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활성

검색결과 3,241건 처리시간 0.026초

복합미생물제재를 이용한 염소화 페놀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Chlorinated Phenols by a Mixed Culture)

  • 오희목;이완석;정상욱;박찬선;윤병대;김장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1
    • /
    • 2001
  • 복합미생물제재를 사용하여 인공폐수에서 염소화 페놀화합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소화 페놀화합물로 오염된 토양에서 8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복합미생물제재의 주된 미생물인 Pseudomonas sp. BM은 Gram-negative, catalase- 그리고 oxidase-positive, rod 형이며 $41^{\circ}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않았다. Pseudomonas sp. BM은 단일 탄소원으로서의 PCP(pentachlorophenol) 500mg/l의 농도로 첨가된 최소배지에서 배양 3일 후에 99%의 분해효율을 보였다. 복합미생물제재에 여러 가지 종류의 유기탄소 및 질소원을 첨가한 후 PCP의 분해효율을 관찰하였을 때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Pseudomonas sp. BM은 pH 5에서 8까지 넓은 적용범위를 가지고 있으나 pH 7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류가 다른 염소화 페놀을 함유한 인공폐수에서 염소화 페놀화합물의 분해시험은 7일간 배양후 최저 분해효율 73%(2,4-DCP)에서 최대 96%(2-CP)까지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속배양 실험에서, 활성 슬러지와 복합미생물제재를 첨가한 것의 PCP 분해효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활성 슬러지만을 첨가한 대조구에 비해 복합미생물제재를 첨가하였을 때는 약 2배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염소화 페놀이 함유된 폐수에 복합미생물제재의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 PDF

제주도 자생식물 추출물의 유산균에 대한 생육과 항산화 활성 및 어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Lactic Acid Bacterias Growth,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Fish Pathogenic Bacteria by Native Plant Extracts, Jeju Island)

  • 문영건;최광식;이경준;김기영;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0-219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도 자생식물 4종(Microlepia marginata panzer Christ., Prunella vulgaris. aleutica Fernald, Perilla-frutescens var. japonica Hara., Gleichenia japonica Spreng)을 부위별로 나누어 각 부위를 열수 추출하여 각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E. faecitum KCCM 12118, L. rhamnosus KCCM 32826, L. plantarum KCCM 11542, P. pentosaceus KCCM 40464 균종에 대한 생육조건 및 배양액을 가지고 어류 질병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조사하였다. 자생식물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종의 lactic acid bacteria를 72시간 배양하면서 생육활성을 보았을 때 10%를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을 때가 가장 좋은 생육 조건임을 알 수가 있었으며, 또한 lactic acid bacteria 생육시 자생식물 추출물 첨가가 lactic acid bacteria 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꿀풀 잎 추출물을 10%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합성 항산화제인 BHA(90%)와 BHT(81%) EDA를 비교하였을 때 BHA와 유사하거나 조금 높은 활성을 BHT보다는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5% 자생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배양액에서부터 BHT보다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1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는 BHA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Soil Enzyme Assay에 의한 MTBE오염 토양 평가 (Evaluation of MTBE-Contaminated Soil by Soil Enzyme Assay)

  • 이은정;안윤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11-214
    • /
    • 2004
  • MTBE로 오염된 토양에서 생태독성학적 접근 방법으로 3가지 토양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해 보았다. MTBE의 잠재적 위험성으로 인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으나 토양 오염에 대한 지표로써 토양 효소 활성도의 사용타당성 여부에 대한 실험은 이전에 행해지지 않았다. 따라서 중금속 오염 토양에 대해 좋은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토양 미생물 효소의 활성도를 MTBE에 적용하여 실험해 보았다. 사용한 토양 효소는 Acid Phosphotase, $\beta$-Glucosidase 그리고 Arysulfatase였다. 그러나 실험 결과 MTBE로 오염된 토양의 경우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비해 토양 미생물 활성도의 감소가 매우 적었다. 따라서 MTBE의 오염 토양의 경우 본 연구에서 측정된 효소의 활성도는 좋은 지표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다.

