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인장 결합강도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2초

비교원성 단백질이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와 교원질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CHONDROITIN SULFATE ON BOND STRENGTH OF DENTIN ADHESIVES AND COLLAGEN ARCHITECTURE)

  • 김종률;박상진;최기운;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3호
    • /
    • pp.211-221
    • /
    • 2010
  • 본 연구는 상아질의 비교원성 단백질을 chondroitinase ABC (C-ABC)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비교원성 단백질의 제거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교원질망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상아질의 다양한 습윤상태에 따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비교원성 단백질의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강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 3대구치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두 군으로 나누고 한 군은 C-ABC, 다른 군은 증류수를 $37^{\circ}C$에서 48시간 동안 적용한 후, 상아질의 습윤상태(wet, dry 및 re-wet)와 상아질 접착제(Single Bond 2, One Step Plus)를 다르게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수복하였다. 24시간 후 가로 1 mm, 세로 1mm의 시편을 제작하고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상아질 교원질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상아질 시편에 산부식을 시행하고 C-ABC 적용 후, 시편을 제작하였고 미세인장강도 측정후 파괴된 접착면의 파괴양상과 각 접착제의 접착계면 관찰을 위하여 FE-SEM 관찰하였다. C-ABC 처리여부와 관계없이 습윤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은 모든 접착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C-ABC를 적용하였을 경우, Single Bond 2에서는 재수화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이 습윤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에 비해 미세인장결합강도가 감소하였다(p < 0.05). FE-SEM 관찰결과, C-ABC를 적용후에는 접착성 파괴가 주로 일어났으며, 교원질 섬유간 거리가 증가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교원질 섬유들간에 응집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 or two applications of all-in-one adhesiv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unground enamel)

  • 손창용;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45-45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였다. 발거된 하악 대구치의 설측 치관부를 사용하여 3개씩 5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SE군은 Clearfil$^{tm}$ SE Bond를 적용하였다. LP1 군, LP2 군은 Adper Prompt L-Pop$^{tm}$을 각각 1회 , 2회 적용하였다. XN1 군, XN2 군은 Xeno$^{R}$III를 각각 1회, 2회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복합 레진 Z100을 적층 충전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접착제를 아세톤으로 제거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산 부식 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표본을 절단하여 레진과 치아의 접착 계면이 1 mm$^2$이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One-way ANOVA를 사용해 분석한 다음 Duncan's post-hoc test로 사후 검정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all-in-one adhesive의 1회와 2회 적용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two-step self-etching adhesive와 all-in-one adhesive의 산 부식 양상 모두 얕고 불규칙 하였다.

시효처리 후의 컴포지트에 대한 레진 컴포지트의 미세 인장 결합강도에 표면처리가 미치는 효과 (Effect of Surface Treatments of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Composite to Composite after aging Conditions)

  • 유민진;허미자;김희량;유미경;이광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3호
    • /
    • pp.339-347
    • /
    • 2010
  • 이전에 존재하던 컴포지트와 새로운 컴포지트 사이의 결합강도의 강화는 미세 기계적 유지를 증진하기 위한 표면 거칠기의 증가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시효처리 후의 레진 컴포지트의 repair 결합강도에 다른 표면처리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이용한 air abrasion, chair-side silica coating한 그룹들에서 대조군과 불산 적용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레진 수복물의 repair시에 air abrasion의 사용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부가적으로 silane의 적용은 결합강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레진 시멘트와 코발트 크롬 합금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다양한 프라이머들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mers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s to cobalt-chromium alloy)

  • 정홍택;;박진홍;신주희;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95-101
    • /
    • 2019
  • 목적: 레진 시멘트와 코발트 크롬 합금 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다양한 프라이머들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서는 4개의 프라이머(Universal primer, Metal primer II, Alloy primer, and Metal/Zirconia primer)와 2개의 레진 시멘트(Panavia F2.0, G-CEM LinkAce)를 사용하였고, 길이 6 mm, 폭 1 mm, 두께 1 mm의 150개의 코발트 크롬 빔들이 캐스팅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150개의 코발트 크롬 빔들을 프라이머와 레진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프라이머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을 포함하여 10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금속과 레진시멘트를 산화알루미늄($125{\mu}m$ 크기)으로 샌드블라스팅 처리한 후 실리콘 틀을 이용하여 접착시켰다. 실험 전에, 입체현미경(stereomicroscope)을 이용하여 모든 금속-레진 빔들을 검사하였고,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을 시행하였다. 통계적인 평가에는 one-way ANOVA와 Tukey's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모든 그룹들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20 - 28 MPa이었으며,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anavia F2.0과 G-CEM LinkAce 그룹 모두에서 접착 파절과 응집 파절이 동시에 나타나는 혼합 파절이 가장 흔하게 일어난 파절 양태였다. 결론: 모든 실험군들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본 실험에서는 프라이머의 사용이 Panavia F2.0 및 G-CEM LinkAce 레진시멘트와 코발트 크롬 합금 사이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에 따른 결합 효능 (Bonding efficacy of cured or uncured dentin adhesives in indirect resin)

