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상품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32초

전통사찰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Traditional Temple Culture)

  • 김선영;최영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3-370
    • /
    • 2012
  • This study is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simultaneously evolved with the contemporary use of traditional temple culture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ultural products available in the Korean market.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We targeted the cultural products carried at twelve web-based shopping malls for Buddhist cultural products and six souvenir shops in Korean Buddhist temples to collect data on those products in order to analyze the items, design motives, materials, and price rang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terior items represented the largest portion of the targeted goods, followed by accessories/sundries, clothing/fashion items, stationery, and tableware. The most commonly used design motive was lotuses, followed by the images of Buddha or Buddhist Goddesses and Dharma. The most common materials include fibers, jewelry (such as gold and silver), wood, metals, ceramics, paper, and plastic. The most active price range was between KRW10,000 and KRW50,000, followed by less than KRW10,000 and KRW100,000 to less than KRW500,000. This study discovered the potential for traditional temple culture to advance it further in a contemporary manner and indicated the need to develop a wide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and emphasize its global acceptance.

고령군 관광자원의 이용 및 개발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in Goryeong)

  • 최정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80-697
    • /
    • 2008
  • 고령군은 대가야역사문화의 중심지로써 관광개발은 대가야 역사문화자원에 치중하여 이루어졌다. 고령군에 대한 관광객 인지도는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고령군의 관광객 수는 경북 관광객수의 증가추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령군은 다양한 문화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대도시 주변 농촌지역으로 대도시 관광시장을 유인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가야 문화권의 중심지적 위상을 보지(保持)하되, 대도시주변 농촌지역이라는 고령군의 특색에 맞는 관광정책 개선방안 및 관광자원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관광정책 개선방안으로는 관광사업체나 관련 기관 등에서 지속적인 상품혁신을 도모하면서 통합적인 관광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관광자원 개발방안으로는 기존 관광자원의 재활성화와 새로운 관광자원의 개발을 제시하였다. 우선, 기존 관광자원의 재활성화를 위해 대가야박물간의 재방문율 제고, 대가야박물관과 지산동고분군 이외의 다양한 관광자원에 대한 인지도 제고, 대가야 중심의 관광코스를 관광객 중심의 관광코스로의 재편, 회원제 농촌민박이나 체재형 시민농원 등을 활용한 농촌관광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관광자원의 개발을 위해 고령의 대표적 특산물을 활용한 테마관광상품 개발 및 테마파크와 캐릭터산업과의 연계, 스토리에 기반한 관광상품 개발 및 이벤트화, 고령군만의 이미지를 활용한 차별화된 특색관광상품 개발,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관광자원개발, 시군간 연계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지역간 연계를 통한 관광활성화 도로를 추진해야 한다.

  • PDF

전통 색동이미지를 응용한 문화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at Utilize the Traditional Saekdong Image)

  • 이미석
    • 복식
    • /
    • 제59권2호
    • /
    • pp.101-110
    • /
    • 2009
  • This is a stud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with applied traditional Saekdong-im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unique cultural products which combine traditional korean images with modern feel by utilizing traditional Saekdong-image. Saekdong has been an object of deep attachment and regarded as a tool for expressing korean image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Chosun dynasty shows a wonderful growth of fashion not only in dress but also in such accessories as patchwork wrapping-cloth and Saekdong, which imply a lot on formation or color arrangement. Approximately 24 pieces of 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used in daily life were created using Saekdong, including traffic or credit card cases, name card cases, pouches, coin purses, bags, Vest, teapot wrapping-cloth, brooch. After design plans were made for each works, natural dyes were used to dye(dip dyeing) the fabrics(cotton, silk, linen) by theme. In addition, the increased quality of the products will be a competitive edge in the world market where products compete with no national bounds.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enefit thought and Fashion Image on Purchase Intention fo Gal-ot)

  • 홍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3-84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 of clothing benefit sought on fashion image sought and 2)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ashion image and benefit sought on purchase intention of Gal-ot.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172 female tourist(20 to 50 ages) in Cheju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ur factors of benefit sought were identified : Practicality/economic-value, aesthetics, reputation, and souvenir-value. Six factors of fashion image were found and labeled as: Sexy/feminine, wild/mannish, easy/simple, Cheju image, ecology and natural image. The effects of benefits sought(Practicality/economic-value, aesthetics, reputation and souvenir-value) on fashion image(Sexy/feminine, easy/simple, Cheju and natural image) were fou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effects of benefit sought(souvenir-value) and fashion image(Cheju image) on purchase intention of Gal-ot.

