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리보안

검색결과 570건 처리시간 0.032초

물리보안의 기술동향과 미래 서비스에 대한연구 (Study on Technical trend of physical security and future service)

  • 신병곤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59-166
    • /
    • 2010
  • 사회불안, 소득증대, 인구구조 변화, 보안인식 변화로 물리보안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변화되고 있다. 현재 물리보안은 전화망과 방범장비로 구성된 무인방범, DVR과 카메라를 이한 영상보안, 지문인식과 RF카드를 활용한 출입통제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카메라, 생체인식기술, USIM NFC를 활용한 개인인증, 위치기반 서비스 등 ICT기반의 융합으로 산업영역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보안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기술동향과 융합보안의 서비스를 개인 신변보호를 위한 개인보안, 대형건물의 다양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빌딩 IT 컨버전스, 전방위 보안을 위한 홈랜드 시큐리티로 구분하여 미래의 물리보안 서비스를 제안한다.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물리보안 위협 계수기 구현 전략 (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Physical Security Threat Meter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 강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7-57
    • /
    • 2014
  • 정보보안 (인터넷 혹은 사이버) 위협 레벨을 공지하기 위해 많은 정보보안 회사들은 위협 계수기(Threat Meter)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보안 장치들이 지능화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물리보안의 현재 위협 수준을 결정하는 물리보안 위협 계수기(PSTM: Physical Security Threat Meter)를 제안한다. 따라서 PSTM은 정보보안에서 사용하는 위협 계수기와 유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물리보안 이벤트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결정하였으며 복수의 보안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간 시간 연관성 영향을 고려하였다. 또한 위협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 방법과 이들 기준 값을 이용한 실용적인 PSTM을 제안하였다. 특히 출입문 제어기와 CCTV(비디오 분석기 포함)로 구성된 실험환경에서 PSTM을 제작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도와 구현과정을 보임으로써 제안된 기법이 실현 가능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몇몇 실험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된 PSTM이 물리보안 위협레벨을 적절히 공지함을 검증하였다.

물리계층 보안을 위한 보안 전처리 기법의 설계 방법

  • 권경훈;허준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2호
    • /
    • pp.71-8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물리 계층에서 보안을 고려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Gaussian Wiretap Channel 상황에서 보안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 전처리 기법의 설계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무선 통신 채널의 경우, 통신 채널이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보안에 취약하다. 하지만 숨기고자 하는 보안 메시지를 채널 부호화 및 변조 과정 이전에 보안을 위한 전처리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기존의 Random하게 생성된 Scrambling matrix를 이용하여 물리계층 보안을 유지하는 전처리 기법을 바탕으로 Scrambling matrix의 hamming distance를 이용하여 높은 보안성 및 신뢰도를 가지는 Scrambling matrix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부호율 1을 가지는 soft decision decoding 기반의 새로운 보안 전처리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물리계층에서의 보안성 확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물리보안수준이 보안성과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sical Security Level of Companies with National Core Technology on Security Performance and Work Efficiency)

  • 장예진;최정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1-8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물리보안수준이 보안성과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안요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독립변수는 물리보안수준, 매개변수는 보안성과, 종속변수는 업무효율성으로 선정하였다.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분석, 판별타당성분석 등을 SPSS를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리보안수준 ⇒ 보안성과, 보안성과 ⇒ 업무효율성"는 채택되었으나 "물리보안수준 ⇒ 업무효율성"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물리보안수준이 매개변수인 보안성과를 거쳐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물리보안수준이 직접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안성과를 높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물리보안 시장경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security market economy revitalization plan)

  • 김민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0
    • /
    • 2023
  • 국내 물리보안(기계경비) 시장은 대기업과 중소 및 영세 기업의 인프라로 인한 경비구역의 확장에 있어 편차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출동 시간에 따른 출동 범위에 대한 물리보안 서비스의 한정으로 기업 간 현장 출동과 관련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출동과 관련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동 시간에 대한 기준으로 출동 범위의 기준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물리보안(기계경비) 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협력중계 시스템에서의 물리계층 보안 기술

  • ;김준수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2호
    • /
    • pp.91-97
    • /
    • 2014
  • 최근 물리계층 보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의 중요한 기술적 요소로 각광받고 있는 협력중계 기술을 기반으로 물리계층 보안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된 바 있다. 본고에서는 협력중계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물리계층 보안 확보 기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성능을 비교한다.

