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기록 귀화식물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제주 미기록 귀화식물(II)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Jeju(II))

  • 양영환;박수현;길지현;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88
    • /
    • 2002
  • 제주 미기록 귀화식물 5종, 즉 왕도깨비가지(Solanum ciliatum Lam.), 서양산딸기 (Rubus fruticosus L.), 국화잎다닥냉이(Lepidium bonariense L.), 수잔루드베키아(Rudbeckia hirta L.), 민까마중(Solanum photeinocarpum Nakamura et Odashima)이 확인되어 국명을 신칭하여 보고한다. 왕도깨비가지, 서양산딸기, 국화잎다닥냉이, 민까마중의 4종은 한국미기록 귀화식물이고 수잔루드베키아는 원예종으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이나 제주도에서는 자연상태로 일출되어 귀화된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귀화식물로 보고하는 바이다

한국(韓國) 미기록(未記錄) 귀화식물(歸化植物) (XVII) (Unrecorded and naturalized plants in Korea(XVII))

  • 길지현;서민환;박수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5-382
    • /
    • 2001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3종, 즉 다북개미자리 (Scleranthus annuus L.), 버들마편초(Verbona bonariensis L.)와 긴까락보리풀(Hordeum jubatum L.)에 대한 도해와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여 보고한다. 이들 중 다북개미자리속(屬) (Scleranthus L.)은 한국 미기록 속(屬)이다.

  • PDF

미기록 귀화식물: Cakile edentula (Brassicaceae) (An Unrecorded Naturalized Plant in Korea : Cakile edentula (Brassicaceae))

  • 길지현;이규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9-185
    • /
    • 2008
  • 강릉시의 바닷가에서 채집한 서양갯냉이(Cakile edentula Hook.)를 국내 미기록 귀화식물로 보고한다. Cakile속은 국내에 처음 보고되는 속으로 십자화과에 속하며, 붓 모양의 열매가 2절로 나뉘는데 열매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크고 엽병이 희고 화병이 없으며 잎에 털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속과 구분된다. 같은 Cakile 속이며 유럽 원산인 Cakile maritima는 꽃잎의 크기가 3~6 mm로 C. edentula보다 크고, 잎이 깃모양으로 깊게 파여 있다는 점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2절로 나뉘어진 열매의 윗부분은 물이나 바람에 의해 산포되고 아랫부분은 모체에 붙어 있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사향엉겅퀴(Carduus natans)와 큰키다닥냉이(Lepidium latifolium)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Carduus natans and Lepidium Latifolium)

  • 이유미;박수현;양종철;최혁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7-196
    • /
    • 2008
  • 우리나라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사향엉겅퀴로 이름 붙인 Carduus natans (국화과)는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 및 남양주군 진접읍에서 확인되었으며, 동속 귀화식물인 지느러미엉겅퀴(C. crispus)와 비교하여 두화는 지름이 30-60mm로 보다 크고 대게 하나씩 달리며 고개가 아래로 처지고, 총포편은 창끝모양으로 기부 바로 위가 좁아지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큰키다닥냉이로 이름 붙인 Cepidium latifolium (십자화과)는 키가 1m정도로 크며 잎의 기부가 줄기를 감싸지 않고 하부 줄기의 잎이 우상으로 갈라지며 꽃차례가 짧은 산방상인 특징으로 유사종과 식별된다. 서울 난지도 월드컵 공원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수 백 개체 정도가 발견되어 확산추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산방백운풀 (New record of Hedyotis corymbosa, a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 이혜정;이유미;김종환;조양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4-308
    • /
    • 2009
  • 전라남도 영암과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에 분포하고 있는 미기록 귀화식물 Hedyotis corymbosa (L.) Lam.을 발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주로 개울이나 계곡 주변, 또는 밭 가장자리에 햇빛의 양이 충분하면서도 습한 모래가 섞인 땅에서 비교적 큰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동일한 속 중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백운풀이나 긴두잎갈퀴에 비해 화경이 발달하고, 꽃의 수가 1-7개로 많이 달리는 특징이 있다. 국명은 종소명이 'corymbosa (산방화서의)'이므로 산방백운풀로 신칭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한석사초(사초과) (A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var. scoparia (Cyperaceae))

