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국 여성 패션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17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Tie-dyed Fashion Appeared in the American Women′s Costume of the Late 196o′s -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

  • Kim, Hye-Ky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28-1737
    • /
    • 2001
  • 1760년대 말의 미국문화는 전통적인 가치관에 반발하는 청년문화운동의 화산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는 복식에 새롭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가져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이 시기의 미국의 청년층에 의해 일어난 반문화적인 현상으로 인식되어 온 동앙문화의 도입은 미국의 여성복식에 tie-dyeing(홀치기염)패션의 출현으로 복식에 반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복식 학자들에 의한 단편적인 추론으로만 설명되어 왔던 19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의 특성에 관하여 문화적인 배경에 관한 고찰과 함께 이 시기에 출판된 정기 간행물을 연구의 일차자료로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955년부터 1975년 사이에 출판된 Vogue와 Mademoiselle 잡지에 실린 홀치기염 패션 사진자료를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여 의류품목, 소재, 기법, 디자이너 및 제조업 체에 관한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종류의 잡지 모두에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여러 의류품목에 각종 기법으로 적용되었던 홀치기염 패션이 이 시기에 나타나, 청년층에서 시작되었던 이 패션이 미국의 대중 및 상류층의 복식에도 확산되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홀치기염 패션스타일이 가장 많이 보여졌던 1969년에서 1971년 사이의 기간은 청년층의 반문화적 현상이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와 일치하고 있어서 이러한 급진적인 사회 현상이 그대로 패션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인도디자인에 관한 연구, -1960년부터 1976년까지 - (Indian Designs in American Women's Fashion from 1960 to 1975)

  • 김혜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43-553
    • /
    • 1998
  • 본 연구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났던 인도디자인(Indian design)의 내용을 여러 사회계층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검토,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하위문화 선도이론(subcultural leadership theory)외 하나의 예로서, 미국복식에 나타났던 인도디자인이 반문화적 현상(counterculral phenomenon)으로 청년복식에서 제일 먼저 채택되었으며 점차 사회전반의 복식에, 더 나아가 상류계층복식 (high fashion)으로 확산되었다는 이론을 사회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왔던 수량적 연구방법인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총 1043개, 22가지의 종류(subcategory)의 인도 디자인으로. 이러한 결과로 인도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이 미국사회 전체의 여성복식에 폭 넓게 나타났으며, 그 절정 시기가 1967년에서 1971년 사이로 이시대의 사회문화의 특징이 복식의 형태에 잘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더불어, 각 인도디자인은 최초 출현시기, 절정시기, 지속기간, 디자인의 기원(origin)의 면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이 시대에 보여진 인도디자인을 채택하는 복식현상은 각 디자인 별로 (case-by-case), 여러 단기간으로 나누어서, 복합적인 패션전파이론(fashion diffusion theory)을 적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 PDF

문헌조사를 통한 복식사 연구에서의 양적 분석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studies in Historic Costume using the Documentary Evidence)