데이터센터 물리 보안 수준 향상을 위한 물리보안 위협 분할도(PS-TBS)개발 연구 (On Physical Security Threat Breakdown Structure for Data Center Physical Security Level Up)

  • 배춘석;고승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439-449
    • /
    • 2019
  • ICBMA(IoT, Cloud, Big Data, Mobile, AI)로 대변되는 정보기술의 발전은 데이터의 급증과 이를 수용하기 위한 데이터센터의 수적, 양적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데이터센터를 사회 중요 기반시설로 인식하고, 테러 공격 대응 등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사전에 물리보안 위협의 식별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협의 식별과 분류를 쉽게 처리할 목적으로 물리보안 위협 분할도(PS-TBS)를 개발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개발 된 물리보안 위협 분할도의 타당성과 효용성을 검증한다. 또한 위협 분할도의 항목에 대해 상세 정의를 통해 실무 활용을 통한 물리보안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융합보안을 위한 물리 보안 이벤트 활용: 정보 보안 중심 (Utilization of Physical Security Events for the Converged Securit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cus on Information Security)

  • 강구홍;강동호;나중찬;김익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53-564
    • /
    • 2012
  • 최근 물리보안과 정보보안으로 양분화 되어 있는 영역자체가 융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융합의 중심에 있는 것이 융합보안관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융합보안을 위한 이들 두 영역의 보안 이벤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구체적인 솔루션은 찾아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 보안 이벤트를 활용하여 정보 보안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보안 오브젝트-기반 접근법을 제안한다. 또한, 계층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하여 확장성을 고려한 많은 양의 물리 보안 이벤트의 의미 있는 이벤트 조합을 찾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출입통제시스템과 영상감시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물리보안 이벤트를 이용해 컴퓨팅 시스템 접근 정보보안 효율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실현 과정을 기술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물리계층 보안 기술연구

  • 임상훈;전형석;최진호;하정석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2호
    • /
    • pp.83-90
    • /
    • 2014
  • 본고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의 분산 검출 분야에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물리계층 보안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복잡한 연산과정을 요구하는 기존 암호학 기반의 보안 시스템은 배터리용량과 연산 능력이 제한된 센서 네트워크에서 많은 유지보수 비용을 유발할 수 밖에 없다. 본고에서 소개할 물리계층 보안기술들은 기존의 통신 모뎀 기술을 보안 강화의 목적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복잡한 연산이나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이 제한된 센서 네트워크에 매우 적합하다. 본고에서는 센서네트워크에서 제안된 대표적인 물리계층 보안기술인 확률적 암호화 (stochastic encryption) 기법과 채널 인지 암호화 (channel aware encryption) 기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물리계층 암호화 기술을 두 가지 무선 채널 모형 PAC (parallel access channel)과 MAC (multiple access channel)에서 간략화된 모델로 재해석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 기술로서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겠다.

네트워크의 물리적 취약요인과 대응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vulnerability factors of network and the Countermeasure technology)

  • 전정훈;안창훈;김상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39-145
    • /
    • 2016
  • 최근 국내 여러 기반 시설에 USB와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격은 대부분 내부자에 의한 것으로 의도와는 달리,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따른 인위적 공격의 대응 방안으로 물리보안을 꼽아볼 수 있으며, 대표적인 기술로는 CCTV나 출입통제시스템, 센서 기술이 있다. 그러나 물리보안은 시장성에 따라 몇몇 제품군으로 대표되고 있어, 다양한 물리보안의 기술개발과 확대 적용에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트워크의 인위적 취약요인으로 인한,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적절한 물리적 대응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물리보안의 인지도와 수요 동향을 알아보고, 네트워크의 물리적 취약요인과 이에 따른 대응기술들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국내 물리 보안기술 개발 및 로드맵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