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효소활성도

검색결과 1,157건 처리시간 0.025초

제니스테인에 의한 노화된 피부세포 활성화와 콜라겐 생성 효과 (The Effects of Genistein on the Proliferation and Type I pN Collagen Synthesis in Aged Normal Human Fibroblasts)

  • 양은순;홍란희;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6-324
    • /
    • 2007
  • 콩류에 다량 존재하는 제니스틴으로부터 얻을수 있는 제니스테인이 노화된 피부 섬유아세포의 활성과 피부의 주성분인 콜라겐의 합성 및 이의 주요한 분해 효소인 MMP-1의 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니스테인은 54세의 섬유아세포 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세포증식 효과는 비타민 A와 유사하게 자연노화가 많이 진행된 세포에서 뚜렷하였다. 아울러 77세의 섬유아세포에서 제니스테인 처리에 의해 세포노화의 지표인 SA-${\beta}$-Gal 염색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니스테인은 섬유아세포에서 type I pN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였고, UVA에 의해 콜라겐 합성이 매우 억제된 상황에서도 합성 증가 효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자연노화가 많이 진행된 세포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콜라겐 매트릭스를 이용한 콜라겐 생합성 결과에서 제니스테인은 광노출부나 비노출 부위에서 얻은 모두의 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제니스테인이 광노화 및 자연노화에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제니스테인은 젊은 피부의 세포에서 MMP-1의 합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노화된 피부의 세포에서 매우 증가되어 있는 MMP-1의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니스테인은 광노화 뿐 아니라, 자연 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을 예방하는데 유용한 물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rametes versicolor에 의한 Bisphenol A 생분해의 최적조건 (Optimization of Bisphenol A Biodegradation by Trametes versicolor)

  • 강애리;최형태;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2
    • /
    • 2008
  • 국내에서 분리된 구름버섯(Trametes versicolor)에 의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bisphenol A의 생분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 생분해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T. versicolor는 Yeast extract-Malt extract-Glucose (YMG) 배지에서 12시간 이내에 50 mg/L bisphenol A를 100% 생분해하며, 5일 동안 선배양 시에는 2시간 이내에 100% 제거하였다. Bisphenol A의 농도가 낮을수록, 온도는 $35^{\circ}C$, pH 6에서 생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교반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최소배지에서는 생분해율이 약간 낮았지만 최적조건은 YMG 배지에서와 유사하였다. 생분해에 관여하는 리그닌 분해효소 laccase의 mediator인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를 최소배지에 첨가할 경우 bisphenol A의 생분해가 촉진되었다. 접종물 중 배양 상등액에 대한 균체량의 비율이 높을수록 생분해율이 증가하였는데 그 비율이 50%일 때 폐수에 첨가한 50 mg/L의 bisphenol A가 4일째에 100% 분해되었다. YMG 배지에서 bisphenol A의 생분해에 따라 내분비계 장애효과를 나타내는 에스트로겐 활성은 감소하였다.

Pseudomonas nitroreducens TX1에 존재하는 작은 플라스미드의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a Small Cryptic Plasmid from Pseudomonas nitroreducens Strain TX1)

  • ;이경;강주범;황설이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0-215
    • /
    • 2014
  • Pseudomonas nitroreducens TX1는 대만의 벼를 재배하는 논의 배수구에서 분리된 세균이다. 이 균주는 알킬페놀 폴리에톡실레이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고농도에서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X1 균주에서 분리된 새로운 플라스미드 pTX1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크기는 2,286 bp, GC 함량은 63.3%, 암호된 유전자로는 $Rep_{pTX1}$과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ORF1과 ORF2가 동정되었다. $Rep_{pTX1}$은 롤링-서클 기작에 의해 복제되는 그람 양성 세균에서 주로 발견되는 pC194/pUB110 플라스미드 계열에 속하는 DNA 복제 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포마다 약 150개의 플라스미드가 존재함을 규명하였다. 플라스미드에 존재하는 유전자 지문과 유사 플라스미드와의 핵산과 아미노산 서열비교를 통해 pTX1은 슈도모나스 세균에서는 흔히 발견되지 않는 롤링-서클 기작에 의해 복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로락틱 발효에 적합한 토착 Lactobacillus plantarum 분리 (Isolation of indigenous Lactobacillus plantarum for malolactic fermentation)

