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재분석

Search Result 73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Fire Safety Measures for the Key Cultural Assets in Korea through Case Analysis (화재사례분석을 통한 문화재 화재안전 대책)

  • Park, Daew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7 no.1
    • /
    • pp.64-74
    • /
    • 2011
  •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protected more than other facility because of its symbolization of a nation's historic and conservative value. So proper and effective actions for the management of our legacies is necessary. On this study, we'll research cases of cultural properties fires and manage to show the safety system of legacy and analyze problems of the system so that we can result in improvements for the safety of our treasures. This study is not to include almost all kind of cultural assets but only confined in a category of wooden materials, so there's limit of this study. And we should consider fires of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ouvenirs and folk materials later period.

Analysis of Categorized Cultural Asset and Application for Cultural Asset App Store Based on IoT Environment (IoT 환경기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분석)

  • Lim, Won-Jun;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05-1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 기반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한다. 문화재 종류는 문화재진흥청에서 정의한 종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류에 따라 문화재 개수도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분석을 통해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에 있어 카테고리 분류 작업시 중요한 기반 자료가 된다. 이는 앱스토어 소비자에게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Effective Cultural Properties management and Accident Prevention Using GIS (GIS를 활용한 효율적인 문화재관리 및 사고예방)

  • Song, Sang-Hun;Jeong,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307-3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문화재 유형 및 위험요인 분석을 통해 문화재사고 위험성 분석 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문화재 방재 시스템 구축현황 분석, 체크리스트 평가 모델에 의한 문화재사고위험성평가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 문화재 관리에 대한 문제점과 종합적인 대책 및 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제시로 사고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mprovement of cultural heritage disaster management - The Case of Sungnyemun's Collapse in Fire - (문화재 재난관리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 숭례문 화재사고사례를 중심으로 -)

  • Han, Beum-De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0
    • /
    • pp.189-197
    • /
    • 2008
  •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ssert the necessity of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through analyzing the fire of the Sungnyemu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in the future. For these purposes, we reviewed literature such as research papers and books on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and presented problems in current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a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rough case study of the fire of the Sungnyemun. In a word, the fire of the Sungnyemun is a representative case showing difficulty in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ly, we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and to prepare measures. For this, first, it is essential to reinforce preventive systems against cultural property disasters. Second, early actions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property. Third, for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it is important to maintain cooperative relations among th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relevant local self.governing bodies. Lastly, standards for cultural property fire protection systems should be tightened by improving related laws, and institutional bases should be intensified through preparing grounds for aggravated punishment for crimes against cultural properties such as arsons.

SEM-EDS를 이용한 고대문화의 해석 - 고대의 유리구슬 -

  • Kim, Gyu-Ho;Heo, U-Yeong
    • 한국전자현미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5a
    • /
    • pp.40-44
    • /
    • 1999
  • 기록이 없는 과거 역사에 대한 연구는 문화재라는 간접적인 자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문화재 연구는 외형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고고학이나 미술사의 분야만으로 국한하였으나 점차 내형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과학적인 분석기술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문화재의 특성적 성분을 분석하여 원료, 제작방법, 시대, 그리고 지역으로 그룹화한다면 문화재의 특성과 함께 지역, 시대에 따른 문화적 형태와 수준, 그리고 문화의 유입 경로 등에 대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분 연구에서는 유리나 도자기 유약 등의 문화재를 분석할 경우에 대한 SEM-EDS의 정량분석 조건들을 설정하고 경남 김해 양동리고분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구슬에 대하여 직접 적용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 매장되었던 고대 유리에서는 풍화층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분석조건과 정량분석의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적용한 양동리고분의 유리구슬은 알칼리계 유리로 칼리계 유리는 AD 1C, 소다계 유리는 AD 2C말$\sim$3C초부터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유리의 색상은 전이금속 동(Cu), 철(Fe), 그리고 망간(Mn)의 함유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이 분석 결과에 따라 고대 유리구슬의 성분 함유량이 원료, 색상, 유구편년, 그리고 지역에 따라 그룹이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Collabo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Guardians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 체계 연구)

