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래바이오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Transdisciplinary and Humanistic Approach on the Impacts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 발달에 따른 트랜스/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학제적 연구)

  • Kim, Dong-Yoon;Bae, Sang-Jo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4 no.3
    • /
    • pp.411-419
    • /
    • 2019
  • Nowadays we are not able to consider and imagine anything without taking into account what is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Even broadcasting media technologies could not be thought of outside this newly emerging technology of A.I.. Since the last part of 20th century, this technology seemingly is accelerating it's development thanks to an unbelievably enormous computational capacity of data information treat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firmly established worldwide platform companies like GAFA(Google, Amazon, Facebook, Apple), the key cutting edge technologies dubbed NBIC(Nanotech, Biotech, Information Technology, Cognitive science) converge to change the map of the current civilization by affecting the human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hence modifying what is essential in humans. Under the sign of the converging technologies, the relatively recently coined concepts such as 'trans(post)humanism' are emerging in the academic sphere in the North American and Major European regions. Even though the so-called trans(post)human movements are prevailing in the major technological spots, we have to say that these terms do not yet reach an unanimous acceptation among many experts coming from diverse fields. Indeed trans(post)humanism as a sort of obscure term has been a largely controversial trend. Because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opinions depending on scientific, philosophical, medical, engineering scholars like Peter Sloterdijk, K. N. Hayles, Neil Badington, Raymond Kurzweil, Hans Moravec, Laurent Alexandre, Gilbert Hottois just to name a few. However, considering the highly dazzling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asically functioning in conjunction with the cybernetic communication system firstly conceived by Nobert Wiener, MIT mathematician, we can not avoid questioning what A. I. signifies and how it will affect the current media communication environment.

Current Status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Di-Methyl Ether as a New and Renewable Energy (신재생 에너지로서 DME 기술개발 현황)

  • Cho, Wonjun;Kim, Seung-So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0 no.4
    • /
    • pp.355-362
    • /
    • 2009
  • Fuels based on petroleum will eventually run out in the near future. DME (Di-methyl Ether) is a clean energy source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various raw materials such as natural gas, coal as well as biomass. As DME has no carbon-carbon bond in its molecular structure and is an oxygenate fuel, its combustion essentially generates no soot as well as no SOx. Becau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DME are similar to those of LPG, the LPG distribution infrastructure can be converted to use with DME. DME has such high cetane number of 55~60 that it can be used as a diesel engine fuel. Practical use of DME as a next-generation clean fuel or next-generation chemical feedstock is advancing in the fields of power generation, diesel engines, household use, and fuel cells, among oth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eview the characteristics, standardization, stat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of DME.

Assessment of Geothermal Energy Resources of Korea (한국의 지열에너지 부존량 산출)

  • Park, Sung-Ho;Lee, Young-Min;Kim, Jong-Chan;Kim, Hyoung-Chan;Koo, Min-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617-620
    • /
    • 2008
  • 지열에너지는 지구 내부의 깊은 곳에서부터 발생하는 열과 상부 지각에서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에 의한 열에 의해 발생한다. 지열에너지는 다른 신재생에너지(수력, 풍력, 태양력, 조력, 바이오 매스등)에 비하여 가동효율이 높고, 지속가능한 재활용 자원으로 경제적 효율성이 높아 전 세계적으로 활용도와 잠재성이 높은 신재생에너지의 하나로 각광 받고 있다. 따라서, 지열에너지의 사용은 화석 연료 사용의 상당부분을 대체할 수 있고, 온실가스의 배출도 줄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열에너지 이용은 저온성 지열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에 국한되어 있지만, 앞으로의 지열에너지 이용은 Enhanced Geothermal System(EGS) 을 이용한 지열에너지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현재의 지열에너지 개발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미래의 지열에너지 개발에 대비하여 우리나라의 이용가능한 지열에너지 부존량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에는1560개 열물성 자료(밀도, 비열, 열전도도), 353개 지표 지열류량 자료, 180개 열생산율 자료와 54개의 지표온도 자료가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지표에서부터 1 km 깊이 간격별로 5 km 깊이까지 지열에너지 부존량을 산출한 결과 지표에서 부터 5 km 깊이까지의 추출 가능한 지열에너지의 총 부존량은 $1.01{\times}10^{23}$ J로 산출되었다. 지열에너지 부존량을 Toe(석유환산톤) 로 환산하면 $2.40{\times}10^{12}$ Toe 가 된다. 추출한 지열에너지 자원의 2%를 사용한다고 가정 했을때 약 480억 Toe 이다. 이는 2006년 우리나라 전체 1차 에너지 총 소비량(2.33억 Toe)을 고려 했을때 약 20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 PDF

