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순환

Search Result 2,05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3-Dimensional Advection-Diffusion Model Operating Density Current Generator in Agriculture Lake (물순환장치 가동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3차원 이송확산모의에 관한 연구)

  • An, Jae-Soon;Lee, Young-Shin;Oh, Dae-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3275-3284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a 3D hydrodynamic advection diffusion using the EFDC mode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in the agriculture lake to prevent stratification when we install a water circulator. EFDC model was predicted the range of the water circulator and various operational parameters ware derived for minimize the impact of the internal lake. Through EFDC simulation, water circulation is started overall circulation after 30days and a lake overall circulation showed that it was possible operated the water circulator after about 100days. Also, advection diffusion concentration was low in a lake when water circulator operate intermittent condition than continuous condition. And the entire circulation was stable in this condition. The S/B (Surface/Bottom) ratio can reduce the impact of lake as the surface water mixing a lot of. When the same condition (S/B ratio(3:1)), Case 8 (50days operation: 50days stop) of condition were able to minimize the impact of lake.

The Earth Systems Perceptions about Water Cycle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지구 시스템적 인식)

  • Jeong, Jin-Woo;Kim, Yun-Ji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7 no.4
    • /
    • pp.319-327
    • /
    • 2008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that directly affect the concepts and ways of the consideration of Earth systems by students studying the water cycle. A concept sketch method was applied to a survey involving 131 pre-service teachers. The surve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ubordinate concepts of Earth systems from the applied components of the water cycle process and to code the applied concepts with components of the water cycle to the subordinate concepts of Earth systems that were the Hydrosphere, the Atmosphere, the Geosphere, and the Biosphere. The surve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water cycle from the perspective of Earth systems. The recognition by pre-service students was largely confined to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and the hydrosphere. With regard to the water cycle process, all subjects surveyed recognized precipitation, and most of those expressed recognition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Many of them recognized the surface flow, while they scarcely expressed knowledge of the underground flow.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e Indices and Inflow on Multi-Purpose Dam Watershed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 기후지수와 댐 유입량의 상관성 분석)

  • Kim, Jung Min;Park, Jin Hyeog;Jang, Suhyung;Kang, Hyun woong;Hwang, M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8-408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기후의 시 공간적 변동성과 패턴의 이상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물 순환 특성의 변화는 이수, 치수, 환경 그리고 친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치수 및 이수 등 국내 수자원 관리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다목적댐 운영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유입량의 불확실성 증가로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대한 어려움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역 내의 수문학적 반응은 기상 및 지표 수문 인자의 물리적 상호메카니즘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강우, 기온, 습도, 바람 등 기상학적 인자들은 유역 내의 수문 변동성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이며, 이들 기상인자의 변동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기후지수(Climate Index, CI)는 지표수문인자인 유출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AR5 RCP 시나리오 기반의 기상인자에 대한 기후지수(CI)를 산정하고 다목적댐 유입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의 기상 및 유입량 관측자료(1976-2005)는 기상청과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를 이용하였으며, AR5 RCP 시나리오 기반의 유입량 자료(2005-2099)는 통계적 기법(QDM)으로 상세화된 기상자료를 입력인자로 수문모형(PRMS)을 통해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지수(CI)와 유출지수(Standardized Streamflow Index, SSI)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Pearson 적률상관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 t 검정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댐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water circulation model based on quasi-realtime hydrological data for drought monitoring (수문학적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실적자료 기반 물순환 모델 개발)

  • Kim, Jin-Young;Kim, Jin-Guk;Kim, Jang-Gyeng;Chun, Gun-il;Kang, Shin-uk;Lee, Jeong-Ju;Nam, Woo-Sung;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8
    • /
    • pp.569-582
    • /
    • 2020
  • Recently, Korea has faced a change in the pattern of water use due to urbanization, which has caus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rainfall-runoff process and optimizing the allocati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In this perspective, spatially downscaled analysis of the water balance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water resources in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Plan and the River Basin Water Resource Management Plan. However, the existing water balance analysis does not fully consider water circulation and availability in the basin, thus, the obtained results provide limited information in terms of decision making.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novel water circulation analysis model that is designed to support a quasi-real-time assessment of water availability along the river. The water circula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existing water balance analysis. More importantly,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existing model, especially in the low flow simulation. The proposed modeling framework is expected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more realistic hydrological drought monitoring and drought countermeasures by providing streamflow information in quasi-real-time through a more accurate natural flow estimation approach with highly complex network.

