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생물암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CIENCE - Overview of the Immune System (학술 4 - 면역기구(免疫機構)의 재음미(再吟味))

  • Kim, U-Ho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8 no.3
    • /
    • pp.177-191
    • /
    • 2012
  • 2011년도 Nobel 생리(生理) 의학상(醫學賞) : 자연(自然)(선천)(先天) 면역(免疫)(innate immunity)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업적으로 B. A. Beutler와 J. A. Hoffmann, 그리고 수지상세포(樹枝狀細胞)(dendritic cell; DC)발견과 적응(適應)(획득)(獲得)면역(免疫)(adaptive immunity)에 있어서의 그들 세포의 역할을 밝혀낸 R. M. Steinman의 공동수상으로 금년도 Nobel 생리 의학상 수상자가 결정되었다는 보도가 지난 10월 3일 있었다(1-3). 그들의 업적을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Steinman교수는 Nobel수상자 발표 3일전인 9월 30일 암으로 사망함). 그들은 면역기구(immune system)의 활성화의 관건(key)이 되는 원리를 밝혀냄으로써, 면역기구에 관한 우리들의 이해를 혁신하였던 것이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세균(bacteria)이나 기타 미생물병원체들에 의한 공격에 대비하여 그들 자신을 방어하는 사람이나 기타 동물체에서의 면역응답(免疫應答)(immune response)의 문지기들을 탐색해 왔다. Beutler와 Hoffmann은 그와 같은 병원미생물을 인식하여 생체의 면역응답의 첫 단계인 자연면역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수용체 단백질(toll-like receptor protein)을 규명한 것이다(4,5). 한편 Steinmann은 면역계의 수지상세포(DC)와 병원미생물이 생체로부터 배제되는 면역응답의 후기단계인 적응면역을 활성화하고 조절하는 그들의 독특한 재능을 규명해 낸 것이다(6-8). 그들 3명의 발명은, 면역응답의 자연 및 적응 양상(樣相)이 어떻게 활성화되는 가를 밝혀냄으로써 질병의 기전에 관한 참신한 식견(識見)을 제공한 것이다. 그들의 연구는 감염병(感染病)(infectious disease), 암(癌)(cancer) 그리고 염증성질환(炎症性疾患)(inflammatory disease)에 대응하는 예방과 치료의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척한 것이다.

  • PDF

전통.대륙.나라 - 전통발효식품의 암 예방효과

  • Park, Geon-Yeong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1 no.1
    • /
    • pp.9-12
    • /
    • 2008
  • 발효는 어떤 식품에 유용한 미생물이 자라 큰 분자의 영양소를 분해하여 소화되기 쉬운 식품으로 변하게 한다. 그리고 음식속의 영양소를 이용하여 산성분, 맛성분, 생리활성 물질을 만들어내어 음식물의 보존기간을 연장할 뿐 아니라 균자체(유산균, 프로바이오틱 이라함)나 그 생성물들은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발효식품에는 김치, 장류(된장, 간장, 청국장, 고추장 등), 젓갈류, 막걸리가 대표적이다. 서양에서는 우유 발효식품으로 요구르트, 치즈, 채소발효식품으로는 사우어 크라우트, 피클, 올리브가 있고, 발효빵, 발효소세지, 술로는 포도주, 맥주 등이 있다. 발효 콩제품으로는 템페(인도네시아), 미소(일본된장), 쇼유, 낫또, 수후, 도우치 등 다양하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김치, 된장 및 청국장의 암 예방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에이즈 발병 전 나타나는 증상

  • Kim, Ui-Seok
    • RED RIBBON
    • /
    • s.67
    • /
    • pp.20-21
    • /
    • 2005
  • 많은 사람들이 에이즈의 첫 증상하면 붉은 반점을 흔하게 떠올리게 된다. 사실 이것은 에이즈 전구 증상이 아니고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되고 8-10년간의 무증상기를 거친 후에 인체의 면역기능이 바닥까지 망가졌을 때에 생기는 카포시 육종이라는 질병이다. HIV에 감염된 후에 면역기능이 파괴되면 본래 정상인에게 병을 일으키지 않는 미생물에 의해서 감염증이 생기고(이를 기회감염이라고 함)암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HIV 감염인에게 기회감염 혹은 암 등이 발생한 상태를 에이즈라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HIV에 감염된 후에 에이즈가 발병하기 전까지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일부는 에이즈 발병 전에 여러 가지 증상들(에이즈 전구 증상)을 겪게 된다. 오늘은 HIV에 감염된 후 에이즈가 발병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전구 증상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친환경농업 - 미생물 자가배양과 그 응용