  • 허준;이찬미;박문국;정도연;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9-176
    • /
    • 2015
  • 말로락틱 발효(MLF)은 유산균의 말로락틱 효소(Mle)에 의해 malic acid가 lact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와인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54개의 유산균을 분리한 다음 MLF 특성을 가진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 mle 유전자 서열의 보존 영역에 대한 primer 쌍을 제작했고, PCR을 통해 이 유전자를 함유한 4 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들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 특성, rec gene 영역의 PCR을 수행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모두 동정되었다. 1,644 bp로 구성된 이들 mle 유전자의 분석 결과 JBE60 균주의 염기 서열은 JBE150, JBE160, JBE171 균주들과 96.7%, 아미노산 서열로는 99.5%가 일치했다. 에탄올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JBE60 균주가 10% 에탄올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MLF 활성을 확인한 결과 이들 균주는 평균 43%의 malic acid 감소를 보였으며 균주 간 분해율은 비슷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JBE60 균주가 와인용 MLF 종균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균주에서 Phosphomannomutase를 암호화하는 pmmC 유전자의 클로닝과 발현 (Expression and Cloning of the pmmC Gene Encoding Phosphomannomutase in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 김미혜;최정도;신말식;김영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4-89
    • /
    • 2005
  • Phosphomannomutase는 진핵 생물과 원핵 생물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로, ${\alpha}$-D-mannose 6-phosphate를 ${\alpha}$-D-mannose 1-phosphate로 전환시켜 GDP-mannose를 생산한다. 이 기질은 여러 대사 경로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mannosyl기를 제공하도록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에서 phosphomannomutas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유전체 library로부터 동정하고 이를 pmmC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발현 vector에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유전자 pmmC는 ATG를 개시 코돈으로 사용하고, TAG를 종결 코돈으로 사용하는 750 bp의 open reading frame임을 확인하였고, 이 ORF의 5 bp앞쪽으로 리보좀 결합 부위가 존재한다. 이 ORF로부터 유추되는 아미노산은 249개이며, 단백질 분자량은 약 27.4 kDa이다. 이 유전자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은 NCBI의 conserved domain search를 통한 분석으로 eukaryotic phosphomannomutase와 약 $86.9\%$ 유사성이 있음을 나타냈고, 기질에 대한 활성을 측정한 결과 pmmC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이 phosphomannomutas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illus thuringiensis, 19 혈청형의 세포외 $\alpha$-Amylase 생산 검색 (Examination of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alpha$-Amylase by Bacillus thuringiensis, 19 serotypes)

  • 이건주;박동왕;이형환;이영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48-351
    • /
    • 1988
  • Bacillus thuringiensis, 19 serovars가 $\alpha$-amylase를 생산하는지를 검색했다. 각 균주를 soluble starch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여 iodine 용액으로 확인한 결과 B. thuringiensis serovar thuringiensis alesti, kurstaki, sotto, kenya, entomocidus, morrisoni, tolworthi, toumanoffi, thompsoni, pakistani, israelensis와 indiana는 아밀라제를 생산하였으며, 이중에서 serovar. thuringiensis가 생산을 제일 많이 했고, serovar. alesti와 tollworthi는 제일 낮았다. B.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가 생산하는 $\alpha$-아밀라제의 활성은 pH6.7~7.2와 55~$65^{\circ}C$에서 제일 높았고, 효소생산은 LB배지보다 기본배지 (1.0% bacto-peptone, 0. 3% beef-extract, 0.3% yeast-extract, 0.5% NaCl, 0.3% $K_2$HPO$_4$와 0.1% KH$_2$PO$_4$, 0.2% Soluble Starch에 금속이온인 0.012% CaCl$_2$.2$H_2O$$_2$, 0.005% MnCl$_2$, 0.03% MgCl$_2$.7$H_2O$을 첨가한 배지에서 제일 높았다. 배양후 4시간 됐을 때에 $\alpha$-amylase 생산이 제일 높았다. Starch 배지에서는 0.6units/$m\ell$, glucose 배지에서는 0.43units/$m\ell$씩 생산되었다.

  • PDF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산림토양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미생물학적 특성과 생리기능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Unrecorded Yeasts from Mountains Soi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Korea)

  • 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38-144
    • /
    • 2016
  • 대전광역시 연자산과 충청남도 주요 산림 토양들로부터 분리, 동정한 야생효모들 중 국내 미기록종으로 Pseudozyma prolifica HL9-1, Trichosporon coremiiforme NS19-2, Candida cretensis SA4-1, Cryptococcus diffluens TJ4-3, Cryptococcus pinus YB17-2 등의 유포자효모와 Candida vartiovaarae DD2-5, Pichia galeiformis DM3-5, Candida pseudolambica JW2-3, Trichosporon xylopini NS5-1, Trichosporon moniliiforme NS5-7, Tetrapisispora iriomotensis NS14-2, Tetrapisispora nanseiensis SA17-1 등의 무포자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2균주 모두 구형~타원형이었고 출아법으로 영양증식하였으며 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다. 특히 Candida cretensis SA4-1과 Tetrapisispara iriomotensis NS14-2은 10%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다. Candida vartiovaarae DD2-5외 3균주들은 유당을 자화시켰으며 Tetrapisispora nanseiensis SA17-1은 xylose를 자화시키고 동시에 발효시켰다. Candida cretensis SA4-1과 Tetrapisispara iriomotensis NS14-2 두 호염성 효모들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각각 71.3%와 68.4%로 높았다.