Effects of Dangui-jakyak-san on Common Carotid Artery Elasticity in Healthy Subjects ;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study (당귀작약산이 정상인의 총경동맥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대조군 교차시험)

  • Kim, Soohyun;Seo, Yuna;Bae, In-hu;Cho, Ki-Ho;Moon, Sang-Kwan;Jung, Woo-Sang;Kwon, Seungwon;Jin, Chul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n Medicine
    • /
    • v.21 no.1
    • /
    • pp.21-32
    • /
    • 2020
  • ■ Objectives 당귀작약산 단회 복용으로 정상인의 총경동맥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Methods 본 연구는 정상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교차시험연구다. 모든 대상자들은 임의로 당귀작약산 복용군과 비복용군인 대조군으로 나누어졌다. 1주일 간격으로 총 2회 방문하며, 첫 번째 방문 시에 당귀작약산 복용군은 당귀작약산 1포(2.5g)과 물을 제공받고, 대조군은 물만 제공받아 복용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첫 번째 방문과 반대로 당귀작약산을 복용했던 복용군은 물만 제공받고, 물만 복용했던 피험자들은 당귀작약산 1포와 물을 제공받았다. 물은 100 cc로 매번 동일하게 제공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복용 직전과 복용 2시간, 4시간 후에 총경동맥 탄력도, 혈압, 총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맥박수를 측정하였다. ■ Results 총 20명의 정상인 남성이 모집되었으며, 시간에 따라 당귀작약산 복용 후의 총경동맥 탄력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상승한 것이 확인되었다. 내막-중막 두께, 혈압 및 맥압, 맥박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Conclusion 당귀작약산의 단회 복용으로 총경동맥 탄력도가 즉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당귀작약산이 동맥 경직도 완화 및 탄성의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water cycle analysis of Kyeongancheon-watershed by using GSSHA (GSSHA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해석)

  • Jang Cheol Hee;Kim Hyeon Jun;Noh Seong Jin;Kim Chul 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5-79
    • /
    • 2005
  • GSSHA(Gridded Surface Subsurface Hydrologic Analysis) 모형은 미 공병단 연구개발센터(USACE ERDC;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체서 개발된 물리적인 개념의 공간 분포형(PBSD; Physically Based Spatially Distributed) 수문모형으로, CASC2D 모형(Ogden 와 Julien, 2002; Downer 등, 2002)을 개선, 확장한 모형이다. GSSHA 모형의 실행에는 Brigham Young 대학의 컴퓨터그래픽공학연구실에 의해 개발된 미 국방성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많은 입력과 출력조건을 가지는 분포형 모형의 복잡한 모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SSHA 모형을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분석하였다. GSSHA 모형은 유역을 균일한 유한 차분 격자로 나누어 각각의 격자를 기본 단위로 모의한다. 모형의 주요 모의 모듈은 강우 분포, 융설, 차단, 침투, 증발산, 지표면 저류, 2차원 표면류 추적, 1차원 하도 추적, 불포화 층 모의, 2차원 포화 지하 대수층 흐름, 지표면 유사 침식, 하천 유사 추적 등이 포함된다.

  • PDF

Water cycle of an urbanized catchment, taking the case of Tancheon (탄천을 통해 살펴본 도시유역의 물순환)

  • Yoo, Sanghyu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3-123
    • /
    • 2022
  • 자연유역 내에 도시가 자리잡고 발달해 나가면 유역의 특성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도시유역은 자연유역과는 상이한 수문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 동안 도시수문학의 주된 관심사는 도심지 홍수예방, 상수관망 등에 주어졌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시유역의 물순환에 대한 정량화는 별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급격하게 도시화가 이루어진 탄천 유역에 대해 도시유역의 장기적인 물순환에 대해 정량화하고 자연유역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강수량, 유출량, 증발산량, 상수공급량, 하수처리량 등의 가용한 자료를 동원하여 탄천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탄천유역은 유역 외부에서 상수를 공급받고 사용된 용수는 하수처리시설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출 특성이 자연유역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PDF

Application of WEP Model to the Cheongg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에 대한 WEP 모형의 적용)