  • PDF

핵산분해효소에 관 연구 제 3보 새로운 Carrier에 의한 Phosphodiesterare의 고정화

  • 이정치;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9년도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44.2-244
    • /
    • 1979
  • 고분자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의 고정화 후의 활성 yield을 높히고자 Polysaccharide의 표면에 acrylamide 및 N-hydroxysuccinimidyl acrylate을 graft 공중합 시킴으로써 긴 측쇄에 활성 ester을 가지는 새로운 carrier에 phosphiesterase을 고정화 시켰으며 이 고정화된 phosphodiesterase의 몇가지 성질을 조사하여 본래의 phosphiesterase의 성질과 비교하였다. 1) 이 Carrier에 phosphodiesterase을 직접 고정화시킨 결과 52%가 고정화되었으며 고정화된 효소는 38%의 비활성을 나타내 주었다. 2) phosphodiesterase는 이상과 같이 고정화됨으로써 최적작용 pH는 8.0부근에서 9.0부근으로 최적작용온도는 $50^{\circ}C부근에서$ $60^{\circ}C부근으로$ KM치는 1.11mg에서 2.1mg/ml로 변하였으며 열안정성은 훨씬 증가하여 본래의 phosphodiesterase의 열불활성속도상수가 0.4인데 고정화된 효소는 0.03 이었다. 또 $5^{\circ}C에서$ 수용액상태(pH 8.0 Tris buffer)로 6개월 보관후의 관존 활성은 본래의 효소가 0.2%인데 고정화된 효소는 42%로 높은 치를 나타내주었다.

  • PDF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의 세포외 효소활성 (The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in Culture Broth of Sparassis crispa.)

  • 김지영;임창수;김재용;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0-231
    • /
    • 2004
  •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DSMZ 5201)의 균사를 사용하여 균사외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Yeast-malt extract-glucose 배지를 사용하여 $24^{\circ}C$에서 15일간 배양 후 배양여액을 조효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alpha$-amylase효소의 활성은 44.27 unit/$mg{\cdot}protein$이었다. 배양여액 중의 Protease, CMCase, $\beta$-glucosidase, chitinase 및 exo-$\beta$-1,4-glucanase의 세포외 효소활성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xylanase 효소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간장발효덧중에 생육하는 유용효모의 역활 (The Role of useful yeasts in the soy sauce mash)

  • 이택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7-92
    • /
    • 1972
  • Serratia marcescens가 생성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연구하기 위하여 효소의 활성도를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은 PH6.0과 PH7.5의 두 범주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2)45$^{\circ}C$에서 효소의 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때 Serratia marcescens의 단밸질 분해효소는 중성 PH 범위에서 안정된 효소활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다른 효소에 비해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활성도가 더욱 좋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효소식품:미생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개발현황과 전망

  • 김일천
    • 미생물과산업
    • /
    • 제19권3호
    • /
    • pp.38-40
    • /
    • 1993
  • 효소는 일반적으로 건전한 생체에서는 원형질에서 충분히 생성되어진다. 또한 미생물의 배양조건을 달리하던가 씨앗의 발아 시기와 같이 생체가 특수한 상황일 때에는 급격히 증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효소는 주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peptide 결합을 하고 있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효소의 종류에 따라 특정한 반응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기질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효소를 이용한 건강식품으로는 체내 과산화지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 산소나 과산화수소 등의 체외 배출을 돕는 글루타치온 생성효소를 이용한 제품 외에 야채의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미생물 자체나 효소를 이용하는 과채발효 음료 등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특별히 미생물 유래의 효소를 이용한 분말형 효소 제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시설 포도 유기농 재배지에서 녹비 생육 중 녹비 종류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owing Green Manures on Soil Microbial Activity and Diversity under Organically Managed Grape-greenhouse)

