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 형식

Search Result 52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Media Transmodality Model for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을 위한 미디어 형식 변환 모델 연구)

  • Han Byeong-Jun;Yoon Jeong-Hyun;Lee Han-Kyu;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9-231
    • /
    • 2006
  • 임베디드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PDA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상에서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 특성상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소비환경은 유동성이 강하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따른 가용적인 모델이 필요하다. 미디어 형식 변환(Media Transmoding)은 네트워크, 하드웨어, 스트리밍 서버 등의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형식 변환 모델을 제안하고, 자체 개발한 미디어 형식 변환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TV-AnyTime Phase 2 Part 3와 SOAP과 결합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The effect of media modality and the valence of risk messages on affective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미디어 형식과 위험 메시지 구성이 감정적 위험인식과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ae-Shi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3 no.4
    • /
    • pp.457-485
    • /
    • 2012
  • The current study explores how media modality and message frame interact to form individuals' affective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Specifically,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s on irradiated foods in text, audio, and audio/video formats and their affective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affective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nfluenced by media modality and message frame.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were also observ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ropriate media modality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based on the message content for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 PDF

Development of MPEG-4 BIFS Encoder for XMT Authoring (XMT 저작용 MPEG-4 BIFS 인코더 개발)

  • Kim, Sang-Wook;Cha, Kyung-Ae;Kim, Hee-Sun;Lee, Dong-Hun;Kim, Kwang-Young;Lee, M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333-1336
    • /
    • 2000
  • 이 논문은 XMT 형식의 미디어 디스크립션을 생성하는 MPEG-4 BIFS 인코더를 제안하고 이의 개발을 보인다. XMT (Extensible MPEG-4 Textual Format)는 텍스트 형식의 MPEG-4 씬 디스크립션으로 방송용 오디오/비디오 편집 및 이동 단말기 사용자 중심의 미디어 컨텐트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XMT 저작을 위한 시각적인 방식과 이를 통해 편집된 정보인 씬 디스립션, 객체 디스크립션 및 인터프리팅 정보 등을 이용하여 XMT 형식의 미디어 디스크립션을 생성하는 기술을 보인다. 저작된 XMT 형식의 미디어 디스크립션은 디코더에 의해서 프리젠테이션 될 수 있다.

  • PDF

기술연재 / 향후 미디어 발달 경향

  • Kim, Yong-Seop
    • Digital Contents
    • /
    • no.12 s.91
    • /
    • pp.46-52
    • /
    • 2000
  • 웹캐스팅(Webcasting)은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중 인터넷 인프라에서 스트리밍 프로토콜(streaming protocol)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 내릴수 있다. 즉 인터넷에서 스트리밍으로 구현되는 콘텐츠와 이와 연동되는 멀티미디어를 포괄하는 서비스의 개념이다. 단순히 영상 서비스만을 국한하는 개념이 아니라 스트리밍 기술로 서비스되는 모든 멀티미디어 영역이 웹캐스팅에서의 콘텐츠 형식인 것이다. 여기에서 스트리밍(Streaming)은 말 그대로 흘러나오게 한다는 의미를 가진 멀티미디어 구현 용어이다. 즉 웹캐스팅에서 선택된 해당 동영상 콘텐츠 파일이 다운로드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황에 맞게끔 방송의 형식으로 실시간 시청분량만큼을 조금씩 흘려준다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Integrated Media using MAF for Photo Album (사진앨범을 위한 MAF 기반 통합 미디어에 관한 연구)

  • Cho, Jun Ho;Yang, Seungji;Jin, Sung Ho;Ro, Yong Man;Kim, Sang-Ky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0 no.3
    • /
    • pp.436-450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grated media format for a photo album including media resources and corresponding meta-data The main purpose of the integrated media is to be more reusable meta-data and to facilitate constructing a photo album from a large number of photo images as well. The proposed media format is based on MAF(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which is recently going on progress in MPEG standard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tegrated media consisting of JPEG data and content-based meta-data based on MPEG-7 MDS. We verifi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dia through experiments with implementation of encoder and photo MAF player for the MAF-based media format.