  • Mun, Su-Hwan
    • 농업기술회보
    • /
    • v.47 no.2
    • /
    • pp.16-22
    • /
    • 2010
  • 오늘날의 화제는 첨단과학화 되면서 정보산업 등에 초점이 모아진다. 예를 들면 손톱만한 크기에 신문지 크기 몇만장의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다든지 머리카락 굵기의 광케이블에 몇백회선분의 회선이 가능하다는 등의 그야말로 상상을 초월할 만큼 첨단화되어가고 있다. 그런가 하면 한편에서는 자연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지구상의 생명체가 1년에 수만종이 멸종되어 가고 있다는 충격적인 정보가 우리를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그런가하면 지구의 온난화 현상으로 오존층이 얼마안가면 구멍이 뚫어져 금방이라도 모든 생명체가 전멸될 것 같은 위기설도 과학자의 입에서 흘러나온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한편에서 유전공학적으로 새로운 품종을 연구개발하여 도감(圖鑑)을 만든 것을 보면 코끼리만한 소도 나올 것 같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우리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미생물과 효소의 위력을 생각할 때 도깨비 같은 존재 같이 생각된다.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 중에서 가장 작은 생명체인 미생물이 어떤 위력을 지녔기에 철을 분해시키고 나무조각도 분해시키고 심지어는 광물질과 암석도 용해시키는 힘을 지녔다. 분해뿐만 아니라 물질의 형성에도 간여해서 생명체가 발아하고 육성되어 이 지구상을 덮고 있는 것이다. 의학적인 분야에서는 일찍이 발달히여 병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는 항생제를 생산하여 암까지도 치료하고 있지 않는가? 농업분야에 있어서 미생물을 배양해서 응용하는 데에 낙후되어 있다. 때 늦은 감은 있으나 이제부터 미생물과 농업을 함께 묶어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우리의 지혜를 모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세포성장 조절물질 탐색

  • 최인성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9 no.1
    • /
    • pp.33-36
    • /
    • 1993
  • 세포성장 조절물질 탐색기술 개발 분야의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세포성장 조절물질의 작용기작 규명에 의한 유전병의 병리기전, 암의 병리학적인 원인규명과 면역현상의 이해를 통한 생명과학의 기초연구 증진을 이룩할 것이며 세포성장 조절인자의 유전자를 분리하여 유전자 치료법(gene therapy)에 이용하거나 이들 유전자를 발현벡타를 이용해 과발현시켜 난치성 유전병의 치료에 이용하는 등의 임상실험에 활용할 수 있다. 산업적으로는 이들 연구결과를 활용한 신규 항암제 및 면역 조절제 개발기술의 수준 향상에 따른 생물 신의약 개발 분야에서 국제경재력을 제고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ncolytic Viruses - A New Era for Cancer Therapy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암 치료에서의 새 시대)

  • Ngabire, Daniel;Niyonizigiye, Irvine;Kang, Min-jae;Kim, Gun-D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7
    • /
    • pp.824-835
    • /
    • 2019
  • In recent decades, oncolytic viruses (OVs) have extensively been investigated as a potential cancer drug. Oncolytic viruses have primarily the unique advantage in the fact that they can only infect and destroy cancer cells. Secondary, oncolytic viruses induce the activation of specific adaptive immunity which targets tumor-associated antigens that were hidden during the initial cancer progression. In 2015, one genetically modified oncolytic virus, talimogene laherparepvec (T-VEC), was approved by the Americ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for the treatment of melanoma. Currently, various oncolytic viruses are being investigated in clinical trials as monotherapy or in combination with preexistent cancer therapies like immunotherapy, radiotherapy or chemotherapy. The efficacy of oncolytic virotherapy relies on the balance between the induced anti-tumor immunity and the anti-viral response. Despite the revolutionary outcome, the development of oncolytic virus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faces a number of obstacles such as delivery method, neutralizing antibodies and induction of antiviral immunity due to the complexity, variability and reactivity of tumors. Intratumoral administration has been successful reducing considerably solid tumors with no notable side effects unfortunately some tumors are not accessible (brain) and require a systemic administration of the oncolytic virus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hurdles,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icacy of oncolytic viruses have been developed which include the insertion of transgenes or combination with immune-modulatory substances.

