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 지능화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New Models for Realizing the Application Services in Satellite ATM Network (위성 ATM망에 적합한 응용서비스 제공 모형 제안)

  • 최명수;김종화;김경호;김내수;오덕길;이성로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A
    • /
    • pp.828-835
    • /
    • 2001
  • 인터넷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음성, 데이터는 물론 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21세기의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과 방송의 융합, 과대역화, 고속화, 대용량화, 지능화, 개인화로 바뀌고 있다. 이와 같은 초고속 서비스 망의 중심에는 ATM 기술이 위치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ATM과 같이 진정한 의미의 QoS를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ATM은 네트워크 응용의 타입을 스스로 인식해 가장 알맞은 대역폭을 제공하므로 실시간 전송 데이터에 대해 가장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논문에서는 초고속 위성통신과 발전전망의 세계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Network Services based on Middleware Framework (미들웨어 프레임웍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 김준형;모상덕;정광수;민수영;고재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568-570
    • /
    • 2003
  • 최근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댁내 가전기기들의 지능화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다양한 기기를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정보 가전기기들을 인식하여 댁내 네트워크에 등록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매체 접근기술의 연동이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지니(Jini)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홈 네트워킹 서비스로 미디어 접근을 위한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와 무선 랜의 연동을 보일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다가올 홈 네트워크의 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iddleware Framework in Homenetwork with Bluetooth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미들웨어 프레임웍의 설계 및 구현)

  • 공광일;모상덕;정광수;민수영;고재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673-675
    • /
    • 2003
  • 최근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구축 및 무선망의 확산과 댁내 자동화, 지능화 된 디지털 정보 가전의 출현으로 이를 통합하는 홈 네트워크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다양한 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정보 가전기기들을 인식하여 댁내 네트워크에 등록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미디어 접근을 위한 기술로 유선에 비해 편리하고 무선 랜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이며 비용이 저렴한 저전력의 블루투스(bluetooth)와 다양한 미들웨어 중 차세대 접속기술인 지니(Jini)를 이용한 미들웨어 프레임웍을 설계하여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 of Middleware Framework based on Bluetooth for Home Networking (홈 네트워킹을 위한 블루투스 기반의 미들웨어 프레임웍의 설계 및 구현)

  • 김준형;모상덕;정광수;민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235-237
    • /
    • 2002
  • 최근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댁내 가전기기들의 지능화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다양한 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정보 가전기기들을 인식하여 댁내 네트워크에 등록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미들웨어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그 중 지니(Jini)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제 미디어 접근을 위한 기술로 유선에 비해 편리하며, 무선 랜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다가올 홈 네트워크의 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Public Data for Making the Ambient Intelligent Service (공간지능화서비스 구현을 위한 공공데이터 분석)

  • Kim, Mi-Yun;Seo, Dong-J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2
    • /
    • pp.313-321
    • /
    • 2014
  • In current society, the digital era that makes enormous amount of data, and the diversified city, the smart space,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creating, collecting and representing data, is appeared. After 2012,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called hyper-connected society with wide-spread smart phone, people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public data and big data by generalized mobile device and SNS. At first, development of forming platform of data was focused, but now, many different idea from diverse area have been suggested about data analysis and usage to visualize the space intellectualization service. To focus on the visualization process to increase the usage of this public data for ordinary people more than specialized people, this research grasps the present condition of open data and public data service from the current public data portal and considers the applicability of them. As the result of research,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data to ordinary people decrease the use of paper documents, and this research will help to develop the application which is fast and accurate about individual behavior and demand to utilize public data service in intellectual space.

A Study on New Selective Agent Attack Technology in Windows System (윈도우시스템에서 새로운 선택적 에이전트 공격 기술에 관한 연구)

  • Kim, Yeong-Woo;Lim, Young-Hwan;Park, Won-Hy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2
    • /
    • pp.226-233
    • /
    • 2012
  • Recently, Like we saw with 3.4 DDoS Cyber Terror, a behavior of cyber terror becomes increasingly more complicated, sophisticated and larger, and there has been largely damage on industry, the general economy. For responding cyber terrors which occur in the future, we should recognize security holes of system which isn't exposed yet before attacker in advance as we anticipate and implement new technique of cyber attack which not exist hitherto. We design and implement a new technique of cyber attack; it seems to us that a server denies agent' service by altering value of registry in windows system. Network connections of agent are restricted to the new technique we suggest as the a value of registry is changed to a less value than a necessary value and there has happened packet loss by attacker.

