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국

검색결과 16,358건 처리시간 0.036초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요와 그 전망 (U.S. Hardwood Markets and Future)

  • 허남주;박재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65-71
    • /
    • 1988
  • 캐나다가 미국산 활엽수재의 가장 큰 수입국이며 수입된 일부 제재목과 수입원목으로 제조된 단판중 일부는 유럽으로 재 수출되고 있다. 수입 물량적인면에서 캐나다는 다른 국가와의 격차는 좁혀지더라도 미국산 활엽수재의 제1위 수입국의 위치를 당분간 유지할 것이다. 유럽에서의 제재목 수요가 1973년부터 1983년간의 10년간에는 급진적으로 증가 되었지만 1984년에 는 갑자기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과거 유럽 전통가구에 소재(素材)를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소재(素材)를 적게 사용하고 단판이나 인쇄한 종이를 붙인 파아티클 보오드(PB)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유럽지역에서는 가구의 크기를 줄이거나 가구에 사용되는 원자재의 비용을 줄임으로 제품의 가격을 싸게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려고 하고 있으며 활엽수재의 가격이 너무 비싸 가구제조업체들은 소재(素材)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고 보다 값싼 수종을 모든 지역에서 찾고 있는 중이다. 태평양 연안국가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입 물량은 계속 증가되어 미국산 활엽수 총 수출 물량의 약 23% 정도 된다. 자유중국과 일본에서 미국산 활엽수재를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다. 자유중국은 주로 수출용 가구부품및 가구에 사용되는 red oak와 white oak 가 주 수종이고 가구는 미국으로 재 수출하고 있다. 일본은 주로 black cherry, yellow poplar와 cotton wood를 수입하는데 수입량의 약 67%는 대패질한 건조 가공품이다. 자유중국에서와는 달리 일본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의 용도는 일본산 활엽수의 대체수종으로 허용되고 있다. 앞으로 일본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요는 일본 국내시장의 요인에 의해 좌우될 것인데 한정된 물량의 일본산 활엽수재와 온대 활엽수재의 요구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 PDF

미국의 연구개발의 전성기는 지났는가?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10권10호통권101호
    • /
    • pp.12-20
    • /
    • 1977
  • 연구 개발 자본으로 생활을 하고 있는 미국은 그 자본이 점점 부족되고 있다는 사실에 머지않아 직면하여야 한다. 이 말은 스텐포오드 연구소 소장 찰스 에이 앤더슨씨가 1971년 8월22일자 누우요오크 타임지에서 한말이다. 앤더스씨가 말한 이 추세는 점점 과속화되고 있는 것 같다. 미국 과학재단의 과학지표에 의하면 미국은 생산성에 있어서나 새로운 기술개발에 있어서 우위를 급속히 상실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증거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용 하고 있다. 1960년과 1974년 사이에 생산성에 있어서 미국의 우위는 미국의 가장 가까운 경쟁자인 블란서 보다 거의 2배였던 것이 이제 20%-25%로 떨어졌다. 미국 특허현황(미국인에게 내준 외국 특허에서 외국인에게 내준 미국특허를 뺀것)은 1966년 이래 30% 감소 되었다. 미국은 연구개발에 종사하는 과학기술자의 수가 최근에 감소된 유일한 주요연구 개발국이다. 기술개발에 있어서의 이와같은 둔화는 기업과 정부에 대한 점증하는 압력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스텐포오드 연구소의 기업정보 프로그램 이사인 파올 쉬에이씨는 오늘날 거의 모든 연구소들이 정부, 기업 ,대학 및 교회의 공격을 받고 있다고 지적한다. 쉬에이씨는 「아마 가장 두드러진 예는 기업들이 규제당하는 정도일 것이라고 」말한다. 새로운 그리고 더 엄격한 표준이 가치변경결과와 정부에 가해지고 있는 일반의 요구로 인해서 부과되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게속해서 「10년 전에는 몇 사람이나 회사에 대한 계급소송, 확인소송 도는 환경소송이라느 말을 들었겠는가?」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회사가 한 두 가지의 이와같은 법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한다. 기술까지도 공격을 받고 있다. 끝없는 기술평가 진술서를 요구하는 환경보호론자들의 요구는 회사들이 핼발전소, 근해석유 시추와 같은 사업에 투자하는 것을 점점 거리게 만들고 있다. 반면 에너지 위기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 PDF

미국과 한국 대학생들의 음주와 폭음에 대한 인식 비교 (Cross-national comparison of perceptions to heavy episodic drinking and drinking behaviors among Korean and U.S. college students)