Development of the Gene Therapy Vector for Targeting Ovarian Cancer Cells through ErbB Receptors (ErbB 수용체를 이용한 난소암세포 표적 유전자치료 벡터의 개발)

  • Joung, In-Sil;Bang, Seong-Ho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7 no.1
    • /
    • pp.1-6
    • /
    • 2011
  • Inefficiency of in vivo gene transfer using currently available vectors reflects a major hurdle in cancer gene therapy. Both viral and non-viral approaches have been described to improve gene transfer efficiency but suffer from a number of limitations. Here we tested an adenovirus carrying the small peptide ligand derived from heregulin${\beta}$ EGF-like domain onto fiber, the adenoviral capsid protein, to deliver transgene to ovarian cancer cells which overexpress ErbB, the cognate receptors for heregulin. The attachement of 53 amino acids to fiber didn't affect on the fiber's trimer structure that is critical for the viral entry to cells. The fiber-modified adenovirus can mediate entry and expression of a ${\beta}$-galactosidase into cancer cells in an increased efficiency compared the unmodified adenovirus. Particularly, the gene transfer efficiency was improved up to 5 times in OVCAR3 cells, an ovarian cancer cell line. Such transduction systems hold promise for delivering genes to ErbB receptor overexpressing cancer cells, and could be used for future cancer gene therapy.

Peptide H Reduces IL-6 Expression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인간 유방암 MDA-MB-231 세포에서 Peptide H에 의한 IL-6 발현 억제효과)

  • Sung, Dae Il;Park, Jameon;Kim, Han Bok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0 no.3
    • /
    • pp.261-263
    • /
    • 2014
  • Chronic inflammation is involved in cancers, rheumatoid arthritis, and Crohn's disease. Inerleukin-6 (IL-6) plays major roles in inflammation. Chungkookjang, fermented soybean contains diverse peptides produced by cleavage of soybean proteins. The peptides can be bioactive compounds. Peptide (Gly-Val-Tyr-Tyr-Met-Tyr was purified from Chungkookjang, and modified to be 6mer H, Glu-Val-Tyr-Tyr-Met-Tyr (EVYYMY). Peptide H's activity to suppress IL-6 expression in a human breast cancer cell, MDA-MB-231 was determined. IL-6 Expression was reduced in the cell treated with peptide H 25 times less than controls which were not treated with peptide H. Proliferation of MDA-MB-231 cells was inhibited by peptide H, which is concentration-dependent. Blocking of IL-6 signals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inflammation in rheumatoid arthritis, Crohn's disease, and cancers. Since peptide H can reduce inflammatory IL-6 expression, application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rug development for diseases which are caused by excessive IL-6.

