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 남성 환자에서 유방의 점액성 선암과 유방외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이 병발한 증례 보고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s: A Case Report of Breast Mucinous Carcinoma and Extramammar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n a Male Patient)

  • 김수영;이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729-736
    • /
    • 2021
  •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은 한 환자에서 2개 이상의 원발성 악성 종양이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저자들은 78세 남자 환자에서 동시에 발생한 유방의 점액성 선암과 유방외 림프종의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2개의 만져지는 덩이를 주소로 내원하여 외과적 생검을 통해 좌측 유방의 점액성 선암과 우측 서혜부의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을 확진하였다. 이후 수술 전 시행한 PET/CT에서 좌측 혀편도의 우연종이 발견되었고, 절제 생검을 통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을 확진하였다. 유방암 환자에서 불특정한 림프절 비대가 발견되는 경우 전이성 병변으로 간주되기 쉬우나, 이 증례의 환자와 같이 고령의 환자군에서는 림프종을 감별 진단으로 함께 고려함으로써 오진 및 치료 지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금속성 임플란트로 인한 만성 염증 상태와 연관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증례 보고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ssociated with a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 Induced by Metallic Implants: A Case Report)

  • 박진희;이선주;추혜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931-937
    • /
    • 2022
  • 금속성 임플란트 삽입과 관련된 만성 염증 상태는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발생의 위험 요소이다. 금속 이온은 림프종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5개월 동안 근위 경골에 금속성 임플란트가 삽입된 환자에서 발생한 드문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으며 현저한 골 파괴 없이 불균형적으로 큰 골외 연조직 종괴와 골수 침범이 관찰되었다. 금속성 임플란트 삽입과 관련된 여러 합병증들이 있으며 오진하면 잘못된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금속성 임플란트로 인한 만성 염증 상태와 연관된 림프종과 임플란트 주위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양성 병변 및 악성 연조직 종괴를 감별하는 것은 어렵지만 매우 중요하다.

간문맥에서 생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n the Portal Vein)

  • 임현지;박미숙;김여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707-713
    • /
    • 2020
  • 간문맥 종양혈전이 있으면서 간 실질에 이상 소견이 없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간에서 종양 혈전이 있는 경우 간세포암이 가장 발생률이 높으며 림프종은 감별질환으로 잘 생각되지 않는다. 림프종의 종양혈전이 간문맥을 침범한 것은 이제까지 총 네 가지 경우에서만 보고되어 있고, 모든 경우에서 종양이 혈관으로 직접 전파되거나 또는 그 외의 림프종을 시사하는 다른 병변들이 있었다. 혈관 내 대세포 림프종이 간문맥을 함께 침범한 경우, 본 케이스와 영상학적으로 비슷하게 보일 수 있으나 본 증례 보고는 혈관 내 대세포 림프종이 아니므로 제외하여 생각하였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이 간문맥에서만 발견된 무증상의 면역력이 정상인 67세 여자 환자에 대한 증례를 소개한다. 이전에 발표된 증례에서 이와 비슷한 경우는 보고된 바가 없다.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에서 microRNA-23b의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의 효과 (MicroRNA-23b is a Potential Tumor Suppressor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남제현;김은경;김진영;정다움;김동욱;곽보미;김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4
    • /
    • 2017
  •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은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 DLBCL에서 약물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은 진전을 보였지만, 아직 많은 환자의 경우 DLBCL로 인한 사망률이 상당하다. 따라서 DLBCL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표적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PDE (인산이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4B는 최근 시행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서 약제내성을 가지는 DLBCL에서 과발현 되는 유전자로 밝혀졌다. PDE4B의 주된 역할은 이차전달자인 고리형 AMP (cylclic AMP, cAMP)를 5'AMP로의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cAMP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cAMP는 B 세포에서 세포증식 저해와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PDE4B는 B 세포에서 이러한 cAMP의 기능을 소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DE4B의 과발현이 어떤 기작에 의한 것인지는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발현된 마이크로 RNA (microRNA, miRNA)가 PDE4B의 과발현에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PDE4B 3'-UTR에는 세 개의 miR-23b 예상 결합부위가 존재하고, 이는 luciferase reporter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miR-23b 결합 부위들은 인간에서부터 도마뱀에 이르기까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었고, 이는 세포 생리학적 측면에서 PDE4B-miR-23b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암시하고 있다. miR-23b의 과발현은 PDE4B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내의 cAMP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miR-23b의 발현은 아데닐산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의 활성약제인 forskolin이 처리된 경우에만 DLBCL 세포들의 증식과 생존을 억제하였다. 이는 miR-23b는 PDE4B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증식과 생존을 조절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각해 볼 때, miR-23b는 PDE4B를 억제함으로써 DLBCL에서 나타나는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고, 따라서 miR-23b는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 효과적인 치료적 타겟으로 예상된다.