  • 장지현;이빈나;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6호
    • /
    • pp.490-497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가 레진인레이와 상아질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결합계면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4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절단하여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수복 방법에 따라 크게 간접 레진수복과 직접 레진수복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임시 수복하여 1주일 후, 상아질 접착 과정에 따라 4군(OB-C와 OB-NC군, OS-C와 OS-NC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OptiBond FL (Kerr) 또는 One-Step (Bisco) 상아질 접착제를 중합 여부에 따라 나누어 적용하였다. 처리된 상아질면에 제작된 3 mm 높이의 레진 인레이(Tescera, Bisco)를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합착하였다. 직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 (Estelite${\Sigma}$, Tokuyama)으로 즉시 수복하였다(OB-D군, OS-D군). 수복을 마친 모든 치아는 24시간 후, 미세인장 결합 강도 평가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CLSM)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접 레진수복군은 직접 레진수복군에 비하여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OB-C군, OS-C군)이 광중합을 시행하지 않은 군(OB-NC군, OS-NC군)에 비하여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접착 계면에 대한 CLSM 관찰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에서 더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이 관찰되었다.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하지 않은 군에서는 혼성층이 불분명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간접 레진수복물의 합착시 레진시멘트의 적용 전에 상아질 접착제의 광중합은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의 형성하며, 이는 결합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자가부식형 상아질접착제와 레진시멘트와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COMPATIBILITY OF SELF-ETCHING DENTIN ADHESIVES WITH RESIN LUTING CEMENTS)

  • 김도완;박상진;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6호
    • /
    • pp.493-504
    • /
    • 2005
  •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제와 레진 시멘트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발거한 제3대구치의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킨 후 Tescera ATL 복합레진 시편을 상아질 접착제 [All Bond 2 (Bisco), Clearfil SE Bond (Kuraray), Adper Prompt L-POP (3M), One-Up Bond F (Tokuyama)]와 레진시멘트 [Choice (Bisco), Panavia F (Kuraray), RelyX ARC (3M), Bistite II DC (Tokuyama)]로 접착하고 미세인장 결합강도 및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Clearfil SE Bond와 All-Bond 2가 Prompt L-Pop과 One-Up Bond F 보다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2. Clearfil SE Bond와 All-Bond 2 사용시 1-step 상아질 접착제보다 혼성층이 두껍고 레진 tag가 길었다.

수종의 상아질 접착시스템이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BONDING SYSTEMS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IMMEDIATE AND DELAYED DENTIN SEALING)

  • 하진희;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26-536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종의 상아질 접착시스템이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에서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18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은 노출된 상아질면을 임시수복하였으며, 1주간 보관 후, 접착제에 따라 3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도포하였다; SB 그룹 (3 단계 산 부식 접착제), SE 그룹 (2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 XE 그룹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은 3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접착제를 도포하고 임시수복 후 1주간 보관하였다. 모든 시편은 간접 복합레진과 레진 시멘트로 합착하고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은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에 비해 3단계 산 부식과 2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에서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p < 0.05). 2.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 모두 미세인장결합강도는 3단계 산 부식, 2단계 자가 부식,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순으로 감소하였고,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에서는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와 다른 소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 0.05), 지연 상아질 봉쇄 그룹에서는 모든 소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 3. 파절 양상은 대부분 혼합성 파절을 보였으며,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에서만 접착성 파절을 보였다.

수리된 복합 레진 수복물의 파괴 거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fractural behavior of repaired composite)

  • 박상순;남욱;엄아향;김덕수;최기운;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6호
    • /
    • pp.461-472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세인장결합강도와 파괴인성을 통해 복합 레진 수복물의 수리 시기와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파괴 거동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Short rod 시편과 composite resin specimen block을 준비하여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none-treated, sand blasting, bur roughening 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즉시군과 2주 지연군으로 나누어 수리했다. 결과: 미세인장결합강도와 파괴인성을 측정한 결과, 두 실험 모두에서 즉시군이 지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기계적 표면 처리군이 none-treated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sand blasting과 bur roughening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파괴인성과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FE-SEM을 보아 수복물의 탈락은 균열 전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 수리된 복합 레진의 파괴 거동 평가에는 파괴인성 실험이 적합하다.

레진코팅된 상아질 표면과 레진인레이간 결합에 임시가봉재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ORARY FILLING MATERIALS ON THE ADHESION BETWEEN DENTIN ADHESIVE-COATED SURFACE AND RESIN INLAY)

  • 김태균;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53-55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레진 코팅된 표면과 레진인레이 사이의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를 이용한 결합 시 임시가봉제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aviton(GC, Tokyo, Japan),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 petrolatum, and Eugenol-based cement, Tembond(Kerr, Orange. CA, USA) 이 임시가봉재로 사용되었다. Tescera(Bisco, Schamburg IL, USA) 로 제작하였고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인 Rely X unicem (3M, St. Paul. Minn, USA) 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후 미세인 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one-way anova 와 Duncan tes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Caviton 군이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Provifil, Provifil & petrolatum, Tembond 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NaOCl로 처리된 치수강 상아질에서 sodium ascorbate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DIUM ASCORBAT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TO PULP CHAMBER DENTIN TREATED WITH NAOCL)

  • 전수연;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45-55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NaOCl로 처리된 치수강 상아질에 total-etching adhesive system(single bond, 3M-ESPE, St Paul, MN, USA)을 적용할 때 미세인장결합강도에서 sodium ascorbate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건전한 인간 대구치의 치수강 내면을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1군, 0.9% NaCl로 세척; 2군, 5.25% NaOCl로 세척; 3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분간 적용; 4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5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5분간 적용; 6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5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7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0분간 적용; 8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0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처리된 시편들은 total-etching adhesive system(Single bond)으로 처리한 후 composite resin(Z250)으로 충전하고,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전 24시 간 동안 보관하였다. 분석 결과 NaOCl 처리 군(2군)은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NaCl 처리 군(1군)과 sodium ascorbate 처리 군(3-8군)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NaOCl로 처리한 치수강 상아질의 Single bond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는 감소되며, 10% sodium ascorbate를 추가적으로 처리하였을 때 감소된 결합력이 회복됨을 보여주었다. Sodium ascorbate의 다양한 처리시간은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