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 지능화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BGOLAM-Based Gender Classification for Intelligent Smart TV Applications (지능형 스마트 TV 응용을 위한 BGOLAM 기반의 성별분류)

  • Oh, Daeyoung;Choi, Jiwon;Kim, Changi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552-555
    • /
    • 2011
  •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mobile smart devices)와 더불어 스마트 TV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사용자들의 컨텐츠와 기능에 대한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스마트 TV가 컨텐츠와 기능적 측면에서 사용자의 편의와 재미, 그리고 유익함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지능화된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남녀에 따라 TV를 시청하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현재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성별분류(gender classification)를 통해 성별에 따른 따른 채널이나 광고, 응용 프로그램을 달리 제공하는 성별 기반의 스마트 TV 응용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 응용에 적합한 BGOLAM 기반의 성별분류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적절성을 보인다.

  • PDF

Suitable to a Ubiquitous environment an Event Reporting analysis and design (유비쿼터스 환경에 발맞춘 MPEG-21 이벤트 리포팅 분석 및 설계)

  • Kim Jung-Su;Moon Nam-Mee;Hong Jin-Woo;Song Young-J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204-207
    • /
    • 2003
  • 컴퓨터화의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유비쿼터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물리공간을 지능화함과 동시에 물리공간에 펼쳐진 각종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발맞추어 모든 물리공간에서 펼쳐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역시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노력의 산물로 MPEG-21 표준화작업이 시작되었다. MPEG-21에서의 이벤트 리포팅 기술요소는 MPEG-21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 및 상호작용에 대한 표준적인 측정방법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새로운 페러다임인 MPEG-21의 7가지 요소 중의 하나인 이벤트 리포팅에 대한 정의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벤트 리포트 요구와 이벤트 리포트로 나뉘는 이벤트 리포팅의 체계를 분석한다. 또한 MPEG-21의 이벤트 리포팅에 대한 표준화 동향을 분석, 설계함으로써 이벤트 리포팅에 대한 향후 표준화 활동 방향을 제시한다.

  • PDF

디지털 TV방송 기술개발 전략

  • 안치득;김진웅;이수인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5
    • /
    • pp.24-34
    • /
    • 2004
  • 디지털방송이란 방송 콘텐츠의 제작, 전송 및 재현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디지털화 함으로써, 고품질의 방송 프로그램 및 다채널 서비스를 실현하고 통신방송 융합형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기술로 정의된다. 디지털방송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ㆍ현재 아날로그TV보다 5∼6배 선명한 고선명(HD) 영상과 CD급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함 ㆍ기존의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영상, 음성, 음향, 문자, 그래픽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TV수상기, 컴퓨터 모니터, 휴대전화 등 여러 가지 수신 단말을 통하여 받아볼 수 있음ㆍ방송 통신망 연동, 방송 단말의 지능화 기능 등을 통하여 시간, 공간적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시청자 개인 취향의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시청자가 방송에 직접 참여하는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함 ㆍ양방향 데이터 방송, TV전자상거래, T-Government 등 멀티미디어 부가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인프라간 통합의 구심점 및 정보플랫폼(Home Gateway) 역할을 수행함.(중략)

  • PDF

A study on how to generate notification messages using live and forecast information (실황 및 예측정보를 활용한 알림 메시지 생성방안 연구)

  • Lee, Jae-Young;Shin, Jiyoung;Park, Gi-Yeon;Kim,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58-160
    • /
    • 2022
  • 최근의 자연 재난의 발생 빈도의 증가는 재난에 대한 정보전달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전달 방법의 중요도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2020년의 코로나19(COVID-19)로 인하여 자연 재난에 더해 사회재난에 관한 관심도 증대하고 있으나, 재난정보의 빈도가 매우 높아져, 2000년대 통틀어서 제공된 재난 정보량보다 20년, 21년의 재난 정보량이 더 많아 보인다. 이러한 재난정보의 홍수는 반대급부로 정보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무시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 위험지역을 기반으로 Segment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Segment 단위로 재난 위험 메시지를 제공하는 Segment기반 긴급메시지전송 시스템을 연구한다. 목표시스템에서는 재난정보를 실황 정보와 1시간 예측정보를 비교, 위험지역 회피시나리오를 지능화 개선하여 모바일앱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피 이동관리와 행동 유도를 이끌어 이용자의 인명피해 저감과 재산손실 감소의 효과를 얻고자 개발하였다.

  • PDF

얼굴인식기반 범죄수사 시스템

  • Park, Guman;Choi, Inho;Yun, S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351-353
    • /
    • 2020
  •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각종 범죄가 고도로 지능화, 전문화 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매년 범죄율이 증가하고 있다. 범죄수사에서 범죄자를 검거하기 위해서는 '골든 타임'인 초기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CCTV를 일일이 돌려보던 기존의 비효율적인 수사방식이 아닌, 얼굴인식기술을 활용해 골든타임 안에 범죄자를 검거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얼굴인식기반 범죄수사 시스템을 제안한다. 얼굴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CTV 영상 속 범죄자가 있다면, 곧바로 얼굴을 인식해 표시 해줌으로써 단시간 안에 범죄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한다. 이후 이동경로 및 수사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다른 경찰관들과 공유해 범죄자를 빠르게 검거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제작과정에서 얼굴인식관련 기술은 Deep Metric CNN(triplet), Resnet, Knn classification을 사용해 python으로 구현하였다. 통신을 위한 웹서버는 Bitnami를 통해 구축했으며, NAT, DHCP, Port Fowarding 기술을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웹페이지는 HTML, PHP, CSS 등을 통해 제작해 수사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제작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convergence transmission platform nearby subscriber (가입자 근접형 원격 융합 전송 플랫폼 개발)