A case Study on One-Step Bio-treatment including cellulase (셀룰라아제를 포함한 One-Step Bio-treatment 연구 적용사례)

  • Kim, Moon-Jung;Yoon, Min-Sun;Lee,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94-94
    • /
    • 2012
  • 섬유산업은 원가 경쟁력 향상과 산업 고도화에 필요한 미래형 저에너지 염색가공 핵심 기술을 통한 고부가가치 섬유제품의 창출과 섬유산업의 선진화달성에 꾸준히 노력을 해 왔다. 염색가공업의 에너지 소비는 섬유산업에서 염색가공업이 연료 사용량의 77%, 전기사용량의 54%를 차지하여 섬유산업의 에너지절감을 위해서는 염색가공 공정에서의 에너지 절감이 가장 중요하다. 국내 염색가공 분야의 4백여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애로 기술에 관한 설문 조사결과에 따르면 염색공업의 에너지 절약형 구조로의 전환을 위해서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우선기술 1순위는 에너지절약형 염색가공 공정기술로 에너지 절감의 필요성을 반영하고 있다. 효소(Enzyme)가 섬유산업에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면섬유의 호발에 아밀라제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며, 최근 유럽선진국들의 강화된 환경규제와 눈부신 바이오테크놀러지(Biotechnology)의 발전에 기인하여 섬유산업에서 관심과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섬유산업에서 효소적용의 장점은 효소 그 자체가 자연산물이기 때문에 생분해 되고 중성에 가까운 pH에서 반응하므로 처리액이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기질특이성을 가져 매우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부반응으로 인한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들 수 있으며, 무엇보다 소량 저온반응으로 인한 에너지절감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섬유산업에서는 전분호제를 제거하는 아밀라아제, 데님워싱 및 면섬유의 후가공에 사용하는 셀룰라아제, 표백 후 잔류하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는 카탈라제 등을 적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 밖의 다양한 공정에 효소 이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섬유 업체에서 직물의 표면 잔털을 제거하여 매끄러운 외관과 선명한 색상을 재현하기위해 후가공으로 셀룰라아제를 이용했던 공정을 개선하여, 효소를 이용한 정련-Bio polishing-염색의 3공정을 1욕처리를 통해 기존 단독으로 진행되어진 기존제품과의 중량, 외관, 색상재현성, 정련성 등을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형 공정기술의 효과를 극대화 해보았다.