  • Noh, Seong Jin;Kim, Hyeon Jun;Cheong, Il Moon;Jang, Cheol Hee;Kim, Dong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8-15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의 재생이나 보전에 필수적인 유역 물순환의 정량화와 유역변화의 영향예측을 위해 개발된 WEP (Water and Energy Transfer Process) 모형의 국내 유역에 내한 적용성을 검토하고,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모의하였다. WEP 모형은 복잡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하천 유역에 내한 물순환의 정량화를 목적으로 일본의 토목연구소 (PWRI;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과학기술진흥사업단, Jia 박사 등에 의해 공동으로 개발되었으며 지표면 및 비포화 토양층의 물${\cdot}$열 플럭스 계산, 하도흐름의 추적계산 및 지하수 유동계산, 격자내 토지이용의 불균질성 반영 등이 가능한 물리적인 기반의 공간 분포형 모형 (Physically Based Spatially Distributed)이다. 모형을 적용한 청계천 유역 (유로연장 13.75 km, 유역 면적 $50.96km^2$)은 전체 토지이용중 도시지역이 $75.9\%$를 차지하고, 유역내 인구가 120만명에 이르는 도시유역으로 높은 불투수 면적비율, 인공계 물순환 요소의 영향 등의 도시 유역 특성이 물순환의 구조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WEP 모형 적용 결과, 모의 기간 동안의 하천 유출량은 실측치에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모의할 수 있었다. 청계천 유역은 전형적인 도시 유역의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강우시의 직접유출이 크고, 강우의 유출에 대한 반응이 빠르며, 증발산의 경우는 산림지역보다 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WEP 모형이 유역 물순환 해석에 적절한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면, 향후 청계천 유역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매개변수와 인공계 물순환 자료의 보완을 통해 보다 향상된 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였던 Cd과 Mg이 Ca 및 Ca과 vitamin D의 동시(同時) 급여(給與)로 감소(減少)하였고 Cu는 전체적(金體的)으로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Zn은 Cd 급여(給與)로 감소(減少)하였으나 Ca과 vitamin D의 급여(給與)에 의하여 증가(增加)하였고 Ca은 Ca과 viamin D의 급여(給輿)로 유의(有意)하게 증가(增加)하였다. 신장(腎臟)중의 무기질(無機質) 함량(含量)은 Cd급여(給輿)로 Cu, Mg은 감소(滅少)하였으나 Ca, Zn은 변화(變化)가 없었고 Ca 및 Ca과 Vitamin D의 급여(給與)로 Cd, CU, Zn은 증가(增加)하였다.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HSP 환자군에서도 $IL1RN^{*}2$ allele 빈도와 carriage

  • PDF

Water Cycle Simulation for the Dorimcheon Catchment Using WEP Model (WEP 모형을 이용한 도림천 유역 물순환 모의)

  • Lee, Seung-Jong;Kim, Young-Oh;Lee, Sang-Ho;Lee, Kil-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6 s.155
    • /
    • pp.449-460
    • /
    • 2005
  • In this study, a WEP (Water and Energy transfer Processes)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water cycle of the Dorimcheon catchment which suffers from the distorted water cycle as a typical urban catchment. Two different land uses in the past (i.e. 1975) and at present (i.e. 2000) were incorporated into the simulation to investigate the runoff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increase of the impervious ratio due to urbaniz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 time is decreased and the peak discharge and the total runoff are increased by urbanization while the infiltration and baseflow are reduc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infiltration trenches and permeable pavements were also simulated to search for alternatives that can restore the distorted water cycle. The simulation results prove that the installation of both alternatives can restore the runoff characteristics to that prior to urbanization.

Monitoring on Compressive Strength and Carbon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100% Recycled Aggregate (순환골재를 100%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 및 탄산화 진행 모니터링)

  • Lee, Sang-Yun;Kim, Gyu-Yong;Yoon, Min-Ho;Na, Chul-Sung;Lee, Sang-Kyu;Shin, Sung-Gyo;Nam, Jeong-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9 no.5
    • /
    • pp.383-389
    • /
    • 2019
  • The supply of natural aggregate for concrete has been difficult, and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 necessity of using recycled aggregate made of construction waste as aggregate is rised. Therefore, man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 have been made and positive studies have been reported mainly in recent studies. A study on the chlorides binding effect of the mortar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 has been reported. However, due to the user's perception of waste, most of the recycled aggregate currently produced is used only for low value-added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recycled aggregate and the user's percep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long-term monitoring of the structure with 100% recycled aggregate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