갑상선 MALT 림프종으로부터 전환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1예 (A Case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ransformed from Primary Thyroid MALT Lymphoma )

  • 조영록;조윤진;표주연;이혜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17
    • /
    • 2023
  • 아직까지 원발성 갑상선 림프종은 대규모 전향적 임상 연구가 부족하여 각 증례에서의 적절한 치료 계획에 대해 의논의 여지가 많고, 관련 임상과들의 다학제적 접근이 요구된다. 비교적 저등급 림프종으로 분류되는 MALT 림프종 역시 조직학적 형질전환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 경과를 보이고, 부분적인 생검만으로는 림프종의 정확한 진단에 어려움이 있는 만큼, 환자의 증상과 상황에 맞는 최선의 의사 결정이 요구된다. 아울러 갑상선의 기관 특성을 고려한 림프종의 각 아형별 표준 치료의 정립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의 한의약치료 증례보고 (Case of 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Patient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 김인수;정민성;오현승;이영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3-237
    • /
    • 2014
  • This case report that the therapeutic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reatment on the tumor response in 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DLBL) patient. A patient was treated by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moxibustion, cupping and herbal medicine once a week at least for 12 months. we evaluated the grade of chief complaints and performed blood tests and sonography, abdominal CT periodically. After 1 month administration with TKM treatment, the symptoms of the patient vanished obviously. the size of inguinal lymphoma decreased gradually through 3 months. then from 3 to 10 months, the size of inguinal lymphoma remained as it is. TKM treatment was maintained continuously. in the abdomino-pelvic CT performed after 12 months, the patient didn't complain any symptom and the size of inguinal lymphoma decreased a little again. This case study supports that TKM treatments may have a efficacy in treating diffuse large B-cell lymphoma(DLBL) patients.

동측의 이하선과 상경부에 공존하여 발생한 미만성 거대 B세포 및 여포성 림프종 1예 (A Case of Co-Existence of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in Parotid Gland and Follicular Lymphoma in Upper Neck)