Neural Network design for Printed Hangul recognition using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Hangul (한글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인쇄체 한글인식을 위한 신경망 설계)

  • 서원택;조범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588-59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한글의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신경망을 설계해보았고, 이를 이용하여 주민등록증에 있는 이름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구성해 보았다. 본 시스템은 한글의 6형식에 따른 구조적인 특징을 효과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형식을 구분하는 신경망을 먼저 구성하여 형식별로 분류한 뒤, 형식에 따라 자모음을 분리하여 각 형식에 따라 구성된 2차 신경망으로 입력을 하여 인식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훈련용 데이터는 각 형식 별로 자소를 분리해서 얻은 영상들을 자소별 평균이미지로 만들어서 이를 조합하여 만든 글자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같은 형식의 같은 자음이라도 글자의 모양과 위치가 조금 다른 것에 대해서 강인한 훈련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히스토그램의 국부 평균을 적용함으로써 잡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였다. 100명의 주민등록증을 컴퓨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 받아서 테스트한 결과 98.1%의 높은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The Persuasive Impact of Fit between Message Goals(Promotion vs. Prevention) and Modality of Message on Social Media (메시지 조절목표와 메시지 형식 간 적합성이 메시지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

  • Kim, Dong Hoo;Song, Young-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2
    • /
    • pp.604-621
    • /
    • 2021
  • Examination of the concurrent evolution of communication tools and eating behaviors over recent decades reveals that social media and other forms of digital content have become powerful new driving forces for nutritional choices and food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between goal orientation of message (promotion versus prevention) and the type of message (text versus image) on effectiveness of the message. The findings showed that individuals exposed to a promotion-focused message similarly responded to the mess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message. By contrast, those who exposed to a prevention-focused message show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responses to the message posted on the text-based social media than the message on the image-based social medi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f presented effectively, social media could be harnessed to promote healthier eating habits and behaviors, prevent those which can be harmful, and ultimately improve an individual's daily food consumption and overall quality of life.

Selective Interactivity and Reflexive Intermediality: Focusing on the Neflix Film (선택의 상호작용성과 성찰의 상호미디어성: <블랙미러: 밴더스내치>를 중심으로)

  • Kim, Moo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60-6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 which has been screened on Netflix since 2018. This film can be considered an interactive narrative because it gives viewers the opportunity to select their own narrative forks which lead to various endings. However, it also limits viewers' freedom of interactions in many ways, resulting in the pessimistic narrative world of series. In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the conflict between the user's selectability and the narrator's authoriality emerges. And this collision gives rise to a complex form in which nonlinear interactive and linear narrative forms blend together. It can be understood as a form of self-reflection, such as forms of the metalepsis and breaking the fourth wall. In this paper, this particular form will be regarded as a sort of reflexive intermediality, i. e. the form for media reflexi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VR Elements by using AHP (AHP를 이용한 가상현실 구성요소 간의 관계 분석)

  • 배혜진;김석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508-511
    • /
    • 2003
  • 초고속인터넷의 성장과 더불어 가상현실 기술역시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가상현실의 발전은 1998년 데스크톱형식에서 인간의 오감을 배려한 체감형식으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하드웨어는 일반인들에게는 아직 값비싼 고가의 장비일 뿐이며,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아직 데스크톱형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데스크탑형 Display를 기반으로 최적의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로 가상현실 구성요소를 문헌 및 연구를 토대로 분류해보고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 PDF

Bookmark for Multimedia Content Having Multiple Variations (변형을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에 대한 북마크)

  • Yeom, Ji-Hyeon;Kim, Myoung-Hoon;Sull, Sang-Hoon;Kim, Hyeok-Ma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7
    • /
    • pp.489-494
    • /
    • 2009
  • Since multimedia content is often independently encoded into multiple variations having diverse bandwidths, resolutions and compression formats, the same segment might be stored at different temporal positions within the varia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durable multimedia bookmark mechanism which provides a convenient way of switching to any variation before or during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without experiencing temporal discontinuity or overlapping a portion of the content. We also present a new multimedia bookmark player with which users can manage a personal collection of bookmarks with an intuitive visual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