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디어 프레이밍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5초

이익/손실 프레이밍과 사전 태도가 상호작용하여 국제구호 메시지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Gain/loss Framing and Pre-attitude on the Processing of International Relief Messages)

  • 송원섭;이승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501-511
    • /
    • 2019
  • 국제기아와 같이 멀리 떨어진 사람들을 돕기 위한 메시지는 상황적인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메시지의 특성(이익/손실 프레이밍)과 개인의 특성(돕기 활동에 대한 사전 태도)이 상호작용하여 메시지 태도와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는 220명이 참여한 실험으로 진행하였다. 메시지 태도와 행위 의도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 이익/손실 프레이밍과 사전 태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발현되었다. 그러한 상호작용은 사전 태도가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집단에 대하여 이익 프레이밍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였다. 손실 프레이밍에서도 같은 방향성이 나타났지만 그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방향성은 기대 만족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타인을 돕기 위한 메시지의 적절한 기획을 위한 실용적, 이론적 의미를 논하였다.

야외교육활동 안전사고 담론에 관한 미디어 프레이밍 고찰 : 사설해병대 캠프사고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A Review of Media Framing on the Discourse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Outdoor Educational Activities : Focusing on the Press Release Example of Marine Corp Camp)

  • 이우진;임태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726-738
    • /
    • 2016
  • 본 연구는 야외체험활동에 관한 안전 담론에 대한 미디어 프레이밍의 관련성을 탐색고자 2013 해병대 캠프 사고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설정 기간은 해병대 체험캠프가 급격히 증가한 대한민국의 천안함 폭침 사건 일인 2010년 3월 26일부터 해병대 캠프 사고 발생 후 2013년 7월 21일까지 보도된 뉴스보도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검색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사건 발생 전 138건, 사건 발생 후 73건, 총 211건의 자료를 귀납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해병대 캠프 보도는 크게 사건전과 후로 나누어져 긍정적 미화 프레이밍과 부정적 프레이밍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사고 발생 전의 프레이밍은 야외체험 활동에 관하여 극기체험을 통하여 인내심과 자립심을 키움으로써 자존감을 높이고 더 나아가 사회구성원으로서 협동심을 고취할 수 있는 최고의 교육프로그램으로 확대하여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어 사고 발생 후에는 늘 그렇듯이 안전 불감증 문제를 공론화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미디어의 이중적 보도 행태의 프레이밍은 자칫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안전 문화 확산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사료 되며, 이에 언론은 보도 시 좀 더 냉철하고, 객관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마케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ssage Framing Types of Sustainable Marketing Campaigns of Luxury Impact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Brand Trust)

  • 김민정;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45-252
    • /
    • 2024
  •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지속가능 마케팅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갖는 상호작용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로 하여금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을 높였으며, 수용자의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은 각각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임이 직접적으로도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강과 환경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른 소비자 태도와 구전에 미치는 영향: 비건 제품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Health and Environmental Message Framing on Consumer Attitude and WoM: Focused on Vegan Product)

  • 박서영;임보람
    • 서비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127-146
    • /
    • 2023
  • 최근 디지털 광고는 15초 미만의 짧은 광고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며, 소셜미디어에서 광고는 소비자가 스킵하기 전까지 5초 이내에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광고의 길이가 짧아졌지만, 인공지능을 통한 알고리즘과 빅데이터 분석은 고객의 관심사에 맞는 메시지 전달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런 변화 속에서 짧고 효율적인 광고를 이용한 소비자 맞춤 메시지 전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비건 제품에 대한 '건강'과 '환경' 두 가지 프레이밍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건강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 관심의 증가는 비건 제품에 대한 관심을 높였으며, 비건 시장은 날로 크게 성장하고 있다. 소비자가 비건 제품을 구매하는 이유는 소비자 개인의 건강을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윤리적 소비라고 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책임감 또한 무시 못 할 요인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건강과 환경 메시지 프레이밍 간의 효과의 차이가 측정되지 못하였으며, 연구 대상도 비건 식품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방세제 제품군을 이용하여 '건강과 환경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의 차이를 밝혀내고자 한다.

AI 기반 리프레이밍 기술을 이용한 관찰예능 제작 기법 (A production technique of observing variety program using AI-based reframing technology)

  • 이윤재;최성우;홍민수;이용건;홍영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53-1255
    • /
    • 2022
  • 예능 프로그램에서 관찰예능 포맷은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리프레이밍 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관찰 예능 제작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은 실제 방송프로그램 KBS2 신상출시 편스토랑에 적용되었다. 연구의 조건에 부합하는 촬영 장비의 기능조건과 조사결과를 다룬다. 센서타입와 연속녹화시간은 장비선정에 있어 핵심 고려요소로 나타났다. 시스템 구성은 제작 워크플로우에 따라 촬영파트와 편집파트로 나누어 소개한다. 촬영파트는 실제 제작현장의 기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편집파트의 경우 자체 개발한 편집도구로 이루어지며, 핵심모듈인 AI엔진과 고속렌더링모듈에 대한 소개를 하였다. 향후 최신 촬영 장비의 도입, 처리성능의 향상 등을 통해 제안방식의 적용처를 넓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사행산업 관련 뉴스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 연구 (Study of Policy through Big data Analysis about Gambling News)

