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6.42.213

Meta Storytelling & Character Storytelling Model  

Lee, Dong-Eun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6 , pp. 213-2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character is not dependent on an original story world any more. It is not limited to it's own story, but gets out and expands the other story with new character, background story, and event regardless of genre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y should this phenomenon happen from the media perspective and to build a character storytelling mode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s.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paradigm the storytelling model is emphasized character storytelling. Character is no longer limited to just one narrative and extended beyond the boundary narrative, media and genre. There are four background. First, disappearance of the big story with the advent of postmodernism and the emergnece of small story. Second, the emergence of fandom culture and charater's liberalization. Third, character as public goods with database. Fourth, changes in author's position. In fact, in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ory there has been discussion about the character all the time. But character storytelling meets transmedia storytelling, discussions were accelerated. The character was preceded by a narrative independent existence. Even if that character has occurred even while leading cause narrative. In this paper, we suggest two model as specific methodology to expand the story world fixed character. One is phychology transition, another is roll transition. This study get the value to build the new storytelling model with digital paradigm.
Keywords
Character; Storytelling; Transmedia; Metastory; Database; Fando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가이 애덤스, 하현길 옮김, 셜록:케이스북, 비채, 2013.
2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5.
3 로버트 맥기, 고영범, 이승민 옮김,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황금가지, 2003.
4 류철균, 한혜원 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5.
5 미케 발, 한용환, 강덕화 옮김,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6 블라디미르 프롭, 황인덕 역, 민담형태론, 예림기획, 1998.
7 송태현, 상상력의 위대한 모험가들 융, 바슐라르, 뒤랑, 살림, 2010.
8 S. 리몬 케넌, 최상규 옮김, 소설의 현대 시학, 예림기획, 2003.
9 시모어 채트먼, 김경수 옮김,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0.
10 아리스토텔레스, 천병관 옮김, 시학, 문예출판사, 2011.
11 아즈마 히로키, 장이지 옮김,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현실문화, 2012.
12 최유찬, 문학과 게임의 상상력, 서정시학, 2008.
13 김양호,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문화현상 고찰, 한국문학과예술 제16집, 2015.
14 김석준, 홍미희, 포스트모더니즘이 현대 영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제10권 0호, 2002.
15 남명희, 팬픽션의 관점으로 보는 대안세계와 원소스 멀티유즈, 영화연구 51호, 2012.
16 류유희, 이종한, <아기공룡 둘리>의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한 캐릭터비즈니스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 38호, 2015.
17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5, 2).
18 서성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미생>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언어문화학회 제 128호, 2015.
19 이동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디지털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 비교 분석,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1(1), 2008.
20 이영수, 멀티버스에 기반한 마블코믹스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 31호, 2014.
21 Stein, Lousa Ellen & Busse, Kristina, Sherlock and Transmedia Fandom, McF, 2012.
22 http://interactive.nfb.ca/#/outmywindow/, 2016.01.25.
23 Dowd, Tom & Niederman, Michael & Fry, Michael, and Steiff, Josef , Storytelling Across World: Transmedia for Creatives and Peoducers, Focal Press: New York & London, 2013.
24 http://blog.naver.com/kaestner/60099290663, 2016.01.22.
25 http://blog.naver.com/kaestner/60151731442, 2016.01.25.
26 http://movie.naver.com/movie/bi/mi/reviewread.nhn?nid=2125110&code=51132, 2016. 1.24.
27 아서 코난 도일, 백영미 옮김, 셜록 홈즈 전집 1: 주홍색 연구, 황금가지, 2002,
28 최제훈, 셜록 홈즈의 숨겨진 사건, 퀴르발 남작의 성, (주)문학과 지성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