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스토리텔링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ersonalized Virtual Storytelling with Responsive Multimedia System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 기법)

  • Lee, Young-Ho;Oh, Se-Jin;Park, Young-Min;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8-12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반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인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RMS: Responsive Multimedia System)을 이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안한다. 인간은 글, 그림, 영상 기술 등을 이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개발해 왔으며, 가상 현실 기술을 통하여 기존의 멀티미디어보다 한차원 높은 수준의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테이블 형태의 다감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정보 처리와 위치기반 이벤트를 결정하는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델 (vr-UCAM), 그리고 가상환경 네비게이션과 변화,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가능케 하는 가상공간 관리기로 구성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다감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 개인정보를 스토리에 적용하여 개인화된 스토리가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상 환경의 네비게이션, 가상 캐릭터, 날씨 및 환경의 변화 등을 조절하여 실감있게 스토리가 전개되도록 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환경을 검증하기 위해 운주사에 얽힌 설화를 기반으로 가상 운주사 체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형을 활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문화교육, 에듀테인먼트, 예술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ncept and Properti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특성)

  • Lee, Sa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193-200
    • /
    • 2009
  • Transmedia storytelling is that a number of contents based on various media platform establish a world, and refereed as newly appeared mode in the age of digital convergence. Transmedia storytelling, each different media organically creates and produce various meaning to create a world, makes alteration in not just only producer's area but also consumer's area. The first property of Transmedia storytelling is joint producing in creation and intelligence collectiveness for enjoyment. The second property is the differentiation of story through crossover and combination, which offer new experience and penetration to consumers. As last property, it is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transpiring story by making relationship to establish that world. Such properti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will act as an analysing base for transmedia contents establishing through various media platform.

The Strategy of Transmedia Storytelling using the Game IP (게임 IP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워크래프트>를 중심으로 -)

  • Lee, Dong-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7 no.5
    • /
    • pp.143-150
    • /
    • 2017
  • As digital technology evolved, digital paradigm emerged and storytelling began to evolve. Especially, since digital storytelling is the core of the digital game, it is a tendency to develop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strategy of transmedia storytelling at the planning stage even for IP expansion. By fusing media in a variety of ways and expanding the story, players can experience meaningful storytelling in a new media environment and game loyalty allows game developers to expand and innovate their business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se of , a proven powerful IP that has been expanding its story to various media for more than 20 yea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ansmedia storytelling strategy based on game media.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the strategy of using the transmedia storytelling.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Han, Hye-Won
    • Digital Contents
    • /
    • no.11 s.162
    • /
    • pp.52-58
    • /
    • 2006
  • 미디어는 끊임없이 다른 미디어들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한다. 하늘 아래 새 것이 없듯, 뉴미디어는 견고한 올드미디어를 벤치마킹 하면서 고유한 가치와 질서를 정립해 나간다. 회화에서 사진으로, 사진에서 영화로, 다시 영화에서 게임으로, 미디어의 계보는 끝없이 이어진다. 이번 호에서는 디지털 게임의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면서 재매개되는 현상을 팩션ㆍ리얼리티쇼ㆍ드라마 등 선형적 스토리텔링장르를 통해서 분석해보고, 그 법칙성과 의의를 찾아본다.

  • PDF

A Study of the Trans-Media Storytelling in Brand Marketing (브랜드 마케팅의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Kim, shin youp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35-136
    • /
    • 2015
  •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텍스트 유통 관습이자 미디어 경험 양식으로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콘텐츠 사업의 경우 다양한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시도가 활성화 되고 있지만 기업 브랜드의 경우 아직 기존의 OSMU의 범주를 크게 넘어서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OSMU의 범주를 넘어 커뮤니케이션했던 브랜드의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 사례인 모닝케어 레이디 티안나걸스(T-ANNA Girls)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컨버전스에 적응하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적 방안에 관해 논의코자 한다.

