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류성과지표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한-아세안 FTA 상품무역의 물류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ogistics Performance on the Trade of Goods in the Korea-ASEAN FTA)

  • 안태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45-160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무역에 있어서 물류규제와 물류역량에 대한 물류업계 종사자들의 평가지표라 할 수 있는 물류성과지표를 활용하여 한국과 아세안 FTA의 상품무역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World bank에서 발표한 물류성과지표는 관세통관, 물류인프라, 선적의 용이성, 물류서비스, 운반의 적시성, 물품추적역량의 6가지 세부항목과 총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류성과지표를 관측변수로 하여 페널데이터 중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물류성과지표의 총점과 세부항목 모두 상품무역량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과 아세안 양국교역 증대를 위해 물류비용을 현실화하고 물류 규제를 철폐하며, 물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교역 상대국의 물류성과지표가 한국 무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gistics Performance Index on International Trade of Korea)

  • 임은정;전성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7-96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들을 대상으로 물류성과지표들이 한국의 수입과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계량 분석하였다. 중력모형에 기초하여 한국의 무역대상국을 소득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물류성과지표의 탄력도는 중력모형의 거리변수의 탄력도보다 계수가 크게 나타나 양국의 교역량에 물류성과지표의 개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은 국가의 경우 한국으로의 수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류성과지표들을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저소득 국가의 한국으로의 수출에는 물류역량, 국제수송, 화물추적, 적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중저소득의 국가의 경우는 물류시설과 화물추적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소득의 경우는 모든 개별 지표, 즉, 통관, 물류시설, 물류역량, 국제수송, 화물추적, 적시성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도출되어 물류성과지표가 미치는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의 경영성과지표 산정 및 결정요인 분석 - 2015년 경제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and Determinants Analysis of Small and Medium Sized Shipping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 Using 2015 Economic Census Data)

  • 한상용;이주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3-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경제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들의 업종별 경영성과지표를 산정함과 동시에 경영성과 결정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내 해운물류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평균 매출액, 평균 영업이익, 종사자 당 매출액, 종사자 당 영업이익,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대비 재료비 비중, 평균 부가가치액 등의 경영성과지표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그 값이 크게 분석된 반면,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과 부가가치율 지표는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그 값이 크게 분석되었다. 즉 위에서 산정된 국내 해운물류기업들의 경영성과지표들은 업종 및 규모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들의 지역 및 기업특성변수들 중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대비 부가가치율 등 경영성과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실업률(-), 종업원 수(-), 매출액(+), 인건비 비중(+), 종업원당 인건비(-) 등으로 분석되었고, 탄력성을 기준으로 한 개별 설명변수들의 영향력은 변수들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의 경영성과지표들에 대한 개별 설명변수들의 탄력성 추정치들은 향후 기업별 경영성과지표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데 정량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물류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Logistics Companies in Japan)

  • 구경모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9-116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10여년을 대상으로 일본의 경제 지표와 물류업의 경영활동 성과지표의 변화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물류기업의 사업전략과 관련된 집단별 경영성과에 대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물류업의 전략행동이 경영성과에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핵심적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물류기업의 수입은 GDP, 무역액, 주가 등의 경기지표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육상운송업은 주가와 해운업은 무역액과 상관성이 높았다. 둘째 물류기업의 사업전략 변인인 업종과 생산구조 특징 간에는 상관성이 발견되었고, 업종별 상이한 전략이 적합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셋째 사업전략의 변인이 경영성과 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3개요인의 상호작용효과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10년 동안의 일본의 경제환경 변화 속에서 물류기업이 높은 경영성과를 얻을 수 있는 기업전략이 무엇이었는지 이해함에 큰 도움이 된다.