흙배합비를 달리하여 기공율이 조절된 담금용기 항아리에서의 간장 발효 (Fermentation of Kanjang, Korean Soy Sauce, in Porosity-Controlled Earthenwares with Changing the Mixing Ratio of Raw Soils)

  • 정순경;이광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15-221
    • /
    • 2006
  • 담금용기로서의 항아리의 간장발효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원료 흙인 옹기토, 황토와 분쇄토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옹기의 기공율을 조절한 항아리를 제작한 후 각각의 항아리에서 간장을 4개월간 숙성시키는 과정 동안 나타나는 이화학적인 변화, 미생물 생육 및 관능검사를 옹기의 기공율이 간장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공율 조절을 위해 황토와 분쇄토를 동량 혼합한 흙(RP soil)을 각각 0, 40와 60%를 옹기토와 배합하여 세가지 종류의 항아리를 제작하였다. 숙성조건은 $30^{\circ}C$ 숙성실에서 4개원 동안 진행하였다. 기공율에 따른 변화를 보인 것은 수분손실, 염함량변화, pH 및 총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변화, 미생물변화, 핵산, 색도변화 및 관능검사 결과였고 기공율이 가장 낮은 0% RP soil 항아리에서 숙성시킨 간장이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각각 40와 60% RP soil을 함유한 항아리 순 이였다. 반면에 총질소 함량의 변화는 처리구간별에 따른 차이를 볼 수가 없었으며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숙성 4개월째 0% RP soil 항아리에서 4,848 mg/100 g로서 40% RP soil 처리구 5,434 mg/100 g, 60% RP soil 처리구 5,477 mg/100 g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하지만 0% RP soil 항아리는 수분 손실이 처리구들 중에서 가장 낮은 약 28%로서 다른 처리구에서 거의 40%의 수분손실을 보인 결과를 고려하면 수분손실에 따른 영향이 기공율보다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편, 맛난 맛을 내는 glutamic acid의 비는 0% RP soil 항아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와 같이 이화학적으로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얻은 0% RP soil 항아리에서 발효시킨 간장은 관능검사 결과에 있어서도 색, 향기, 맛과 더불어 전체적인 평가에서 모두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Pseudomonas putida 유래 Methioninase의 정제 및 생체내 ^11C-Methionine 섭취에 미치는 영향 (Purification of Methioninase from Pseudomonas putida and Its Effect on the Uptake of ^11C-Methionine in Vivo.)

  • 변상성;박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7-382
    • /
    • 2003
  • 1차 DEAE-Toyopearl 650 M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및 2차DEAE-Sephadex A-50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를 수행한 결과 15.92 units/mg의 정제배율 및 비활성은 92배, 정제 효소의 순도는 SDS-PAGE에 의해 단일 밴드를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은 43kDa으로 추정되었다. 래트의 대장암 세포인 RR1022세포와, 사람의 난소암 세포인 SKOV-3 세포에서 RPMI1640 배지와 methionine이 결핍된 RPMI1640 배지를 처리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의 $^{11}$ C-methionine의 섭취 변화가 증가하였다. 종양세포인 RR1022, SKOV-3세포에 methioninase 투여하여 종양세포의 생존율의 변화를 trypan blue 기법으로 확인한 결과 배지내에서 종양세포의 증식에 필요한 methionine의 농도가 감소하여 DNA, RNA, Protein의 합성을 저해한다고 사료된다. 종양세포인 RR1022, SKOV-3세포에 methioninase를 투여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이 시간 지나면서 $^{11}$ C-methionine의 섭취 변화가 증가하였다. 동물의 $^{11}$ C-methionine PET 영상 결과 종양과 염증병변이 모두 관찰되었다. rMET를 투석한 결과 염증병변의 섭취에 비하여 종양의 섭취가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정제한 methioninase를 투여하고 영상을 얻은 경우에도 종양 섭취가 염증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양세포에 methioninase를 처리하면 methionine의 섭취 요구량은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였으며 생존율은 감소하였다. 종양 동물모델에서도 methioninase를 투여한 경우 종양의 좋은 $^{11}$ C-methionine 섭취를 관찰할수 있었으며 methioninase의 이용이 종양의 검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감귤원 토양에서 분리한 인산염 가용화 미생물 Bacillus sphaericus PSB-13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haericus PSB-13 as Phosphate Solublizing Bacterium Isolated from Citrus Orchard Soil)

  • 좌재호;임한철;한승갑;전승종;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05-411
    • /
    • 2007
  • 본 연구는 감귤원 토양유형별로 고정되어 있는 난용성 인산염함량을 파악하고 이를 생물학적으로 이용하고자 인산가용화 우수미생물을 선발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중 난용성 인산염의 형태별 분포는 Al-P>Ca-P>Fe-P 순으로 화산회토 토양이 비화산회토 보다 많았다. PDA-P배지를 이용하여 인산염 가용화능이 우수한 Bacillus sphaericus를 분리하였으며 pH 4~5와 $30^{\circ}C$에서 생육이 제일 좋았다. Bacillus sphaericus은 $AlPO_4$에서 324.5 ppm, $Ca_{10}(PO_4)_6(OH)_2$에서 334.8 ppm, $Ca_3(PO_4)_2$에서 207.0 ppm의 유리인산을 생성하였으며 인산효소활성은 $35^{\circ}C$에서 배양할 때 높았다. Bacillus sphaericus를 Bentonite 등 담체에 고정 후 온도를 달리하여 7개월 보존기간 동안 밀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10^5c.f.u.\;g^{-1}$ 수준과 인산가용화능을 유지하여 추후 생물비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