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디어 중독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웹미디어의 중독적 이용 경험과 개인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 김성벽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7-41
    • /
    • 2005
  • 본 연구는 웹 미디어 이용에 대한 성찰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미디어 매개적 경험의 확산은 인간의 경험을 축소하고 상실케 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정체성 인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향은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험과 자아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를 이용량과 중독적 몰입도를 중심으로 9개 집단으로 구분했고, 이들의 자아정체성을 비교했다. 연구결과, 웹 미디어 중독적 이용경험과 자아정체성간에는 높은 유의미적 상관성이 제시되었다. 특히 웹 미디어 중독적 이용경험의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아정체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으로써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험에 대한 우려를 실증해 주었다. 또한 웹 미디어에 대한 단순한 이용량보다는 중독적 몰입정도에 따라 자아정체성의 차이에 더 큰 유의미성이 나타났다.

  • PDF

미디어서비스 중독 변인의 종단적 추세변화 연구 - 2000~2021년 청소년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ngitudinal Trend Changes in Media Service Addiction Variables - Focusing on Adolescents from 2000 to 2021)

  • 배승주;이상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95-111
    • /
    • 2021
  • 본 연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디어서비스에 대한 중독이 어떻게 연구되었는지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중독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들은 특히 청소년의 미디어 서비스의 중독에 주목하였으며,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독 변인은 크게 청소년기 속성, 개인 속성, 매체 속성, 미디어 의존 속성 등 4가지 속성으로 취합되었다. 속성에 귀속되는 중독 변인은 주요 미디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4기로 나뉘었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변인의 빈도는 개인 속성과 관련된 변인이 가장 많았고, 매체 속성, 청소년기 속성, 미디어 의존 속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속성 변인은 대상관계 요인에서 점차 개인의 심리적 요인으로 옮겨갔다. 매체 속성의 변인은 새로운 매체 도입과 확산으로 청소년의 중독 현상 연구가 증가하였다. 청소년기 속성과 미디어 의존 속성의 변인에 대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동기를 관찰하거나 중독 관련성을 띤 연구가 미약했으며 2020년부터 발표된 논문은 없었다. 미디어서비스 중독 연구는 산업적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사회적 측면이 강조되는 면이 있었으나,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디어서비스 개선과 이용자의 건전한 몰입의 측면에서 산업적으로 다양하고 구체적인 개별 미디어와 사회·문화적 차이에 따라 비교되는 중독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기대된다.

소셜미디어 위챗의 지속 이용의도와 중독의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stainable Use Intention & Addiction of Social Media WeChat)

  • 강아리;배승주;권만우;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45-255
    • /
    • 2021
  • 본 연구는 위챗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사회적, 오락적 요인이 이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이다. 연구자들은 소셜미디어 위챗 이용자들의 중독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소셜미디어 연구가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등에 그치고 있어 이용자의 몰입, 중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실증분석을 통하여 위챗 사용의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사회적 요인(사교성, 지불성)과 오락적 요인(오락성, 생활 관련성)으로 설정하고 위챗 이용자 체험이 사용 의도와 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 이용자의 위챗 몰입과 중독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위챗의 사교성 등 기능적 요인이 인지된 용이성 및 유용성에 영향을 주고, 이에 대한 사용과 만족이후 몰입과 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셜미디어의 중독적 사용관련 연구에 새로운 이론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 중독과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 of Addiction and Sustainable Use of Social Media Service)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273-280
    • /
    • 2014
  • 본 연구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중독과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를 통해 디지털 정책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독 증상에 대해 선행과 후행의 변인을 찾아보고, 서비스 지속 이용에 대한 방안 및 중독의 예방을 위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 개인의 혁신성은 서비스 만족, 중독,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2) 서비스 만족이 중독과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3) 서비스 중독 인식이 지속사용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점은 이용자의 중독인지가 서비스의 지속 성장에 장애가 됨을 설명하는 결과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제안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1) 서비스 제공사업자는 이용자가 중독적인 사용행태를 보일 때 이용자가 중독으로 인해 서비스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정부는 서비스 중독의 예방을 위해 이용자가 중독으로 인한 불편함을 인지할 때 대처할 수 있는 치유시설, 서비스 등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을 위한 K-척도와 KS-A 척도 비교 (Comparison of K-scale and KS-A scale for Adult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 김희재;김종완;황병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24-2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인터넷 중독진단 척도인 K-척도와 2012년 새롭게 발표된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간략형 척도인 KS-A를 비교함으로써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의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한다.

  • PDF

Tiktok 서비스 이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Flow & Addiction of Tiktok Service Users)

  • 주이모;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2021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OTT의 중간영역에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SFV 플랫폼인 Tiktok 서비스의 이용자가 인식하는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Tiktok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중독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미디어 소비 시간이 부족한 이용자는 긴영상보다 짧은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하며 외생변인에 의해 애착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애착은 대인관계 및 서비스에 대한 애착으로 구분되는데, 애착의 경로는 몰입과 중독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동영상 미디어서비스의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자기노출과 애착, 몰입과 중독 등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동영상 중심의 미디어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며, 향후 출현하는 새로운 미디어에 활용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후학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스마트미디어중독 예방체계 실태와 융복합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Condition of Prevention System and Convergence Policy for Smart Media Addiction)

  • 장승옥;전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3-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미디어 중독예방 지원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탐색해보고 스마트미디어 중독을 예방하는 융복합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진행된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사회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예방체계로는 스마트쉼센터, 한국청소년복지상담개발원, 아이윌센터 등 정부산하기관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예방체계들은 연령별,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대상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획일적으로 규제중심이라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선진국 사례를 통해 제시된 정책방안으로 규제보다는 책임감 있는 사용의 교육, 가족 참여를 유도하는 개입의 강화, 유해환경 차단시스템을 확충, 그리고 지자체, 민간기관의 협력을 통한 중앙정부의 통합적 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새롭게 주목을 받는 문제이므로 우리사회의 기준에 부합하는 예방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mart Media Addiction Caused by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n Adolescents'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 원소희;최유리;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19-6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을 스마트 미디어 중독이 매개하는 모형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61명의 남녀 학생들이다. 조절된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델 7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소외감과 BAS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이나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도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소외감과 BAS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으며, 소외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BAS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소외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몰입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런 영향은 BAS 수준이 높을수록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SNS 효능감, 사회비교 성향,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Effects of SNS Self-Efficacy,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Missing Out on SNS Addiction Proneness :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 이장근;임한;유가우;정용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37-149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 242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의 성향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개인의 성향을 SNS 효능감, 사회비교 성향, FoMO로 구분하고 각 성향이 일상생활장애 및 조절실패, 가상세계 지향성 및 금단, 몰입과 내성 등 중독 경향성의 3가지 하위 차원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FoMO는 SNS 중독경향성의 모든 하위차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SNS 효능감과 사회비교 성향은 일부 차원과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작업 추론에 기반한 인터넷 중독 방지 시스템 설계 (Design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System based on User Task Inference)

  • 이상훈;김수연;김종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82-2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능적으로 인터넷 중독을 방지하는 시스템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인터넷 사용시간 제한 및 유해정보 차단 분야에서 사용자 본인이 등록한 인터넷 이용 범위와 목적과의 연관성을 추론하여 사용자의 작업과 무관한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는 사용자 작업 추론을 통한 효과적인 인터넷 중독 방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련 특허 중심으로 비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