담자균류 ${\beta}$ -글루칸의 특성 및 생산

  • Hong, 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22
    • /
    • 2002
  • 지구상에는 수천종의 버섯류가 자생하고 있어 유전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이 지대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소재 및 각종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신약개발 소재로도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버섯은 균사체의 영양대사로 얻어지는 대사산물이 축적된 자실체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최근에 와서 자실체 및 균사체의 추출물이나 균사체 배양물이 체질개선이나 각종 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으로서의 용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담자균이 생산하는 특정 구조를 갖는 다당류는 오래전부터 종래의 화학요법제와는 달리 숙주내의 면역 기능을 부활하여 소위 면역요법제로서의 항암효과를 나타냄이 알려져왔었다. 현재까지 제약 및 의학적인 방법이 질병의 주된 치료방법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에 특정식품의 섭취가 만성질환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킨다는 연구 보고가 나오면서부터 만성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식이요법을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식품소재 및 가공식품의 개발을 통한 성인병 등의 각종 질병예방이 국민보건문제 해결에 필수적이다. 현재 일본 등에서는 표고버섯, 구름버섯 및 치마버섯 유래의 다당체 또는 단백다당체인 lentinan, krestin 또는 PS-K, schizophyllan 및 PSP 등이 실용화되어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야생 구름버섯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단백 다당체인 Copolang(광동제약)이 개발되어 PS-K와 유사하게 암의 치료에 병행 사용되고 있고, 또 강력한 항암활성이 보고된 상황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인 단백 다당체가 Mesima-Ex FK(한국신약)라는 상품명으로 암의 치료에 병행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담자균류와 아울러 미생물 유래 다당체는 그 구조와 특성에 있어서 매우 다양함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 유래 다당류의 공업적 생산과 이용에 대한 연구로서는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생산하는 dextran이 혈장증량제로 개발된 이래 Xanthomonas campestris가 생산하는 pullulan, Zoogloea rgmigera가 생산하는zooglan둥이 대표적인 예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미생물 유래 다당류는 구성당, 분자량, 화학적 구조 등과 같은 특성의 차이에 의해 많은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물성 및 유화제, 응고제, gel 형성제, 필름 형성제, 흡착제, 안정제, 접착제 등과 같은 용도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미생물 유래 다당체가 지니는 항암활성이 확인되어 새로운 의약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그 밖에도 기존에 알려져 있는 식물 및 해조류 유래의 다당체와는 달리, 발효조를 이용한 연속배양에 의해 공업적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더욱이 생산된 다당체의 분리 및 회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유전공학적 기법을이용한 고생산성 변이균주 및 새로운 기능을 지닌 다당체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는 등 고부가가치를 지닌 새로운 바이오 소재로서의 기능 및 용도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담자균류중 Agaricus blazei로부터 생산되는 다당체는 고형암 이외에 S형 결장암, 난소암, 유방암, 폐암, 간암 등에 효과가 입증되었고, 천연물질에 의한 암 면역요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항암 및 항virus의 완치율과 저지율에서 현재 여러가지 약효가 있는 버섯중에서도 탁원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다. 이들 다당체는 사이토카인을 생산시켜서 T임파구와 B임파구의 항원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고, 세포장해성 T세포와 활성화 대식세포의 세포장해 기능을 충진시켜서 암세포를 파괴시킨다. 또한 콜로니 자극인자인 사이토카인을 생산시켜서 면역담당세포의 신생을 촉진시키기도 하며, 암의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으로 저하된 백혈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최근의 연구동향은 생산된 다당체의 항암활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여 배양기간중에 interleukin을 의도적으로 첨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담자균체 유래 다당체는 버섯의 기원에 따라 그 형태에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기는 하나 그 기본 형태는 ${\beta}-(1,6)-glucosyl$ 분지를 가진 ${\beta}-(1,3)-glucan$이며, 평균 분자량은 50 ${\sim}$ 200만 정도이다. Agaricus blazei의 원산지인 브라질의 피에다데(Piedade) 지방의 환경조건(산지의 습도는 80%, 낮 기온 $35^{\circ)C$, 밤 기온 $20{\sim}25^{\circ}C$로 대단히 높으며, 정기적으로 열대지방 특유의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서 볼 수 있듯이 Agaricus blazei의 성장 환경은 매우 까다로운 편이며, 날것으로는 보관이 잘 안되기 때문에 그 재배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고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버섯 자실체로부터 유기용매 및 열수추출 방법으로 다당체를 생산하는 방법은 균일한 형태의 버섯 자실체를 공급받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당체의 생산 수율이 낮고,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액체배양에 의한 다당체 생산의 경우는 고체배양에 의한 다당체 생산에 비해 일정한 조건하에서 배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항상 균일한 균사체 및 배양액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유용물질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Isolation of Inhibitor against Mouse Carcinoma Cells from Streptomyces sp. (복수세포의 Succinate Dehydrogenase 조해물질의 검색)

  • 송방호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7 no.2
    • /
    • pp.97-102
    • /
    • 1979
  • An actinomycete, AS-568, which produced an inhibitory substance against succinate dehydrogenase of Ehrlich ascites carcinoma and Sarcoma-180 cells of mouse, was isolated. The inhibitory activity was determined by SDI (Succinate Dehydrogenase Inhibition) method. The active substance was specific against carcinoma cells compared to normal cells in mouse; liver, kidney and brain. The inhibitory ratio was about 50% after one hr treatment at 37$^{\circ}C$ in vitro. Maximal productivity of active substance was recognized by 5 days culture in glucose-asparagine. The active component in cultural liquid was stable in neutral pH range and heat treatment reasonably, add it was recovered from precipitate by ammonium sulfate or non-dialyrable fraction in cellophane membrane as showing the behavior of high molecular subs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