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새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Inhabitation Status and Protection Discipline of Wildbirds in Urban Area - in the case of Seoul City - (도시내 야생조류의 서식현황과 보호대책 - 서울시를 사례로 -)

  • 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40-248
    • /
    • 1997
  • 기존 연구 문헌의 고찰로 서울시 야생조류상의 현황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1. 서울시 야생조류상에 대하여 물새와 산새를 모두 연구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번식기에는 약 40 여종, 겨울철에는 4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정교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도시림 뿐만 아니라 주변의 패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intergrated approach)으로 도시림을 연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도시림의 면적은 도시림에 번식하는 야생조류의 종 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인자로써 도시림이 더 이상 다른 토지이용 형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 지침이다. 4. 대면적의 숲이 세분화 될 경우, 여름철새의 번식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면적 숲의 세분화를 막아야 하며, 가능한 한 생태통로(eco-corridor)로 세분화 된 숲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5. 도시림에 생육하는 임목 중 대경급 임목은 나무구멍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중요한 은신처와 둥지이므로 대경급 임목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설치는 나무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조류의 번식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또한, 도시림이 시민에 의해 과도하게 이용될 경우, 관목층이 제거되어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서식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등산로 주변에 관목성 수목을 밀식하여 등산로의 확폭과 파괴를 막아야 할 것이다. 풍부한 먹이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목층 보호를 꾀하고 임목의 조림과 무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6. 동일한 면적에서 번식 조류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은 엽층의 피도량을 늘이는 것이다. 현재 서울의 도시림은 엽층의 분화보다는 우선, 피도량의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후에 엽층의 다양성을 높여 산림의 수직적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7. 들고양이와 들개에 의한 소형 조류의 피해가 늘고 있으므로, 야생조류의 천적인 들고양이와 들개를 구제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서식실태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8. 한각을 비롯한 지천의 하변에 서식, 월동하는 물새류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 산불방지와 도시림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해 온 관목층과 낙엽 및 죽은 가지를 제거하는 비과학적인 관행과, 하천유지유량을 높이고 하변 정비 및 산불 방지으 ㅣ한 방편으로 진행된 하변 식생 제거는 전문가와 충분히 제고한 후, 없어져야 할 것이다.

  • PDF

River Environment and Wetland at West DMZ (서부 DMZ의 하천환경 및 습지 현황)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79-1983
    • /
    • 2009
  • DMZ권은 지난 반세기 동안 출입이 통제된 덕분에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공간이자 생명벨트로 형성되어 있다. 서부 DMZ권에는 한강 하구와 임진강 유역의 성동 습지와, 장단 습지, 문산 습지, 임진각 습지 및 초평도 습지가 있으며, 이곳에는 멸종위기종 1급인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등 8종과 2급인 큰고니, 개리 등 21종, 황조롱이, 매, 흑두루미 등 천연기념물 22종이 서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부 DMZ권을 중심으로 현지 조사를 통해 하천환경과 습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임진각 습지는 임진강의 건천화 때문인지, 아님 썰물 때문인지 유량은 그리 많지 않았다. 덕분에 갯벌이 많이 드러나고 재두루미와 개리 등이 눈에 뜨였다. 장단반도는 절반은 농경지, 절반은 갈대 군락지이다. 군락지에는 갈대뿐만 아니라 달뿌리풀, 갯버들도 서식하고 있었다. 농경지에는 재두루미 가족이 섭식하고 있고 임진강에는 기러기 약 2천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고라니도 다수가 조사되었다. 최근에는 136마리가 조사되었다. 초평도의 습지에서는 물새가 탐조되었다. 습지는 생태계의 훌륭한 서식처의 역할을 하며, 수질 개선과 기후 조절 기능도 갖고 있으며, 생태 관광에도 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집중탐구 - 오리의 아미노산 영양