  • 홍석정;김은주;김승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9-53
    • /
    • 2018
  •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NHL) rarely involves the parotid gland and its incidence is only 1.7% to 3.1% of all salivary gland neoplasms. The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is the most common subtype of NHL, followed by follicular lymphoma (FL) and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DLBCL). However, two distinct types of lymphomas occurring synchronously in the parotid gland and cervical lymph node have not been reported earlier. A 72-year-old man with rubbery-hard and fixed mass on the left parotid area came to our clinic. We performed the left total parotidectomy with ipsilateral excision of lymph node (level II), and he was finally diagnosed as DLBCL in parotid gland and FL in upper neck. It is presumed that the DLBCL appeared to be a transformation from FL. We report the unique and rare disease entity with brief literature review.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Filgrastim 사용이 PET/CT 영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f Influence of Filgrastim on PET/CT In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 남궁혁;박훈희;반영각;강신창;김상규;임한상;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7-23
    • /
    • 2009
  • 많은 암 환자들 중 특히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환자의 추적 검사에서 PET/CT 검사는 기타 다른 검사들과 견주어 볼 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 환자의 치료는 대부분 환자의 장기 한 곳에 국한된 경우가 없으므로, 방사선 치료나 항암 화학 요법 치료로 시행한다. 이러한 항암 화학 요법 치료는 골수의 활동을 억제하는 치료이기 때문에 환자에게서 호중구감소증과 같은 백혈구의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과립구 자극요소(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인 Filgrastim 성분의 골수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 약제가 투여된 환자에게서 단기간에 PET/CT 검사를 진행하게 되면, 검사에 사용되는 $^{18}F$-FDG의 섭취가 조혈 세포가 모여 있는 골수의 활성화로 그 곳에 섭취가 가중되어 정확한 영상의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Filgrastim의 약제 투여 1일 후의 영상과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영상의 SUV를 각각 비교하여 수치화하고, 대략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후에 정확한 영상의 정보를 줄 수 있는 $^{18}F$-FDG의 섭취가 일어나는지를 유추해 보고자 한다. 환자대상은 2007년 1월~2009년 1월까지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을 진단받고 추적 검사 중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4명, 여자 6명이고, 평균나이는 53.8세 평균 체중은 57.3 kg이다. PET/CT (Discovery STe;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 검사를 위해 환자에게 $^{18}F$-FDG 정맥주사 후 1시간 가량 안정시키고, PET/CT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 분석은 ROI ($12\;mm^2$)를 $C_6$ (6 번 경추), $L_4$ (4 번 요추), 간, 비장, 폐에 각각 그린 후 표준화 섭취 계수(SUV)를 측정하였다. 같은 환자를 골수촉진제 주사 1일 후 영상과 5~7일 후 영상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sion 12.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검사를 시행한 10명의 환자의 SUV를 분석한 결과, 골수촉진제를 투여하고 1일 후의 SUV가 5~7일 후에 비해 $C_6$ (6 번경추), L4 (4 번 요추), 비장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고, 간과 폐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SUV의 차이와 더불어, 5~7일 후의 영상에서는 뼈의 섭취가 거의 없어진 정상 섭취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위의 연구에서도 보여진 것과 같이 과립구 자극요소 약제투여 후 1일째 환자의 영상과 5~7일 후의 영상에서 SUV의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약제를 투여한 환자의 영상에 뼈의 $^{18}F$-FDG 섭취가 집중되었으며, 평균 5~7일 후에 검사에서는 뼈의 섭취가 현저하게 줄어든 정상적이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SUV를 측정하고, 통계분석 함으로서 기존의 사실을 수치화 하였으며, 정상 섭취가 가능한 기간을 유추 할 수 있었다. 추후에 과립구 자극요소인 Filgrastim 이 외에 Pegfilgrastim, Lenograstim등 기타약제와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유사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으로 인한 척수더부신경병증 (Spinal Accessory Neuropathy Secondary to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김건우;이용택;윤경재;이정상;황진태;도종걸
    • Clinical Pain
    • /
    • 제18권1호
    • /
    • pp.52-57
    • /
    • 2019
  • Spinal accessory neuropathy (SAN) is commonly caused by an iatrogenic procedure, and that caused by tumors is very rare. We present a case of a 49-year-old man suffering from weakness in the right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 electrophysiology study confirmed proximal SAN. Fluorodeoxyglucose (FDG)-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compressing the right spinal accessory nerve. Ultrasonography showed definite atrophy on the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s. In addition, post-chemotherapy FDG-PET/CT showed increased FDG uptake in the right upper trapezius, suggestive of denervat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AN caused by direct compression by 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comprehensively assessed by an electrophysiology study, ultrasonography, and FDG-PET/CT.

미만성 거대 B형 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CHOP 항암 치료와 Filgrastim 투여 후 발생한 폐쇄세기관지기질화폐렴 1례 (A Case of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Following CHOP Chemotherapy and Filgrastim Use in a Patient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정우영;변민광;이진형;한창훈;강신명;김진석;조상호;김영삼;김세규;장준;김성규;박무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561-565
    • /
    • 2005
  •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BOOP) is often diagnosed in patients with pneumonia who respond poorly to antibiotics. BOOP is often idiopathic, and the etiology of the remaining cases has been attributed to a wide range of agents or medical conditions. When a patient develops the clinical symptoms characteristic of BOOP, the medical team must endeavor to determine the etiology of this disease because it can be treated with glucocorticoid and avoidance of the causative agent. In particular, if BOOP is diagnosed during or after chemotherapy for a malignancy, the possible culprit agent can be the anti cancer drugs but other drugs used for supportive care must be also be considered. We report a case of BOOP that arose after CHOP chemotherapy and a filgrastim injection in a patient with 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