  • PDF

실물옵션 기반 기술가치 평가모델 정교화와 변동성 연구

  • Seong, Tae-Eung;Lee, Jong-Taek;Kim, Byeong-Hun;Jeon, Seung-Pyo;Park, Hy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1-174
    • /
    • 2017
  • 최근 들어 기술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이를 위한 기술신용평가의 역할이 증대하였다. 그러나 금융권에서 바라보는 기술신용평가의 경우, 해당 기업의 신용등급이나 기술(력) 등급평가에 초점을 두어, 대상기술의 사업화 및 수익성 관점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벤처캐피털(VC)이나 엔젤투자자를 비롯한 금융권에서 대상기술의 수익성 정보를 참조하거나 기술벤처기업 설립시 기술지분을 참고하는 등, 기존 기술이전거래 협상참조용이나 담보 보증용에 널리 이용되던 기술가치평가의 활용범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제조 서비스 분야의 일반 기술 뿐만이 아니라, 바이오 제약 의료 분야 기술에서도 미래 투입되어야 하는 사업화 소요기간 및 비용을 고려하여 기술가치를 산정해야 할 때가 있다. 기존의 현금흐름할인법(DCF법)이 연속된 투자에 대한 고려를 못하거나 기술적용 제품의 상용화 투입비용에 대한 확률적인 속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기술과 투자의 가치는 기회가치로 보고 자원배분을 위한 의사결정 정보를 감안해야 하므로, 실물옵션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흔히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주가의 변동성(volatility) 개념을 도입하여 전일종가 대비 익일시가의 분산값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개념을 기술가치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주가의 연속성(상대적 미세한 변화)' 및 '양(+)의 조건'을 고려해야 하는데, 실제 기술가치평가 상의 현금흐름은 사업초기년도 음(-)의 값이 나타나거나 2~3년 내외의 짧은 수익예상기간 하에서는 주가와 같은 변동성을 도출하는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많은 문헌에서 연구된 바와 같이, 실물옵션 기반의 기술가치 산정을 위한 블랙-숄즈 모형에서 변동성과 기초자산가치, 그리고 사업화비용 간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옵션가격결정모형(Option Pricing Model)에서 불확실성을 반영한 기초자산의 현재가치와 사업화비용의 현재가치분이 특정 임계조건 하에서 '옵션행사 포기(NAT; no action taken)' 영역으로 구분되는 지를 수학적으로 도출하고 관찰변수(입력값)에 따른 옵션가치 산출표를 개발하여 제시한다.

  • PDF

자원식물의 연구동향과 실용화 현황

  • Park, Ho-Gi;Yang, Min-Ho;Lee,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
    • /
    • 2012
  • 자원식물은 인간의 천연물에 대한 관심 고조와 미래 생물자원으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재인식되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오래전부터 유용한 식물자원 보존과 이를 이용한 산업화에 정부가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해 많은 식물종이 분포하고 뚜렷한 4계절과 다양한 토양특성으로 우수한 기능성식물자원이 많으며 이들 식물자원의 이용과 효능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자원식물에 대한 보존과 이용이 과학화 체계화되지 못하여 세계적인 품종이나 제품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토종자원에 대한 관심과 꾸준한 연구개발로 농촌진흥청 보존 농업유전자원은 세계 6위 수준('10년말 291천점) 이며, 멀티기능 유용물질 함유 작물 개발 및 실용화 기술수준도 기술력 지수 세계7위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원식물로부터 유용물질을 이용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천연물신약, 건강기능성식품, 한방화장품, 천연 색소 및 향료 등의 제품개발은 미흡하여 앞으로 유망 자원식물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고부가 산업 육성을 위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원식물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개발은 고부가가치 제품과 산업재산권 확보가 가능하므로 수입 대체와 기술 및 제품수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신약후보 도출 및 임상개발 과제의 수요를 반영한 후 단계별 대규모 신약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건강기능 식품 개발은 고령사회 진입과 노령인구 증가로 노화억제 및 고령자 건강유지용 식품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어 약용식물을 소재로 개인 맞춤형 나노바이오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나라 화장품분야의 전반적인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기술의 62% 수준이나 화장품 소재의 자원식물 발굴과 나노기술 접목을 통한 효능의 극대화는 소비자의 웰빙 트랜드와 외국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에 맞물려 국내 한방화장품의 세계화가 가능한 품목 중 하나이다. 식용 및 염색용 색소도 자원식물이 풍부하고 천연색소 시장이 크게 확장되고 있어 자원식물 중 경제성과 기술적 개발 가능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의 식물자원, 전통지식, 과학기술이 통합되어 효능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천연물신약, 건강보조식품, 화장품 등이 개발된다면 세계시장을 선도할 날도 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Nutritional Metabolomics (영양 대사체학)