  • 아리안 헬름브레흐트
    • Monthly Duck's Village
    • /
    • s.114
    • /
    • pp.46-51
    • /
    • 2012
  • 세계적으로 오리고기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의 생산성을 이끌어 내기 위한 영양소 요구량 설정과 배합표 작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육지새와 물새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대사적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오리 연구 데이터가 희귀하다보니 오리사료 배합을 위해 육계의 자료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오리 21일령까지 아미노산 권장수준은 라이신 1.16%, 메티오닌 0.76%, 메티오닌+시스틴 0.76%(Evonik, 2010)인데 이는 0~14일령 오리의 요구량에 가깝다. 15~35일령의 오리의 경우 증체를 위해서는 현 권장수준보다 다소 높은, 메티오닌 0.54%, 총 함황아미노산(TSAA) 0.84% 이상의 요구량을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36~49일령 비육말기 오리 실험에서는 각각 0.35%, 0.59%로써 기존 추정량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5일령 이후에 보다 완만한 성장을 한 결과를 확인시켜주었다. 페킨종 오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아미노산 요구량과 소화율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Changes of Physical Structure of Hangang(Riv.) in Seoul City Area (서울시 구간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Hong, Sukhwan;Yeum, Junghun;Han, Bong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03-40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set up the basic data to manage the waterfowl habita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nges of phys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of Hangang(Riv.) as water birds' habitat. Study area was 41.5km in length from Paldang bridge to Hangju bridge. during total length of 497.52km and horizontal boundary was based on the protected lowland in year 1975. As the analysis result of land use from the center of water to adjacent road to the river, ratio of year 1975 was in order of sedimentary land(22.7%), surface water(20.7%), built-up area(16.9%), field(16.2%), paddy field(15.9%), and afterwards most of the areas were chang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rterial highway and submerged weir in order to use Hangang(Riv.). In year 1985, the area ratio of protected lowland(57.8%) and surface water(32.8%)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construction of river bank the recreational areas continually increased and relatively natural areas decreased. In year 2005, the area ratio of protected lowland was enlarged to 57.6% and surface water also to 33.3%. While the length of both riversides and naturalness decreased by 10.9%, 91.5% respectively in year 2005 compared to year 1975, the depth of water increased by 1.46m. Comprehensively, the flow of changes by physical structure in Hangang(Riv.) for 30 years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main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period were decrease of riverside area and enlargement of the surface water through the massive construction before middle of year 1980, and afterwards revetments were intensively artificialized with changes of land use for amusement area. In terms of water fowl habitat, Hangang(Riv.) which previously had various types of habitat condition was changed into simplified habitat for few of species, and the active improvement apporach was needed for habitat diversity.

Potential Applicability of Moist-soil Management Wetland as Migratory Waterbird Habitat in Republic of Korea (이동성 물새 서식지로서 습윤토양관리 습지의 국내 적용 가능성)

  • Steele, Marla L.;Yoon, Jihyun;Kim, Jae Geun;Kang, Sung-Ryo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4
    • /
    • pp.295-303
    • /
    • 2018
  • Inland wetlands in the Republic of Korea provide key breeding and wintering habitats, while coastal wetlands provide nutrient-rich habitats for stopover sites for East Asia/Australasia Flyway(EAAF) migrants. However, since the 1960's, Korea has reclaimed these coastal wetlands gradually for agriculture and urban expansion. The habitat loss has rippled across global populations of migrant shorebirds in EAAF. To protect a similar loss, the United States, specifically Missouri, developed the moist-soil management technique. Wetland impoundments are constructed from levees with water-flow control gates with specific soils, topography, available water sources, and target goals. The impoundments are subjected to a combination of carefully timed and regulated flooding and drawdown regimes with occasional soil disturbance. This serves a dual purpose of removing undesirable vegetation, while maximizing habitat and forage for wildlife. Flooding and drawdown schedules must be dynamic with constantly shifting climate conditions. Korea's latitude ($N33^{\circ}25^{\prime}{\sim}N38^{\circ}37^{\prime}$) is comparable to Missouri ($N36^{\circ}69^{\prime}{\sim}N40^{\circ}41^{\prime}$); as such, moist-soil management could prove to be an effective wetland restoration technique for Korea. In order to meet specific conservation goals (i.e. shorebird staging site restoration), it is necessary to test the proposed methodology on a site that can meet the required specifications for moist-soil management. Moist-soil management has the potential to not only create key habitat for endangered wildlife, but also provide valuable ecosystem services, including water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 Lee, Woo-Shin;Park, Chan-Ryul;Rhim, Shin-Jae;Hur, Wee-Hae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3 s.107
    • /
    • pp.131-13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types in Mangyeong River area from Aug. 1999 to Jun. 2000. Paddy field was the most dominant land use type. Water area, mudflat, shrub field, urban area and green house were also dominant land use types in study area. Eighty-eight bir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study period. Maximum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shown as 58 species and 7,084 individuals in Oct. and Jan., respectively. There were low number of diving ducks and clumped pattern of waterfowl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Dabbling ducks distributed at upper reaches near Samrye Bridge, and plovers and sandpipers at lower reaches near estuary. Tho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on of pools over one meter water-depth and restoration of paddy field into riparian zone with diverse shrub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bird diversity in the Mangyeong rived.

