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edia Coverage and Recognition Type of Users about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언론보도와 수용자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6.02.13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both a content analysis and Q-methods analysis in order to find media coverage and recognition type of users about ubiquitous environment in digital online age. The perception type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in all through Q-methodology. Above all,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how is the type of the perception divided into the subjectivity by recognition-characteristic on ubiquitous environment in Korea? Second, what is a trait of character in these same or different types? Third, how did news media cover ubiquitous phenomena overall?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media coverage and audiences' perception about ubiquitous phenomena? The results show that audiences seem to generally follow the frames that mass media provide. In addition, however, the audiences tend to recognize ubiquitous environment based upon their own schema as following four types: 1. Positive Universality Leading Type, 2. Uncertain Prudence Preference Type, 3. Future Cultural Enjoyment Type, 4. Negative Effect View Type. This study suggests that every efforts such as technology and polici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ubiquitous environment in Korea should be accompanied.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온라인시대의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해서 언론의 보도 내용 및 태도와 함께 일반대중들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관심이나 주관적인 성향(느낌, 견해)들에 대한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이 어떠한 특성과 의미를 보여주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미디어가 어떻게 프레이밍 하였는가를 먼저 프레이밍 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이러한 프레이밍이 수용자의 개인적 수준에서의 해석적 프레임으로 볼 수 있는 주관적 인식과 어떤 유사성이나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 연결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주관성연구를 실시하였다.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일반대중들의 수용형태를 살펴본 결과,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N=11)은 긍정적 보편 주도형(Positive Universality Leading Type), 제 2유형(N=4)은 회의적 신중 선호형(Uncertain Prudence Preference Type), 제 3유형(N=3)은 미래 문화적 향유형(Future Cultural Enjoyment Type), 제 4유형(N=2)은 부정적 효과 전망형(Negative Effect View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수용자들은 대체로 미디어가 제시한 프레임에 의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다른 한편 확고한 주관과 정체성에 기초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을 인식하고 있어 미디어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사이의 관련성이 존재하지만 이외의 중재변인이 또한 존재하여 향후 이에 대한 탐색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