  • Jung, Joon-Young;Im, Ha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6-6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기 구축된 케이블 방송망 인프라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개선 및 진화가 용이하도록 가입자에 근접한 지점까지 전송 장치를 위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들어 케이블 방송망은 융합화, 지능화, 개인화 형태로 발전하는 미래 방송·통신 서비스의 수요 충족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송 기술의 개발 및 네트워크 진화 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도 네트워크 개선 및 신규 서비스 도입 등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나 기존에 설치 및 구축된 케이블 방송·통신 인프라의 전반적인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전송 장비를 셀인입점으로 이동함으로 셀 분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향후 셀인입점 이후의 종단 망만 업그레이드함으로써 네트워크의 개선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 PDF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서비스와 인간공학 핵심기술

  • Park, Beom;Shin, Yong-Baek;Kim, Hae-Sook;Yoon, Byung-Nam;Lim, Ju-Hwan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15-15
    • /
    • 1995
  • 90년대 중반에 이르러 세계는 정보화사회로의 진입이 예고되고 있으며21세기는 지 식과 정보로 이루어진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가 지배하는 가상사회(Virtual Society), 그리고 나아가 가상세계(Virtual World)가 될 것이다. Cyberspace는 컴퓨터와 통신망을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서비스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 한 21세기 정보화사회의 특성은 사회적 그리고 기술적 Paradigm 변화의 추세와 속성이 변질되고, 정보사회의 변화에 대해 그 근간이 되는 21세기 정보통신기술은 각각 정보의 운반수단, 정보용량, 정보신호처리방식, 통신영역, 그리고 정보통신 자원 등의 영역에서 그 기준과 수준이 변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는 정보통신 기술의 진화 모델과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의 예측항목들을 분석하여 지능화(Intelligent), 복합화(Multimedia), 개인화(Human) 등의 IMPH의 특성 요소를 정의 한다.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인간 중심의 정보통신 체계(Human Orient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 System)는 인간의 성능과 특성에 가장 최적합한 서비스 기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인간의 각 정보통신 처리 영역인 Perceptual Processor, Cognitive Processor에 대한 구현 서비스들의 정의와 그와 관련하여 예측되는 연구 및 기반기술 과제를 기술한다. 또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서비스들의 형태, 응용, 정보 요소, 기술적인 대칭성과 연결형태 등을 분석하고 4단계로의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의 연구개발 전략과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utomated Story Generation with Image Captions and Recursiva Calls (이미지 캡션 및 재귀호출을 통한 스토리 생성 방법)

  • Isle Jeon;Dongha Jo;Mikyeong M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4 no.1
    • /
    • pp.42-50
    • /
    • 2023
  •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achieved digital innovation throughout the media industry, including production techniques and editing technologies, and has brought diversity in the form of consumer viewing through the OTT service and streaming era. The convergence of big data and deep learning networks automatically generated text in format such as news articles, novels, and scripts, but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that reflected the author's intention and generated story with contextually smooth.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flow of pictures in the storyboard with image caption generation techniques, and the automatic generation of story-tailored scenarios through language models. Image caption using CNN and Attention Mechanism, we generate sentences describing pictures on the storyboard, and input the generated sentences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del KoGPT-2 in order to automatically generate scenarios that meet the planning intention. Through this paper, the author's intention and story customized scenarios are created in large quantities to alleviate the pain of content cre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articipates in the overall process of digital content production to activate media intelligence.

Development of Image resizing algorithm based Human Visual System using DCT block (DCT블록을 이용한 인간 시각시스템 기반의 영상 리사이징 알고리즘 개발)

  • Yang, Dae-Gyu;Jeong, Sang-Hyeon;Seo, T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199-202
    • /
    • 2008
  • 고객의 통신 니즈가 다양해지고 통신 인프라가 대용량, 고속화 되고 단말이 지능화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IPTV의 셋탑, 컴퓨터 모니터, 이동통신 핸드폰이 이르기 까지 다양한 화면 사이즈의 단말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원영상을 화면의 크기에 적합하게 크기를 변환하는 영상 리사이징 기술을 이용하게 되며, 그 방식은 DCT 방식과 공간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DCT방식은 원영상의 고주파 영역의 조정하여 크기를 변화하는 방식으로 열화는 최소화되나 DCT 변환을 위한 계산량이 많고 고정 크기 블록을 사용하므로 유연성이 떨어진다. 공간영역은 객관적인 평가에서 품질이 열화되더라도 시각적으로 눈에 민감한 영역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인간시각시스템을 기반으로 눈의 민간도가 높은 망막 이심율이 작은 영역에서는 DCT블록의 크기를 변화를 최소화시키고 망막이심율이 큰 영역에서는 블록의 변화를 크게 하는 가변 블록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수한 영상 품질을 확보하면서도 시각적으로 뛰어난 리사이징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multimedia Service Platform on Wireless Intelligent technology (무선인식 기술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플렛폼 설계에 관한 연구)

  • Kang, Myoung-K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4 no.1
    • /
    • pp.25-32
    • /
    • 2009
  • The advancements in the infus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have made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y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technology in many different fields and demanded systems of practical service using the technology. Designed in the study was a multimedia platform that would increas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limited frequency resources, which made an important part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search for vacant frequencies not generating interfering signals to the old frequency users, and consider the growth of infused and complex services. In order to implement the platform, the investigator applied STI as a research model to maximize the functions of a service system and improve reliability. And also suggested IDMA of information required for platform building to maximize the functions of a servic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