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질집중도

Search Result 47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imulation of Lake Water Quality Changes following the Land Change by Three Dimensional Model (3차원 수질모델을 이용한 토지변화에 따른 호소 내 수질 변화 모의)

  • Kim, Yon-Soo;Kim, Soo-Jun;Kwak, Jae-Won;Kim, Duck-Gil;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5-149
    • /
    • 2011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은 여름철인 6월~9월에 집중되며 대부분이 일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하천을 통하여 호소 및 바다로 유입된다. 이러한 강우특성으로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우로 인한 하천의 유량을 댐과 같은 수공시설물을 통해 저류시킴으로써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예방하고 이용할 수 있는 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형 인공호의 유역에서는 인구 증가와 상업 및 공업화에 따른 토지이용이 변화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댐이나 호소는 지표면에 고여 있는 수체를 말하며 물이 천천히 흐르거나 흐름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댐이나 호소에서는 장기간 수류의 지체현상이 발생하므로 발생하는 수체 및 수질의 문제가 하천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서동일 등, 2009). 호소의 물은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흐르는 물에 비해 자정능력이 부족하고 바닥에 퇴적된 유기물이 분해되어 수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질관리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박석순, 2009). 따라서 흐름방향 보다 수심방향으로의 특성이 강하게 작용하는 댐이나 호소에서는 3차원 수리 수질 모형의 적용이 타당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EFDC를 적용하였다. 섬진강 유역의 경우 전체유역의 65.8%가 임야로 이루어진 산림유역으로 비교적 적은 양의 유역오염물질이 발생하지만 산불이나 벌채와 같은 산림의 손실은 홍수기 때 유역오염물질의 발생 및 유출을 증가시켜 주변수체의 수질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암호 수질측정망 상류 유역면적인 $526.23km^2$에 대하여 토지변화 시나리오를 임야의 25%, 50%, 75%가 손실되어 나대지화 되었다고 가정하고, EFDC 모형을 이용하여 산림지역의 소실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가 섬진강 댐 운암호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였다.

  • PDF

OECD 내분비계 장애물질 시험법 확립에 관한 연구

  • 한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1.02a
    • /
    • pp.12-13
    • /
    • 2001
  • 과학자들 사이에서만 논의되어 왔던 내분비계 장애물질 문제가 일반인들의 관심을 얻게 된 것은 T.Colborn, D.Dumanoski와 J.P.Myers가 과학논문을 근거로 집필한 '도둑맞은 미래(Our Stolen Future)'의 발간이 계기가 되었다 (1996년 1월). 그 후 컵라면 용기에서의 styrene dimers & trimers 검출 논란이 제기되면서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도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이제 내분비계 장애물질 문제는 단순한 과학적 문제가 아니라 중요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와 더불어 지구 3대 환경 문제 중 하나로까지 거론되고 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 문제는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까지는 장기간의 집중 연구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내분비계 장애작용 검색 및 시험법 확립을 위한 현 시점에서의 국제적 노력에 대하여 미국 EPA 및 OECD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OECD 내분비계 장애물질 시험법 확립을 위한 국제협력연구의 일부 실험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Plasma & Photocatalysis for The Treatment of Indoor Air (실내공기 처리용 플라즈마와 광촉매반응)

  • 김재철;장중철;김동현;최경일;한소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71-72
    • /
    • 2003
  • 고도산화방식(AOPs: Advanced Oxidation Processes)을 이용한 수질 및 공기오염물질 처리 관련 연구가 국내에서 지난 수년간 다수 진행되었으며 현재도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공기오염물질 처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향후 시행될 실내공기질 규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공기처리, 특히 실내공기 처리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기존의 방법들 중에서 플라즈마와 광촉매반응(Ollis, 1993)이 가장 적용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Application of Gaseous Acetaldehyde (기상 아세트알데히드의 광촉매 분해 및 적용)

  • 박상은;주현규;김종순;이태규;강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3-414
    • /
    • 2000
  • Dibble과 Raupp에 의하여 TiO$_2$와 UV를 이용한 기상 TCE 분해 연구가 수행된 이후 대기오염정화를 위해 TiO$_2$/UV 시스템의 다양한 연구가 집중되어 오고 있는데 (Alberici, 1997),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악취성분들의 제거가 주요 목적이 되고 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자극적인 과일 썩는 냄새가 나는 대표적 악취 물질임과 동시에 높은 증기압(740mmHg @2$0^{\circ}C$)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로 규제되고 있으며, 요즘현대인들에게 "Sick Building Syndrome"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물질이다(T. Noguche. 1998). (중략)

  • PDF

Study on the Vertical Profiles and the Inflow Routes of Aerosols at Gosan, Jeju (제주 고산에서의 에어러솔 수직분포 및 유입경로 연구)

  • 김상우;원재광;이병일;윤순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37-138
    • /
    • 2002
  • 제주도의 서단에 위치한 고산 측정소는 한반도와 중국대륙에 인접하고 있어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을 연구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대기 중 에어러솔은 미량독성 물질의 장거리 이동시 그 운반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본 연구는 제주 고산에서 2002년 11월 2주간의 집중 측정기간동안 측정된 라이다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고산 지역에서의 에어러솔 수직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중략)

  • PDF

Investigation of Gaseous and Particulate Pollutants Distribution over Northeast Asia Using Models-3/CMAQ (Models-3/CMAQ을 이용한 동북아지역 가스상 및 입자상 오염물질 분포 특성 조사)