  • 임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6
    • /
    • 1996
  • 복식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문헌을 통하여 다량의 정보 수집이 가능할 경우,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내용분석법을 도입하여 정보의 수량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1856년부터 1870년에 이르기까지 미국 여성의 평상복(daydress)중 재킷과 치마의 유행 경향을 당시의 대포적인 패션 잡지인 Godey's Ladies Book과 Perterson's Magazine의 패션 삽화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1856∼1870년은 미국의 남북전쟁 발발 5년 전부터 남북전쟁 직후 5년까지 의 15년간의 기간을 이르며, 해당 15년은 전쟁 전, 전쟁 중, 그리고 전쟁 후의 5년간씩의 3 시기로 나뉘어졌다. 연구의 목적은 여성 평상복의 디자인이 위의 기간 동안 남북전쟁의 한 영향으로서 군복 '라일의 경향을 띄게 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군복 스타일의 경향은 몸에 꼭 맞는 실루엣(fitted silhouette), 에플렛(epaulet), 스텐딩 칼라(standing collar), 더블 여밈 (double-breastedness) 다수의 단추의 사용 및 장식(buttons)으로 정의되었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의 경향은 풍성한 실루엣 (full silhouette), 플라운스가 된 치마(flounced skirt), 그리고 러플/fp이 스/리본 (ruffles/lace/ribbons)의 사용 여부로 정의되었다. 연구의 초점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문헌 정보의 수집 방법을 수립하는 데 있었으며, 수집된 자로는 각 변수의 빈도 분포포에 의해 조사되었다. Fitted silhouette, epaulet, 그리고 standing collar는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제 1시기에 가장 적게 나타났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에 있어서 full sihouette과 trounced skirt는 제 1시기에 가 장 많이 보였고 전쟁 당시와 전후에 점차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Buttons나 double breastedness 등은 제 2시기에 가장 많이 보이고 제 3시기에는 오히려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반면에 ruffles/lace/ribbons는 fitted silhouette 등의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더불어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유행의 경향에 있어서,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여성스러운 경향의 변수를 각각 종합하여 분석해 보면, 제 2시기를 중심으로 전자의 유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후자의 유행은 감소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미국 패션은 유럽 왕실의 유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괴는 서양 복식의 역사의 선상에서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 이다.

  • PDF

영화 의상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 정현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84-86
    • /
    • 2004
  • 21세기를 대표하는 종합예술 중의 하나인 영화는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여 거대한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영화는 패션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영화의상은 영화의 극적인 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복식을 뜻하며 배우가 착용하는 의상과 헤어스타일, 머리장식, 액세서리, 신발, 분장 등은 영화의 내용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스타일이 여성 패션의 흐름을 주도하기 시작한 1950년대에 유행하였던 영화들을 중심으로 영화의상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과 한국인의 일상복이 전통적인 의상에서 현대적이고 서구화된 의상으로 변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1950년대에 유행한 미국영화의 분석과 195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복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패션선도력, 시장전문성, 점포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Fashion Leadership, Market Mavenism, and Store Evaluative Criteria)

  • 김혜신;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04-9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징별로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 수준을 비교하고,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 수준에 따라 점포평가기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국 전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8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에서 인구통계적 특성별로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 수준이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여성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이 남성보다 더 강하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시장전문성과 패션선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패션선도력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장전문성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패션선도력이 높고 시장전문성이 강할수록 더 많은 점포속성들을 더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시장전문성이 강한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에 비해 상품의 품질이 우수한지, 환불교환이 용이한지, 더 넓은 상품구색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패션선도력이 강한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에 비해 환불용이성과 점포명성 등을 더 중요한 점포평가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와 여성 구두 굽 높이 변화의 관계 - 미국 Vogue 패션편집란에 실린 펌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of the Economy and High Heel Height - Based on Pump Style Shoes on Fashion Editorial Section of US Vogue -)

  • 안인숙
    • 복식
    • /
    • 제65권7호
    • /
    • pp.86-100
    • /
    • 2015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el height and macro-economic factors - recession and unemployment; and to analyze the time lags reflecting economic factors on heel height index using U.S. data. The life-history evolution theory was applied to propose the relationships studied. The data for the heel height measurements of women's shoes - pump style only - were obtained from US Vogue fashion editorial sections on spring and fall editions from 1950 to 2014. I divided the heel height by the length of the shoes in order to standardize the data. Total of 1581 samples were used, and heel height data were aggregated to create a yearly averag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cro-economic factors and heel height, this study used OLS of Stata 13 program. The main findings show that unemployment rates influenced heel height for three years in a positive direction. Furthermore, the effects of unemployment rate from two years ago on the current heel height were very close to being on a significant level.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Benefits Sought)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3-30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추구혜택은 패션 이미지, 체형결점보완, 여성스러움의 표현, 자기향상, 개성표현등의 5분야에 걸쳐 측정되었다. 결과로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각각의 모든 의복추구혜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반면 신체만족도의 경우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이 특정 의복추구혜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부분의 신체에 만족하면 할수록 또한 이상적인 신체상이 중요하면 할수록 의복혜택을 통해 신체만족을 유지 또는 고양시키려는 소비자의 심리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온라인 쇼핑의 데이터 융합 기반 사이즈 추천 서비스: 서비스 품질, 정보 신뢰, 고객 만족의 구매 의도에 대한 역할 (Size Recommendation Technology Convergence in e-Shopping: Roles of Service Quality Information Credibility and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