물류산업의 선진화를 위한 성과지표 분석: IT서비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ey Performance Index for Advanced Logistics)

  • 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물류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한 성과지표를 분석하고 세부적인 IT서비스를 제시한다. 여기서 물류 기업의 성과는 크게 효율성, 지속가능성 및 경제성 측면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IT서비스는 기업 및 공공물류로 분류하여 기업들에게 필요한 IT서비스를 분석한다. 아울러 사례연구로서 평택항 관련 종사자 즉, 물류기업 및 무역업, 공무원, 지역주민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SPSS 분석)를 통하여 물류기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물류 IT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조사한다. 분석결과, 물류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인력의 확보와 표준화가 요구되고 시급한 IT서비스로서 물류자동화 기계화, u-Port 구축, 녹색친환경물류 그리고 물류보안 기술의 구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물류성과가 개발도상국가의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Logistic Performance Impact on FDI Inflow in Developing Countries)

  • 전성희
    • 무역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45
    • /
    • 2018
  • 본 연구는 물류성과가 개발도상국으로 유입되는 FD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물류 성과지표 중에서 운송 인프라와 화물의 적시성은 저소득 국가로의 FDI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득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에는 화물의 적시성만이 FDI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저소득국가와 중소득국가로 이루어지는 FDI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저소득국가로 이루어지는 FDI는 저임금에 기초한 생산비절감을 위한 것이고, 중소득국가의 경우는 생산비절감을 위한 FDI와 소비시장 확대를 위한 FDI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역비용(Trade Cost)의 일부로 볼 수 있는 물류성과지표는 무역뿐만 아니라 오프쇼어링을 목적으로 하는 FDI 유입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물류정보시스템의 활용 과제와 대응방안 (Strategic Implications of Lagistics Information Systems)

  • 이규훈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1호
    • /
    • pp.47-65
    • /
    • 1999
  • 물류활동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물류정보시스템은 각 물류활동의 문제점에 대한 명확한 관리지표를 제시할 수 있는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연구결과 물류정보시스템에는 통합, 의사결정지원, 유연성, 예외적인 처리, 성과측정, 피드백, 물류관리 지식 등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정보를 합리적, 유기적으로 결합, 제공하여 물류비용 절감과 고객서비스 향상을 기하고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적인 차원의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 PDF

물류기업의 전략과 물류공동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gistics Company Strategies and Logistics Cooper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 조양일
    • 무역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63-283
    • /
    • 2023
  • 기업들은 전사적 관점에서 경쟁우위 확보와 효율적인 프로세스 운영을 위해 자원 집중을 통한 핵심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전략적 차원에서 중요 업무 외의 업무나 많은 시간과 자본이 소요되는 설비 등을 공동화하여 역량집중과 비용절감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물류기업들은 인적 물적 시간적 등의 한계에 따라 물류 자원을 최대치로 활용하기 위해 물류공동화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물류기업의 물류 전략과 물류공동화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연구로, 운송·보관·국제물류주선·하역 등 국내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물류의 비용·관계·정보 지향전략이 물류공동화를 매개로 기업의 재무·운영·전략 성과지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물류기업 및 물류서비스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한 물류 전략과 물류공동화 설정에 중요한 결정요소로 활용될 것이다.

Covid-19 팬데믹시기 물류성과지수와 공급망 추적 데이터에 대한 고찰 (A Study on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Supply Chain Tracking Dat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안태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1-210
    • /
    • 2023
  • Covid-19 팬데믹은 글로벌 물류와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로 인해 세계 각국의 물류성능에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물류성과지수와 공급망 추적 데이터에 대한 고찰을 통해 펜데믹 기간 동안 발생된 글로벌 공급 사슬의 변화와 물류 환경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물류성과지수를 분석한 결과 세관 및 통관 관리 효율성, 무역 및 운송 인프라의 품질, 물류 서비스의 능력과 품질, 화물 추적 능력 등의 지표에서 세계 국가들, 특히 선진국들은 전반적으로 성능 개선을 보였다. 반면, 국제 운송의 경쟁력 있는 가격 용이성과 화물의 정시 배송 빈도는 팬데믹의 영향으로 점수 하락을 보였다. 공급망 추적 데이터 분석에서 아시아 국가의 항구에서의 처리 효율성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항공화물, 소포, 특송 운송에서 특히 미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처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 물류 지연이 발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Covid-19 팬데믹 동안 아시아 국가들은 물류 및 무역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성을 유지하였다. 반면, 미국과 일부 유럽 국가들은 여러 지표에서 지연과 효율성 저하를 보였다. 향후 지연현상과 정체현상 즉 물류 프로세스의 속도 감소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