  • 천성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41
    • /
    • 2011
  • 배경 및 목적 : 미국과한국양국의대학생의음주문제는심각한사회문제이며, 대학생의음주문제를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대학생들의 음주와 폭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방법 : 데이터는 2001년 미국의 하버드 보건대학원의 College Alcohol Study (CAS) 팀에서 미국의 120개 4년제 대학에서 10,904명에게서 조사한 원자료와 한국에서는2003년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의 Korean College Alcohol Study (KCAS) 팀에서 전국의 60개 4년제 대학의 2,385명의 원자료를 함께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이 자료의 특징은CAS에서 개발한설문지를 한국과 미 국양측에서 공동으로 사용하여 양 국가를 대표한 4년제 대학생의 표본을 대상으로 음주와 관련된 조사를 수행한 점이다. 결과 : 한국남학생들이 폭음할 기회가7.74배더많고 여학생의 경우는3.36배 더많다. 지난 한달동안 3회 이상 술 취한 경험율에서 한국 남학생들의 경험율이 34.3%로 미국의 20.4%보다 많고, 여학생의 경우도 24.6%로 미국 여학생의 11.1%보다 현저히 더 많다. 한국 대학생들의 폭음자 비율이 미국 대학생들의 폭음자 비율보다 많은 것과같이, 한국 대학생들이 미국의 대학생들 보다 폭음이 안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음주에있어서도더욱허용적인태도를가지고있다. 한국남학생의78.4%와 여학생의67.3%가 폭음 이상의 량을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미국은 남학생은 50.3%, 여학생은 34.1%). 폭음에 해당하는 음주량(남자는5잔 이상, 여자는4잔 이상)을안전하다고인식하는정도에서한국의대학생들이미국의대학생들에 비해서 남학생은 4.06배, 여학생이 3,96배 더 높다. 결론 : 한국 학생들 중에서도 음주의 량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음주와 술 취함과 폭음에 관하여 더욱 허용적이고, 안전한 음주에 대해 더욱 둔감한 태도와 신념을 보이고 있다.

  • PDF

미국 6,70년대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연구 - 허브 루발린(Herb Lubalin, 1918~1981)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American 6,70's Graphic Design Focused on 'Hurb Lubalin(1918 - 1981)')

  • 홍미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521-536
    • /
    • 2017
  • 1930년대 나치 정권으로 인해 유럽에서 예술 활동에 제약이 많이 발생하자 유럽의 모더니즘을 이끌던 많은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이주해 왔다. 이들이 미국 각지에서 디자인 활동을 시작하면서 유럽의 모더니즘을 미국에 알리고 미국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들의 영향을 받은 미국 출신 디자이너들의 활약은 1950년대부터 돋보이기 시작했다. 허브 루발린(Herb Lubalin: 1918-1981), 폴 랜드(Paul Land 1914-1996), 브래드버리 톰슨(Bradbury Thomson 1911-1995), 솔 바스(Saul Bass 1920-1996)등이 대표적인 작가들이다. 이들 중 허브 루발린은 6,70년대에 미국에서 가장 유명했던 그래픽 디자이너 중 하나다. 본 논문에서는 유럽의 모더니즘 디자인이 미국에 영향을 준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을 받아 미국 6,70년대의 그래픽 디자인을 주도한 허브 루발린의 작품에 대해 분석한다. 허브 루발린은 타이포그래피가 단순히 문자적 의미를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시각 이미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었다. 그는 다양한 실험정신과 독창적인 창의력으로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을 가능하도록 해 주었으며, 이로 인해 인쇄 기술도 끌어올려주었다.

현대 미국 애니메이션에서의 포스트모던 팝의 표현 (The Expression of Postmodern Pop Art Style in Contemporary American Animation)

  • 우잉;장욱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27-741
    • /
    • 2022
  • 이 글은 1990년대 이후 미국 애니메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현대 팝 예술 양식을 대상으로 현대 팝 예술 양식이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 예술 창작 표현과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정리하였다. 미국 애니메이션이 세계를 휩쓴 이유를 알고, 현대 미국 애니메이션의 예술 창작 특징을 정리한다.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포스트모던 팝의 예술 양식이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론과 실제 애니메이션 작품을 결합한 연구 논증을 거친 후, 현대 미국 애니메이션에서 포스트모던 팝의 주요 표현 방법인 과장되고 심플한 조형을 통한 캐릭터 특징 부각, 반항적인 색채를 이용한 정서적 감각의 재구성,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창작활동, 반복되는 요소 간의 조합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장난스러우며 기존의 것을 희화화 하는 포스트모던의 정신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현재 미국 애니메이션의 분석이 국내 애니메이션 디자인에 새로운 혁신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국제 영상 애니메이션에서 국내 애니메이션의 경쟁력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특허 제도의 혁명

  • 안재현
    • 발명특허
    • /
    • 제37권9호
    • /
    • pp.12-14
    • /
    • 2012
  • 지난해 9월 16일 미국 특허 역사상 대혁명이라고 할 만한 특허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개정된 미국 특허법이 특히 의미를 갖는 것은 한 미 FTA가 올해 3월 15일자로 발효되면서, 우리 기업의 미국 진출이 더욱 활발해지게 되고 특허 분쟁가능성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법의 주요 개정사항으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선발명주의" 포기와 "선출원주의" 도입이지만, 이 밖에도 발명자가 아닌 자의 특허출원 허용, 공지공용기술의 국제주의 채택, 최선 실시예 (best mode)의 기재의무 완화, 특허괴물(patent troll)로도 불리는 특허비실시기업(NPE)의 소송남발을 억제하기 위한 특허 소송 요건 강화 등 중요한 내용을 많이 담고 있으므로, 미국에 진출하였거나 진출을 예정하고 있는 기업들은 미국 특허법의 개정사항을 유의 갚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 PDF