  • Hong, Young-Shi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2
    • /
    • pp.179-186
    • /
    • 2014
  • Metabolomics is the study of changes in the metabolic status of an organism as a consequence of drug treatment, environmental influences, nutrition, lifestyle, genetic variations, toxic exposure, disease, stress, etc, through global or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every single metabolite in a biological system. Since most chronic disease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linked to nutrition, nutritional metabolomics has great potential for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and nutritional status, nutrient, or diet intake by exploring the metabolic effects of a specific food challenge in a more global manner, and improving individual health. In particular, metabolite profiling of biofluids, such as blood, urine, or feces, together wit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provides an effective strategy for monitoring human metabolic responses to dietary interventions and lifestyle habits. Therefore, studies of nutritional metabolomics have recently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nutrition-related metabolic pathways and biomarkers, along with their interactions with several diseases, based on animal-, individual-, and population-based criteria with the goal of achieving personalized health care in the future. This article introduces analytical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 to determination of nutritional phenotypes and nutrition-related diseases in nutritional metabolomics.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cess: Current Status and Future (염도차를 이용한 압력지연삼투 공정의 현황과 미래)

  • Kim, Jihye;Kim, Seung-Hyun;Kim, Joon 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1
    • /
    • pp.791-802
    • /
    • 2014
  • Energy shortage is being exacerbated due to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and depletion of fossil fuels. In order to release the energy crisis, new types of energy resources such as small hydropower, solar power, wind power and biomass have been already developed or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osmotic power, which harvests energy from salinity gradient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is considered as a feasible candidate. Among the osmotic power processes,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 is widely gaining attention because of no emission of carbon dioxide and less sensitiv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However, PRO process is facing difficulties such as the lack of specialized PRO membrane and optimization technologies. Therefore, PRO was reviewed in this paper in terms of theoretical background, membrane development, process development and fouling mechanism to provide insight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PRO research.

Transition to Sustainable Socio-technical System and Backcasting: The case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foods, household system transition in the Netherlands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과 백캐스팅: 네덜란드의 지속가능한 교통.식품.가정 시스템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 Seong, Ji Eun;Jung, Byung Kul;Song, Wi Chi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2 no.2
    • /
    • pp.81-116
    • /
    • 2012
  • Transition toward sustainablity being in progress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climate, energy, household, transportation. This study analyzed system transition and backcasting of its management with case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foods, household system transition in the Netherlands. Backcasting has become a popular approach for sustainability taking a more reflexive perspective and looking back to the participatory experiments. In the Netherlands, participatory backcasting utilized as s innovative approach for long-term strategy for sustainability, based on stakeholder involvement, construction of normative sustainable futures, stakeholder leaning. In this study, we can be understood that transition management requires the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of business, government, research and the public & public interest groups and backcating is tool leading to a sustainable future vision, stakeholder involvement. To create a new path toward sustainablity, it requires integrated consideration of related policy perspectives and participatory backcasting aiming at system innovations for influencing transitions.

  • PDF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apsule Endoscope (캡슐 내시경의 기술적 특징과 동향)

  • Kim, Ki-Yun;Won, Kyung-Hoon;Choi, Hyung-J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4C
    • /
    • pp.329-337
    • /
    • 2012
  • Capsule Endoscope(CE) is a capsule-shaped electronic device which can examine the lesions in digestive tract of human body. Recently the medical procedure using capsule endoscope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to both doctors and patients, since the conventional push-typed endoscope using cables brings great pain and fear to the patients. The technique was firstly available in 2000 and is based on a convergence techniques among BT(Bio Technology), IT(Information Technology), and NT(Nano Technology). The device consists of an optical parts including LEDs(Light Emitting Diodes), an image sensor,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wer module. Capsule endoscope is the embodiment of the state-of-the art technology and requires key technologies in the various engineering fields.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omposition of the capsule endoscope system, and compare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RF(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HBC(Human Body Communication), which are typically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 the capsule endoscope. Furthermore, we analyze the specification of commercialized capsule endoscopes and present the future developments and technical challe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