A Study on Preprocessing Method in Deep Learning for ICS Cyber Attack Detection (ICS 사이버 공격 탐지를 위한 딥러닝 전처리 방법 연구)

  • Seonghwan Park;Minseok Kim;Eunseo Baek;Junghoon Park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11
    • /
    • pp.36-47
    • /
    • 2023
  • Industrial Control System(ICS), which controls facilities at major industrial sites, is increasingly connected to other systems through networks. With this integ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attacks that can lead to a single external intrusion as a whole system paralysis, the risk and impact of security on industrial control systems are increasing. As a result, research on how to protect and detect cyber attacks is actively underway, and deep learning models in the form of unsupervised learning have achieved a lot, and many abnormal detection technologies based on deep learning are being introduced. In this study, we emphasize the application of preprocessing methodologies to enhance the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models on time series data. The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 Wavelet Transform (WT)-based noise reduction methodology as a preprocessing technique for deep learning-based anomaly detection. Particularly, by incorporating sensor characteristics through clustering, the differential application of the Dual-Tree Complex Wavelet Transform proves to b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in improv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cyber attack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vator Control and Information System based on Media Streaming Service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및 정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Woon-Yong;Park, Seok-Gyu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4 no.3
    • /
    • pp.409-414
    • /
    • 2010
  • Recently, It has enlarged various service requirements for the market of elevator with the environment of IT convergenc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of elevator based on media streaming service that is extended from the existing control system of an elevator. There is the service environments based on Internet for architectur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e framework of the suggested streaming service. We use this framework to operate and integrate the various services of elevator system. And also, we so apply to the user requirements easily that we can construct the smart elevator environment by convergence home network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based on IT.

Overview of Intelligent Gadget Technology for Life Log Service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위한 지능형 가젯 기술 동향)

  • Bae, C.S;Won, J.H.;Ryoo, D.W.;Noh, K.J.;Lee, G.H.;Choi, E.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5 s.101
    • /
    • pp.81-92
    • /
    • 2006
  • 최근 미니홈피, 블로그 등의 개인 홈페이지가 활성화되면서 개인의 생활 경험 정보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도는 주로 영상이나 텍스트에 의존한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디지털 라이프로그라는 개념으로 개인의 전반적인 일상 생활을 디지털 미디어로 기록해 두고자 하는 시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라이프 로그에서 저장되는 정보는 단순히 개인이 보고 듣는 정보뿐 아니라 개인의 주변상황 및 신체상태 등 그 다양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개인의 실생활에서 수집하기 위해 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사물에 정보 수집 및 처리 기능을 부가하자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이 지능화된 사물을 지능형 가젯(gadget)이라 부른다. 지능형 가젯은 단순한 사용자의 개인 생활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 외에도 가젯들 간의 상호 정보 교환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 라이프 로그가 저장된 서버와의 정보 교환으로 사용자의 과거 경험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나 취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이를 위한 기본이 되는 라이프 로그 서비스를 위한 지능형 가젯의 각 구성 모듈인 지능형 가젯 플랫폼, 지능형 가젯 네트워크, 그리고 지능형가젯 미들웨어의 기술 동향과 라이프 로그 서비스의 연구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Integration Control MiddleWare for Next Generation Telematics Service (차세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통합 제어 미들웨어)

  • Kang, Gi-Soon;Yoon, Yong-Ik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7 no.3 s.15
    • /
    • pp.83-92
    • /
    • 2005
  • Telematics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for driver's the safety or entertainment, and it makes drivers possible to use those services in the moving space, as if he/she is at home or at office. As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and Telematics market grows larger, standard platform for the intelligent telematics is required. This paper describes the structure and module control design of the intelligent telematics that recognizes driver's needs and pushes customized services to the driver at real-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