미국치과위생사의 전문직화 (The Professionalization of American Dental Hygienist)

  • 김형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3-494
    • /
    • 2017
  • 이 연구는 미국 치과위생사의 역사를 역할변화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으로, '전문 조직', '교육 제도', '면허 제도', '역할과 업무범위', '의무와 윤리' 등 5개의 범주에 따라 미국치과위생사가 전문직이 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고찰하였다. 미국치과위생사는 그들의 사회적 조직화를 위해 미국치과위생사협회를 결성하였으며, 교육 연한은 2년 과정에서 석사 과정까지 증대되었다. 치과위생사 면허는 1952년에 미국 전 주에서 발급되었으며, 현재는 전문치과위생사자격증 등이 제안되고 있다. 업무범위는 구강보건교육과 치면세마를 시작으로 예방치과처치, 치주처치, 일부 수복치료, 마취 등까지 확대되었다. 이 연구는 전 세계 중 최초로 치과위생사 양성제도가 결성된 미국의 치과위생사가 전문직 역할을 수립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각 국의 치과위생사 제도와 비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과 미국(North Corolina주)의 확률과 통계 교육 내용 비교

  • 한진규;서종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89-98
    • /
    • 2004
  • 한국과 미국(North Carolina주)의 확률과 통계 교육 내용을 고찰한 결과 한국과 미국(North Carolina주)은 내용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경우, 9-가 단계와 10-가 단계, 선택과목 중 수학 I, 실용수학, 이산수학 과목에 제시되어 있는 확률과 통계 영역은 심화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과목의 내용을 축소하여 재구성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North Carolina주)은 한국과는 달리, Introductory Mathematics, Algebra(I, II), Technical Mathematics(1, 2) Advanced Mathematics, Advanced Placement Calculus, Discrete Mathematics, Integrated Mathematics(1, 2, 3), Geometry 과목에서 확률과 통계 영역은 각 과목과 연관성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의 심화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과목과 미국(North Carolina주)의 AP통계(Advanced Placement Statistics)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자료의 정리,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영역에서 한국과 미국(North Carolina주)은 거의 유사성을 보이고 있지만, 통계적 추론에서는 미국(North Carolina주)이 한국에 비하여 강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리차드 모리스 헌트와 미국 건축의 절충주의 (A study on Richard Moriss Hunt and eclecticism of American architecture)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41-644
    • /
    • 2010
  • 리차드 모리스 헌트(Richard Morris Hunt)는 19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건축가로서 1855년까지 프랑스의 에콜 드 보자르에서 수학하고 미국으로 돌아와서 당시 미국의 대표적인 건축물을 설계하였다. 그는 그 자신의 작품적 특징보다 미국 건축을 절충주의적 경향으로 가도록 이끈 점이 그의 큰 역할로서 여겨진다. 당시의 미국 건축은 유럽의 전통에 비해 새로운 자유와 동시에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고 볼 수 있는데 리차드 모리스 헌트는 이러한 신대륙의 건축의 성향을 이끈 대표적인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절충주의의 경향인 외관과 어울리는 실내디자인의 조합은 현대 실내디자인의 출발과도 같은 개념으로서 이러한 절충주의를 대표할 수 있는 리차드 모리스 헌트를 통해 미국건축의 절충 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사양 - 미국의 양계산업, 크지만 작은 이야기들

  • 조현성
    • 월간 닭고기
    • /
    • 제16권3호
    • /
    • pp.100-104
    • /
    • 2010
  • 지난 1월말 미국 국제 양계박람회가 아틀란타시 GWCC 센터에서 3일간 열렸다. 양계박람회의 규모나 전시내용은 예전 갖지 않다는 평가와 함께 관람 인파도 한가해 보였다. 미국의 금융위기 여파와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지만 초유의 한파와 함께 그동안 겪어보지 못한 이상기온에 눈까지 수북이 쌓여 교통이 마비되어 허둥지둥 되는 도시들을 볼 때 미국의 경제만큼이나 양계산업의 걱정이 엿보였다. 거대한 미국의 양계산업은 한 마디로 대형규모와 기계화로 무장되어 있고 양계장의 경영은 위리가 엄두를 못낼 정도로 상상 이상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특히 이번 방문이 미국이라는 거대한 토지위에 투자하고 있는 한국 이민자들의 거침없는 도전을 보았으며, 특히, 메릴랜드 주 양계산업의 현장을 직접 인터뷰하여 미국이라는 나라의 양계산업을 피부를 느낄 수 있어서 충격이 컸다. 이번 견학을 통해 많은 것을 보고 느낄 수 있었지만 많은 이야기는 서서히 하기로 하고 아주 작은 이야기만 이번호에서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