  • 박기춘;서영진;김찬용;김종수;이영근;서지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0-266
    • /
    • 2008
  • 시설 유기농 포도 재배지에서 공중 질소 고정과 잡초 억제를 목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월동 녹비가 녹비 생육 초기인 봄에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헤어리 베치,자운영,레드 클로버를 녹비로 파종한 후 효소 활성과 토양 미생물 군락의 기질 이용성 및 인지질 지방산 차이에 의한 토양 미생물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탈수소효소 활성과 FDA 수화도에 의한 미생물 활성으로 측정한 토양 미생물 활성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Biolog Ecoplate의 평균 색도 변화는 레드 클로버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 Biolog EcoPlate에 의한 토양 미생물 군락의 기질 이용성은 자운영 처리구가 헤어리 베치구 및 레드 클로버 처리구와 뚜렷이 구분되었다. 그리고 미생물 군락의 기능적 다양성 지수는 헤어리 베치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인지질 지방산 구성에 의한 미생물 군락의 차이를 주요인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자운영이 대조구와 현저히 구분되었고 녹비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고정화 복합고분자담체를 이용한 Styrene 제거 (The Removal of Styrene using Immobilized Microorganisms in Hydrogel Beads)

  • 송지현;함은이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8-653
    • /
    • 2006
  • 기존 바이오필터 기술의 문제점인 불안정한 VOCs 제거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생물을 고분자물질에 고정화시킨 새로운 담체를 개발하였으며, styrene을 대상으로 개발된 담체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복합고분자담체는 천연고분자물질인 alginate와 인공고분자물질인 polyvinyl alcohol(PVA) 혼합액에 분말활성탄과 고농도 미생물 배양액을 배합하여 3 mm 크기의 구형으로 제조하였다. 회부실험 결과 제조된 복합고분자담체는 활성탄의 흡착능력이나 미생물의 생분해속도의 감소 없이 대상 VOC인 styrene을 빠른 속도로 저감할 수 있었다. 복합고분자담체를 적용한 바이오필터 장기운전 실험에서는 유입부하량 $245g/m^3/hr$에서도 95% 이상의 styrene 분해능을 나타내어, 문헌에 제시된 기존 바이오필터의 styrene 최대분해능을 초과하였다. 오염물질이 고농도로 단기간 유입되는 조건에서도 고정화된 활성미생물에 의한 생분해반응과 함께 담체에 첨가된 분말활성탄의 흡착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어되었으며, 오염물질 유입농도가 낮아진 후에 활성탄에 흡착된 styrene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활성탄과 미생물을 고분자물질로 고정화하여, 활성탄의 단점(장기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생이 필요)과 미생물반응의 단점(변동부하에 처리효율이 낮음)을 동시에 최소화시켰으며, 생물학적 VOCs 저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누룩으로부터 전분 분해 활성이 우수한 Rhizopus oryzae 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Potent Amylolytic Fungus Rhizopus oryzae from Nuruk)

  • 최영환;최다혜;박은희;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6-382
    • /
    • 2016
  • 전국에서 수집 또는 직접 제작한 누룩의 전분 분해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전분을 액화시키는 효소인 α-amylase 활성은 상대습도 40%, 30℃ 조건에서 제조된 누룩이 24,747.1 ± 777.7 units/mg protein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glucoamylase 효소 활성은 상대습도 50%, 25℃ 조건에서 제조된 누룩이 가장 우수하였다. 전분을 분해하는 활성이 가장 우수한 누룩으로부터 곰팡이 98점을 분리하고 동정한 결과, A. oryzae 균주 26점, R. oryzae 균주 18점을 확인하였다. MBF345 명명된 R. oryzae 균주는 α-amylase 활성이 36,724.9 ± 10.2 units/mg protein이었고, glucoamylase 효소활성은 4,911.8 ± 48.1 SP로 대조구 균주 보다 각각 1.7배, 1.4배 효소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균주를 미생물보존센터에 R. oryzae KCTC46312 균주로 기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