  • Jang, Youngki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1
    • /
    • pp.184-205
    • /
    • 2021
  • Governance is valued as a new concept and principle of social operation and public policy management, and its influence is gradually expanding. Among the various governance theories being put into practice and in case analysis studies, collaborative governance embracing various governance concepts has been found to increase inter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beyond participation and compromise, and create new public values by integrating and utilizing optimal social coordination forms. In the field of cultural assets, governance-related research is also being conducted for the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scalability of public policy enforcement. This study explored the government's role (promotion, arbitration, and condition creation) in collabo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Guardians" to understand how collaborative governance operates in the cultural heritage sector. Regarding governance policies in the cultural asset sector, the cultural asset guardians highlighted the status, role, and characteristics of policies by examining their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ivate-led, horizontal public-private cooperation, collaborative governance, policy introduction, solidarity, professionalism, resource/knowledge imbalance, cooperation precedence, etc., facilitate increased participation. The government has accordingly proposed measures to establish comprehensive legal stability centered on cooperation; strategic reorganization of dedicated organizations; strengthened, supportive intermedi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 and multi-party consultative bodies.

통계적 분류방법을 이용한 문화재 정보 분석

  • Kang, Min-Gu;Sung, Su-Jin;Lee, Jin-Young;Na,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0-1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분류방법을 이용하여 문화재 자료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류방법으로는 선형판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분석, 신경망분석, SVM분석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류방법에 대한 개념 및 이론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실제자료 분석에서는 "지역별 문화재 통계분석 및 모형개발 연구 1차(2008)"에 사용된 자료 중 익산시 자료를 근거로 매장문화재에 대한 분류방법별 적합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과 모의실험의 결과를 통해 각각의 적합모형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여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도구로는 최근 가장 관심을 갖는 R-project를 사용하였다.

  • PD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Crack Detection Techniques Using Object Detection (객체 탐지를 이용한 건축 문화재 크랙 탐지 기법)

  • Kim, Inki;Lim, Hyunseok;Kim, Beom-Jun;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49-65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노후화된 목조·석조 건축물의 균열을 탐지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본 기법의 목적은 석조·목조 문화재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관리 소홀, 균열(벌레, 날씨, 기온 등), 배부름 현상에 의한 문화재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존재하는 목조·석조 건축물의 균열, 노후, 배부름 등 다양한 결함과 변형의 탐지 방법은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탐지를 해왔지만, 문화재 자체의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문화재를 추가로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재 비 접촉형 탐지 기법을 사용한다. CCTV 및 DSLR과 같은 관측장비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문화재의 결함과 변형을 AI 영상분석 기반 방법으로 판단하는 문제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Flood Susceptibility of Heritage Sites by Heritage Type Depending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입지특성에 따른 문화재 유형별 홍수 민감성 기초연구)

  • Kim, Ji-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3
    • /
    • pp.46-56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heritage sites in Seoul in order to identify flood susceptibility by type. As for the location factors related to flood susceptibility, elevation, slope, distance to streams, and topographic location were analyzed. Literature review was supplemented for the historical and humanistic environments of heritage sit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ritage sites in Seoul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ity, and are especially highly dense in the Hanyangdoseong fortre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heritage sites were concentrated around Jung-gu, Jongno-gu, Jingwan-dong, and Ui-dong in the quantitative spatial analyses. Second, types of heritage sites at the circumstance susceptible to flood damage were related to commerce and distribution, traffic, modern traffic and communication, geological monument, residence, government office, and palace. Third, heritage types with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low flood susceptibility were found to be natural scenic spots, telecommunication, ceramics, Buddhism, tombs, and tomb sculptural heritage assets. In a time when risk factors that can damage the value of heritage are gradually increasing due to anthropogenic influences along with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vulnerability analysis that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eritage assets.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more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insights for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heritage by including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ata together with natural factors in the analysis.

국내.외 목조문화재 안전관리에 관한 비교연구

  • Gu, Won-Hoe;Sin, Ho-Jun;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38-139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국외(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의 문화재 안전관리 현황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문화재 안전관리 선진사례 집중분석을 통하여 국내 문화재 안전관리 수용성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