  • PDF

Meta Storytelling & Character Storytelling Model (메타이야기적 상상력과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 모델)

  • Lee, Dong-Eu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2
    • /
    • pp.213-240
    • /
    • 2016
  • The character is not dependent on an original story world any more. It is not limited to it's own story, but gets out and expands the other story with new character, background story, and event regardless of genre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y should this phenomenon happen from the media perspective and to build a character storytelling mode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s.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paradigm the storytelling model is emphasized character storytelling. Character is no longer limited to just one narrative and extended beyond the boundary narrative, media and genre. There are four background. First, disappearance of the big story with the advent of postmodernism and the emergnece of small story. Second, the emergence of fandom culture and charater's liberalization. Third, character as public goods with database. Fourth, changes in author's position. In fact, in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ory there has been discussion about the character all the time. But character storytelling meets transmedia storytelling, discussions were accelerated. The character was preceded by a narrative independent existence. Even if that character has occurred even while leading cause narrative. In this paper, we suggest two model as specific methodology to expand the story world fixed character. One is phychology transition, another is roll transition. This study get the value to build the new storytelling model with digital paradigm.

디지털스토리텔링-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기법

  • Bae, Ju-Yeong
    • Digital Contents
    • /
    • no.10 s.125
    • /
    • pp.90-101
    • /
    • 2003
  • 급격한 정보화 사회로의 발전과정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게임, 애니메이션, 디지털영화, 웹 에듀테인먼트, 웹 홍보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에 힘입어 과거 헐리우드 영화와 같은 아날로그 스토리텔링의 문화적 제국주의를 극복하는 민주적, 평등적 속성을 안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제작, 육성을 국가적 비전으로 삼아야 할 이때,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대적인 요청이라 할 수 있다.

  • PDF

테마연재 / 게임스토리 텔링

  • Lee, Jeong-Yeop
    • Digital Contents
    • /
    • no.9 s.124
    • /
    • pp.100-109
    • /
    • 2003
  • 급격한 정보화 사회로의 발전과정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게임, 애니매이션, 디지털영화, 웹 에듀테이먼트, 웹 홍보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산 되고 있다. 이 같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에 힘입어 과거 헐리우드 영화와 같은 아날로그 스토리텔링의 문화적 제국주의를 극복하는 민주적, 평등적, 속성을 안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제작, 율성을 국가적 비전으로 삼아야 할 이때,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대적인 요청이라 할 수 있다.

  • PDF

테마연재 / 디지털영화 스토리텔링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11 s.126
    • /
    • pp.78-89
    • /
    • 2003
  • 급격한 정보화 사회로의 발전과정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게임, 애니메이션, 디지털영화, 웹 에듀테인먼트, 웹 홍보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에 힘입어 과거 헐리우드 영화와 같은 아날로그 스토리텔링의 문화적 제국주의를 극복하는 민주적, 평등적 속성을 안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제작, 육성을 국가적 비전으로 삼아야 할 이 때,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대적인 요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월간 <디지털콘텐츠>는 지난 5월 설립된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의 도움을 받아 업계 관계자들이 주목해야 할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다양한 내용들을 8회에 걸쳐 연재한다.

  • PDF

Interface Design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erson Storytelling - From CSCL point of view for digital media design - (퍼스널 스토리텔링의 온라인 협력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 CSCL을 통한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의 학습 측면에서 -)

  • Song, Ji-Wo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1 s.69
    • /
    • pp.155-166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an interface design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in online environment in which people exchange their knowledge and give feedback on personal storytelling to each other. Interface design issues from the viewpoint of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SCL) on digital media design are considered. Based on collaborative learning theories and analysis on the existing online collaborative sites about digital media, such as online forums for digital pictures and films, interface guidelines are suggested and the interface is designed. The interface design is evaluated through a pilot test. The interfa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on personal storytelling is designed to support observation and to provide a scaffolding for valuable conversation. It is also designed to help intersubjectivity of online conversation and an easy access to med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