  • 천경식;정경숙;임형탁;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47-249
    • /
    • 2014
  • 사초과의 미기록 귀화식물인 한석사초(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var. scoparia)가 강원도 인제군 한석산에서 발견되었다. 타래사초절에 속하는 본 종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유럽과 뉴질랜드에 도입되어 분포하고 있고, 암꽃의 비늘조각이 피침형이며, 과포가 큰 특징으로 인해 아시아에 분포하는 근연종인 C. leporina L. 그리고 타래사초와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채집지의 이름을 따서 '한석사초'로 명명하였으며, 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 도해, 생태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싸리속(콩과) 미기록 귀화식물: 분홍싸리 (A Naturalized Plant of Lespedeza (Leguminosae) in Korea: L. floribunda Bunge)

  • 한정은;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9-85
    • /
    • 2007
  • 콩과 싸리속에 속하는 국내 미기록 귀화식물 분홍싸리(Lespedeza floribunda)를 발견하였다. 본 종은 폐쇄화를 갖는 점에서 싸리아속에 속한다. 이 종은 중국원산으로, 최근에 서울 마포구와 충남 금산의 공원에서 발견되었다. 분홍싸리를 포함한 한국산 싸리아속의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미기록 귀화식물 : 덩굴해란초 (현삼과) (Unrecorded and introduced taxon in Korea: Cymbalaria muralis P. Gaetrn. (Scrophulariaceae))

  • 길지현;박수현;김영하;이두범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0-123
    • /
    • 2009
  •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의 나지에서 채집한 덩굴해란초(Cymbalaria muralis P. Gaetrn.)를 국내 미기록 귀화식물로 보고한다. Cymbalaria속은 국내에 처음 보고되는 속으로 현삼과에 속하며, 손바닥 모양의 잎을 가지고, 덩굴손은 없으나 땅에 닿는 마디에서 뿌리를 내려 퍼져 나가는 모습이 덩굴에 가까우며, 꽃의 모양에 있어서 뒤편에 거가 있어 현삼과의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국명은 형태를 따라 덩굴해란초로 신칭하였으며 종의 형태적 특징과 그림을 제시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톱니대극(Euphorbia dentata Michx.)과 왕관 갈퀴나물(Securigera varia (L.) Lassen)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Euphorbia dentata Michx. and Securigera varia (L.) Lassen)

  • 이유미;박수현;정수영;윤석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4-119
    • /
    • 2009
  • 경북 영천시와 서울 여의도에서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톱니대극으로 이름 붙인 Euphorbia dentata Michx.(대극과)는 경북 영천시 대창면 대창리 중부고속도로에서 확인되었으며, 동속식물인 포인세티아 (E. pulcherrima)와 비교하여 초본이면서 정상엽들이 한결같이 녹색인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왕관갈퀴나물로 이름 붙인 Securigera varia (L.) Lassen(콩과)는 서울 여의도 한강둔치에서 확인되었으며, Securigera속은 국내 미기록속이다. 형태적 유사종으로 묏황기속(Hedysarum L.) 식물에 비해 꽃이 담홍색이고 길이 5-10 cm의 꽃자루 끝에 20개 내외의 꽃이 산형으로 붙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 애기석잠풀과 향용머리 (Two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Stachys agraria and Dracocephalum moldavica (Lamiaceae))

  • 정금선;장창석;박수현;이정심;윤석민;김태환;신창호;최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3-419
    • /
    • 2016
  • 꿀풀과 석잠풀속 애기석잠풀과 용머리속 향용머리 2종을 제주특별시 서귀포시와 강원도 춘천시에서 각각 발견하여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로 보고한다. 애기석잠풀은 화관의 길이가 2.4-5.2 mm이고, 꽃은 6-12개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석잠풀속 다른 분류군과 구별된다. 이 분류군의 국명은 꽃의 크기가 작은 특징으로 '애기석잠풀'로 명명하였다. 용머리속 미기록 귀화식물은 잎이 주걱형 혹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무딘 톱니형의 거치가 있어 속내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본 분류군은 향기가 강하게 나는 특징을 고려하여 '향용머리'로 국명을 신칭하였다. 미기록 귀화식물 2분류군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