2.93 g/kg, 2.77 g/kg respectively.

Evaluation of Dust Removal Efficiency on Roadway Structures Using Ultrafine Bubble Water Jet (초미세기포 water jet을 이용한 도로 시설물 분진 제거 효율 평가)

  • Kim, Hyun-Jin;Park, Il-gun
    • Clean Technology
    • /
    • v.27 no.1
    • /
    • pp.39-46
    • /
    • 2021
  • A road structure washing vehicle equipped with a 4 HP, 80 LPM ultrafine bubble generator was used to clean a tunnel wall and the surface of the surrounding structure, consisting of concrete and tiles, in a heavy traffic area around an apartment complex in the city. Ultrafine bubbles were generated by supplying air at 2 to 3 LPM and using a specially designed nozzle, whereas fine bubbles made by an impeller in a gas-liquid mixing self-priming pump were produced with an average diameter of 165.4 nm and 6.81 × 107 particles mL-1. Using a high pressure washer gun that can perform high-pressure cleaning at 150 bar and 30 LPM, ultrafine bubbles were used to wash dust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road structures. The experimental analysis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washing.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applying ISO 8502-3 to measure surface contamination of dust adsorbed on the surface. Using the transparent tape attached to the surface, the removal rat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dust, and the number of particles was calculated using the gravimetric method and the software, ImageJ.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number of dust particles adsorbed on the tile wall surface before and after washing were 3,063 ± 218 particles mL-1 and 20 ± 5 particles mL-1, respectively, with weights of 580 ± 82 mg and 13 ± 4 mg.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before and after washing were 8,105 ± 1,738 particles mL-1 and 39 ± 6 particles mL-1, respectively, with weights of 1,448 ± 190 mg and 118 ± 32 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