  • 김지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7-17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패션 리테일링에서 최근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 융합 기반 사이즈 추천 테크놀로지 서비스 품질이 정보 신뢰와 만족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아마존 미케니컬 터크에서 시행되었으며, 사이즈 추천 테크놀로지의 사용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60세 이하의 미국 거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설문에 제시된 링크를 클릭하여 특정 패션 온라인 리테일러의 웹페이지에서 사이즈 추천 테크놀로지를 경험한 뒤, 설문에 답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13부를 SPSS 27.0과 Process Macro(모델 6번, 5,000 bootstrapping sample)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이즈 추천 테크놀로지 서비스 품질의 하위차원은 반응성과 사용 편의성으로 나타났으며, 두 하위차원은 모두 정보 신뢰와 만족을 매개로 하여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즈 추천 테크놀로지의 상용화를 위한 전략을 제언하였다.

플래퍼 룩의 사회 문화적 의미 고찰 - The New York Times 기사를 중심으로 - (Sociocultural meanings of flapper look - Analyzed from The New York Times articles -)

  • 이예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1호
    • /
    • pp.19-2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flapper look in American society during the 1920s. Using the ProQuest database, I searched articles from The New York Times published between 1920 and 1929 for opinions and discussions on the flapper look. Keywords included "clothing," "dress," "fashion," and "flapper," and advertisements and articles on menswear, leisurewear, and bathing suits were excluded. In the resulting articles, I extracted the following sociocultural meanings: autonomy, activeness, practicality, attractiveness, and extravagance. Meanings were analyzed from the opinions and discussions focusing on skirt length, dresse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exposed the body, heavy make-up, non-constricting underwear, the H-line dress, bobbed hair, hygiene, comfort, and consumption. In sum, the 1920s flapper look represented progressive characteristics such as autonomous and active womanhood and practicality, which match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time. However, the flapper look was commercialized and exploited to make women look attractive and extravagant. Even though American women had access to higher education, more economic power, and suffrage in the 1920s, they we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social conventions and the power of consumerism. Understanding the double-sidedness of flapper look within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would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lifestyles and changing fashion.

글로벌 플러스 사이즈 파워 블로그에 나타난 여성 패션 연구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Fashion Styles from Global Plus-size Woman's Power Blog -Focused on Analysis of USA Market-)

  • 유진영;신혜영;임주연;이인성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30-843
    • /
    • 2016
  • The world wide increase of obesity and demands for various plus-size fashion are expanding the global plus-size fashion marke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rket status of the US (the biggest plus-size fashion market) as well as analyze women's fashion shown in power blogs on the plus-size fashion trend. For research methods, photos from the top 10 globally ranked plus-size power blogs on Alexa.com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5 plus-size body types based on: design factors, style, color, item, and texture. Pants with tops or completed outfits including pants, tops, and outer were the most common for casual styles; in addition, a tendency to pursue comfortable and naturally fitted clothes was also indicated. As for colors, the most common were blue colors and white or pastel toned colors; in addition, soft, hard, and transparent were all evenly used for materials. One-piece items were the most popular formal style that were mostly a one-tone color made with hard materials indicated by the pursuit of the fanciness and formality of a dress for a formal occasion. Black was the most common color, and the color variation was less diverse compared to that of casual styles. The most common for semi-formal styles were outfits with movability and more fanciness such as wearing a casual outer on top of a formal one-piece. When examining the fashion in plus-size blog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esign factors due to the diversity of body-types; in addition, different items were shown to be preferred in accordance with sty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fashion companies who want to enter the global plus-size women's fashion market (including the US market); in addition, research on plus-size fashion that is changing the fashion and aesthetic paradig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ad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