  • 김진영;김영성;원재광;윤순창;우정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31-132
    • /
    • 2003
  • 동북아시아 지역은 전세계에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가장 많은 지역 중의 하나로서, 최근에는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가 태평양을 건너 미국에까지 도달하는 것이 위성으로 관측됨으로써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기류이동의 변화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고자 하였으며, 가스상 반응만 고려한 경우와 입자상 반응을 함께 고려한 경우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입자상 반응의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중략)

  • PDF

Effect of alkali chemical compound on paper properties for acidic papers preservation (산성지 보존을 위한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이 종이물성에 미치는 영향)

  • 최찬호;신종순;마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int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5-45
    • /
    • 2001
  • 자료의 보존에 있어서 종이의 열화로 인해 자료의 분석, 열화메커니즘의 해석, 종이의 보존이란 측면 하에서의 관심이 서서히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요성도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성지를 중성화하는 화학적시스템, 즉, 탈산성화처리는 알카리계금속(Ca, Mg, Zn, Na)과 유기용매,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이들 약품을 종이내에 침투시켜 중성화(pH 6-8) 함으로써 종이의 주성분인 cellulose를 보다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산을 중화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탈산처리란 화학적으로 종이속에 생기는 산 또는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알칼리물질로 중화하는 것이다. 또한 중화후 알칼리 물질이 종이에 잔류하면 장래에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산이나 외부(대기중의 오염물질 등) 로부터 침입하는 산도 중화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성초지법에 의해 제조된 용지들의 열화특성과 알카리 토금속을 처리한 후에 알카리도를 상승시킨 용지의 열화특성을 물리·화학적 변화를 통하여 종이의 보존성을 비교 검토·규명함으로써 문(도)서의 보존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며, 보존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ized Response Aid System for HNS (HNS 방제정보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Im Chang-Ho;No Cha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6.06b
    • /
    • pp.215-220
    • /
    • 2006
  • The oil on board is a major source of sea pollutions. Recently, according to increasement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carrying on board. Our greatest concern is how to response HNS spread pollution, addition to response oil spill pollution. This is first aim how can take a speedy and precise response. So introduce to development of the computerized response aid system for HNS.

  • PDF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집단 식중독의 발생 특징(1981-1989)

  • 홍종해;이용욱
    • Food Industry
    • /
    • s.109
    • /
    • pp.34-40
    • /
    • 1991
  • 1. 환자발생 규모는 10명 이하가 $38.0\%$로 가장 많았고 50명 이상의 대규모 발생도 $13.0\%$이었다. 대규모 환자발생은 세균성 식중독이 원인이었다. 2. 전체 식중독에 $67.3\%$가 7월부터 9월에 집중되어 계절의 변화에 영향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Vibrio에 의한 발생은 특히 하절기에 높았고 Salmonella, Staphyloccus는 상대적으로 연중 계속해서 발생 가능성을 보였다.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은 계절과 무관하였으나 식물성 식중독은 7, 8월에 집중되고 있다. 3. 세균성 식중독이 $56.2\%$,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이 $17.8\%$이었다.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은 Vibrio $35.4\%$, Salmonella $27.2\%$, Escheri-chia coli $17.7\%$, Staphylococcus $17.7\%$ 순이었다.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은 식물성 식중독이 $64\%$로 가장 많았다. 4. Vibrio 식중독의 주원인식품은 해산물이지만 cross-contamination에 의해 오염된 다른 식품으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식중독은 관혼상제시 거의 빠지지 않고 제공되는 돼지고기 편육이 주원인식품이었다. 5. 전체 식중독의 $76.8\%$가 가정과 식품접객업소(구내식당 포함)에서 발생되었으며, 특히 도시지역은 $66.4\%$가 식품접객업소에서 농촌지역은 $58.9\%$가 가정에서 발생되어 지역간의 차이를 보였다. 6. 독버섯은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의 주원인식품으로 농촌가정에서 일상식을 통한 섭취로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사망자의 발생이 가장 많은 치명적인 원인식품이었다. 7. 식품접객업소에서 발생된 식중독의 주원인식품은 해산물이며, 덜익혀지거나 생선회 같이 날것을 섭취하여 발생하였다. 8. 생일잔치 및 회갑연, 결혼 피로연, 문상, 제사 등의 관혼상제시 발생되는 식중독은 농촌지역의 가정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다. 구내 식당 및 관광지 음식점의 식중독 발생이 많은 것은 이들 시설에 대한 위생관리가 미비하여 대규모 식중독 발생의 위험이 항시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Treatment Efficienc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Modified Filtration System (개선된 여과형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효율 평가)

  • Kang, Hee-Man;Choi, Ji-Yon;Kim, Lee-Hyung;Bae, Woo-K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2
    • /
    • pp.161-169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a modified filtration system treating non-point source (NPS) pollutants. The developed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technology was design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 lab-scale test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ree different hydraulic loading rates representing the first flush flow, average flow and overflow conditions during a rainfall event. Water qual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water samples taken at the inflow, outflow and infiltration during the test experiment of the lab-scale BMP. Also, the water and mass balance at different hydraulic loading rates was determined. Results from the lab-scale test experiment showed that the lab-scale BMP had a high removal efficiency of 80-90% for all NPS pollutants. The overflow test condition obtained the lowest removal efficiency among the hydraulic loading rates because it gave less opportunity for the pollutants to be filtered and retained inside system. The infiltration ratio was approximately 1 % of the inflow and outflow. Increasing the infiltration ratio requires technical approach of soil amendment where the BMP is insta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