  • 문혜정;김성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0-193
    • /
    • 2016
  • 본 연구는 사행산업의 분야인 복권, 체육진흥투표권, 경마, 카지노에 대해 언론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1990년부터 2015년까지의 뉴스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테스트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의미망 분석을 통해 기사의 빈도와 연결성을 프레이밍과 시민관심 정도로 재조명 하여 기사에 대한 언론보도자의 의도와 시민의 인식차이를 밝혔고, 이를 통해 정책적 특성과 개혁과제를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복권의 경우 당첨번호, 당첨금, 조작의혹 등 당첨에 대한 부분이 주제인 '사회문제' 형태였으며, 체육진흥투표권의 경우에는 사업입찰, 불법사이트, 발매대상 등 주로 사업추진과 불법사이트에 대한 '의무정보' 종류였고, 경마의 경우 사업장, 홍보, 기사 등으로 사업홍보나 광고 관련 뉴스이었고, 마지막으로 카지노의 경우에는 불법, 도박장, 외국인 등 '주요정보'에 해당하는 논문이었다. 시대에 따라 1990년대에는 카지노, 2000년대에는 복권, 2010년대에는 경마에 대한 기사보도가 많아졌으며, 이에 대한 시민의 반응도 사업비리, 당첨, 시민운동 등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사의 빈도와 연결성이 나타내는 프레이밍 정도와 시민의 관심은 '1. 홍보광고, 2. 의무정보, 3. 사회이슈, 4. 주요정보' 네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사고, 비리 등 주요기사로 구분되는 사회문제가 주요 공공의제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언론보도와 수용자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a Coverage and Recognition Type of Users about Ubiquitous Environment)

  • 유승관;이제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169-20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온라인시대의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해서 언론의 보도 내용 및 태도와 함께 일반대중들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관심이나 주관적인 성향(느낌, 견해)들에 대한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이 어떠한 특성과 의미를 보여주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미디어가 어떻게 프레이밍 하였는가를 먼저 프레이밍 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이러한 프레이밍이 수용자의 개인적 수준에서의 해석적 프레임으로 볼 수 있는 주관적 인식과 어떤 유사성이나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 연결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주관성연구를 실시하였다.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일반대중들의 수용형태를 살펴본 결과,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N=11)은 긍정적 보편 주도형(Positive Universality Leading Type), 제 2유형(N=4)은 회의적 신중 선호형(Uncertain Prudence Preference Type), 제 3유형(N=3)은 미래 문화적 향유형(Future Cultural Enjoyment Type), 제 4유형(N=2)은 부정적 효과 전망형(Negative Effect View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수용자들은 대체로 미디어가 제시한 프레임에 의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다른 한편 확고한 주관과 정체성에 기초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을 인식하고 있어 미디어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사이의 관련성이 존재하지만 이외의 중재변인이 또한 존재하여 향후 이에 대한 탐색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도서관에 대한 언론 보도 경향: 1990~2018 뉴스 빅데이터 분석 (An Analysis of News Trends for Libraries in Korea: Based on 1990~2018 News Big Data)

  • 한승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3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29년간의 도서관을 주제로 한 뉴스 기사 37,818 건을 대상으로 양적 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언론 보도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시기별, 주제별, 언론사 유형별 기준에 따라 언론 보도의 양적 변화 추이를 분석한 후, 키워드 빈도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시기별 보도 내용의 변화 추이와 기사에 내재된 언론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언론은 도서관의 정보제공 기능과 교육적 기능, 그리고 문화적 기능에 주된 관심을 보였으며, 언론의 관심 주제 변화 추이는 사서직 처우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도서관계 이슈의 변화 추이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언론이 도서관 기사 보도에 대해 취하는 주된 태도는 보도기능과 광고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셜미디어 신뢰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Social Media Credibility and Behavioral Intentions)

  • 유병호;황조혜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69-9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f social media contents on social media credibi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role of customers' gourmet restaurant involvement. In this study message framing is divided into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sidedness and used experimental stimulus composed of $2{\times}2$ factorial design.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into the social media credibi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A total of 560 valid samp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timuli 'two-sided / prevention' and 'one-side / promotion' framing were the most influential framing on social media credibi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social media credibil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which was not widely used in the hospitality industry research was confirmed. Also the usefulness of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sidedness were identified in the various research in hospitality management.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식품안전 보도를 중심으로 (Frame Analysis on Risk Reporting: Food Safety Reports from 1989 to 2005)

  • 박성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181-210
    • /
    • 2006
  • 본 연구는 식품 안전을 둘러싼 위험 상황을 보도하는 언론의 보도 프레임을 추출, 언론이 위험 상황을 위기의 사회 현실로 구축해가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89년 삼양라면 우지파동에서 2005년 김치 기생충 알 검출 사건에 이르는 11개 식품안전 사고를 보도한 언론보도 내용을 대상으로 미디어 프레임을 분석, 각 프레임을 이루는 장치를 통해 언론이 위기를 구축해가는 양상을 추적했다. 분석에 사용된 프레임은 책임소재, 갈등, 인간적측면의 부각, 경제적 결과, 도덕성 등 다섯 가지 프레임이었으며, 연구 결과 이들 프레임에는 위기 확산, 책임 소재, 갈등 부각 등의 현저성이 두드러졌다. 특히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행위자는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적 대비 구조를 나타냈다. 기사에 등장하는 행위의 주체인 식품업자, 정부 및 해당관청, 소비자, 전문가 등은 이러한 갈등, 혹은 대비 구조의 프레임 안에서 때론 가해자로, 때로는 피해자로 틀짓기 되며 위험의 상황을 확산, 증폭 시키면서 소비자들의 혼란을 야기하고 위기의 사회현실을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