Characteristics,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금강 하구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및 보호와 관리)

  • Lee, U-Sin;Park, Chan-Yeol;Im, Sin-Jae;Heo, Wi-Hae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3
    • /
    • pp.181-18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 way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from Nov. 1997 to Oct. 1998. Water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of habitats. And there were cultivated area, forest, constructed area, reed bed and tidal fiat in study area. Total 104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Geum river estuary. Maximum 46 species in Apr. and 51,002 individuals in Feb. were observed. Dabbling ducks used islands and shallow area of river, and tidal flat. Gulls and waders were distributed in estuary and geese were in islands of the upstream and cultivated area of Sipjadeul. For the maintenanc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diversity of natural habitats, such as, tidal flat, cultivated area, islands and reed bed, should be maintained.

  • PDF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 이우신;박찬열;임신재;허위행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2
    • /
    • pp.61-6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 types in Mangyeong River area from Aug. 1999 to Jun. 2000. Paddy field was the most dominant land use type. Water area, mudiflat. shrub field, urban area and green house wee also dominant land use types in study area Eighty-eight bir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study period. Maxiamum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shown as 58 species and 7,084 individuals in Oct. and Jan. respecitvely. There were low number of diving ducks and clumped pattem of waterfowl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Dabbing ducks distributed at upper reaches near Samrye Bridge, and plovers and sandpipers at lower reaches near estuary. Tho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on of pools over one meter water-depth and restoration of paddy field freld into riparian zone with diverse shrubs are required to imcrease th bird diversity in the Mangyeong rived.

SANITARY SURVEY OF SHELLFISH GROWING AREA ON WEST FOWL RIVER ESTUARY, MOBILE, ALABAMA (미국 Alabama주 West Fowl River 하구 패류서식장에 대한 위생학적 조사)

  • KIM Seong J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7 no.3
    • /
    • pp.145-162
    • /
    • 1974
  • 시판되는 굴, 담치, 백합 등 패류는 깨끗한 수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는 것은 공중보건상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들 서식해역에 대한 위생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패류위생관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일이다. 본 조사는 미국 Alabama주 West Fowl River 지역에 있어 패류위생관리상 양식장의 등급분류와 관련한 굴(Crassostrea virginica) 및 그 서식수의 위생학적 성상을 알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연구는 미국 국제개발처(AID) 연수계획에 의하여 이루워 졌음을 밝혀 둔다. 조사지역에 있어서의 감염원은 가옥, 소업체, 가축, 물새, 야생동물 등에 의한 일반적인 발기물과 배설물로 되어 있고 특별한 하수나 공업배출물은 없었다. 이 조사는 이 지방에 있어 건조기인 10월에 실시되었으며 조사기간중의 총 강우양은 0.08mm, 평균 기온은 $21.3^{\circ}C$, 바람은 동풍이 우세하였다. 저질은 뻘로 되어 있고 저호시 평균수침은 약 1m이며 조사기관중 평균 수온은 $26.0^{\circ}C$였다. 염분은 조사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바다로 향한 강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고 평균 염분은 $18.0\~28.7\%$의 범위에 있었다. 해수 및 굴 양자의 Coliform 함양은 Fecal coliform 보다 시종 높았으며 Coliform 및 Fecal coliform의 수는 바다로 향한 강의 흐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이것은 해수의 오염은 주로 지표수의 유입에 의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굴의 Coliform 및 Fecal coliform MPN은 해수의 그것보다 $11\~12$배 높았다. 조사수역에 설정한 7개소 Sampling station 중 오직 Station 7만이 패류양식장 허가해역의 세균학적 수질기준에 합당하였으며 굴의 Fecal coliform MPN은 시판용 패류의 세균학적 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EC test 양성시험관에서 분리된 세균의 $97.6\%$가 E. coli group로 나타나 EC test는 Echerichie Coli 시험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