  • PDF

방한 외국인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Foreign Visitors' Korean National Image Influencing Preference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 장세정;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69-680
    • /
    • 2008
  • Korea's national image can be delivered through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products can finally contribute to the affirmative attitude and recognition towards Korea. In an empirical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oreigners who visit Korea were execut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eign visitors from US, China, and Japan. Finally, a total of 247 copies were used for analyses. Descriptive analyse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OVA, Duncan test,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 found that there were seven factors to form the image of Korea; culture/art, openness, lechnology/quality, food culture, passionate narcissism, conservativeness, and pursuit of quality of life. Secondly, Several image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positively or negatively on their attitude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Especially, culture/art factor was found to influence positively to Chinese and Japanese and lechnology/quality factor was found to influence positively to Japanese and American. Meanwhile, conservativeness factor was found to influence negatively to Chinese. This study will be of help to practitioners of the fashion cultural product industry for building marketing strategies whose target market is foreign visitor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일러스트레이션과 광고 사회학의 관계 - 한국과 중국의 상품광고 포스터속의 근대 여성이미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Sociology and Illustration - Focused on the Images of Modern Women in Commercial Posters in Korea and China-)

  • 장미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7-36
    • /
    • 2005
  • 상품을 팔기 위한 경제적 현상인 광고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일차적으로 상품내용을 전달하고자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 문화적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광고디자인은 대량생산을 통해 표준화된 상품을 차별화하기 위한 전략이드로 제품자체의 물리적 특징이나 사용가치 못지 않게 광범위한 상품외적 요소들인 사회학적 요인들이 개입하게 된다. 그 결과 상품판매 효과와는 상관없이 광고에 쓰인 문안이나 시각 이미지들이 독립된 사회적 영향력을 지니기도 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광고디자인은 시대상과 의식을 반영하고, 만들어 가는 공공의 문화적 현상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앞서 제시한 광고디자인의 특성과 역할을 전제로 본 논문은 근대기인 1900-1945년도의 한국과 중국의 광고포스터를 중심으로 당시 근대성의 성립과 전개를 개진한 시대상과 여성이미지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근대기의 한국과 중국이 서구화되면서, 광고 포스터에 등장한 여성이미지, 상품가치, 소비, 생활양식과 취향의 상관관계를 정치, 경제, 문화 현상 등을 광고일러스트레이션을 매개로 살펴보려고 한다.

  • PDF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 모델의 타당성 연구 : <해리포터 (Harry Potter)>를 중심으로 (A Validity Study on Brand Identity-based Strategy Model for Culture Content's One Source Multi Use : A Case Study on )

  • 김영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289-313
    • /
    • 2013
  • 브랜드 연구자들은 브랜드 마케팅과 관련된 모든 의사결정은 특정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의 논의에 근거하여 문화콘텐츠 OSMU는 콘텐츠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마케팅 활동이며, 모든 OSMU관련 의사결정은 특정 콘텐츠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성공한 문화콘텐츠이자 막대한 브랜드 가치를 지닌 파워브랜드로 평가되는 <해리포터>를 조사대상으로 선정,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캐릭터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브랜드 자산의 차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해리포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인 '마법, 선악대결, 용기'가 반영된 상품에 대해서 더욱 호감을 느끼며, 품질이 좋은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적인 전달에 초점을 맞춘 OSMU 전략이 문화콘텐츠의 부가가치 극대화에 기여한다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모델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하지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캐릭터 상품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해리포터>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충성도, 지각된 품질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고, 그에 따라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가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피드백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이란 지속적인 소비자들의 콘텐츠 관련 경험을 통해 장기적으로 구축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OSMU를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지속적인 전달이 정기적으로는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해석의 여지도 남아있는 바,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관점에서 문화콘텐츠 OSMU 전략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논의한 최초의 연구이며, 성공 프로젝트를 위한 논의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해리포터>와 같은 문화콘텐츠 파워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관심과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박물관 문화상품을 위한 플랫폼의 상호경험디자인에 대한연구 -선양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xperience Design of Museum Cultural Product Customization Platform -Focusing on Shenyang Palace Museum)

  • 임시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5-200
    • /
    • 2022
  •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혁신적 개발은 박물관이 소장품을 이용하여 문화의 전파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사람들의 소비 수준이 늘어나고 업그레이드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문화 콘텐츠 디자인과 판매 방식은 날로 늘어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맞춤형 체험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여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고 박물관 문화의 전승과 보호를 도모하려 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기존의 플랫폼 모델과 특징을 분석하고 설문지 159부를 배포하여 문화 콘텐츠 소비자들의 욕구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맞춤형 체험과 현존하는 인터넷 소매 플랫폼과 결합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었으며 선양 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가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문화 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도가 비교적 높았다. 맞품형 플랫폼을 이용한 디자인은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확산과 확대를 촉진하며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여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과 디자인, 소매 등에 새로운 생각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고는 박물관의 문화 콘텐츠 개발은 맞춤형 플랫폼에 따라 소비자들의 특성에 맞춰 소비자들의 서비스 경험을 더욱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다.

제주옹기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프린트 문양 및 문화상품 개발 (The Development of Print Patterns and Cultural Products Using the Local Culture Resource of Jeju Onggi as a Design Motif)

  • 김혜성;유희주;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89-707
    • /
    • 2018
  • This study reviewed the differences among Onggis made in Jeju and other areas, developed creative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and conducted the consumer evaluation of developed products. First, the 1,063 photos of Onggis made before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were collected and the unique differences of Jeju Onggis were confirm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collected photos. Second, based on the uniqueness of Jeju Onggis, the eight pieces of Jeju Onggis were selected from the photos and used as pattern design motifs. Nine basic patterns were drawn and ten textile designs were created using the basic patterns. Third, the 16 pieces of textile products were made with cotton fabrics on which the textile designs were printed. Four mugs and four tumblers with printed patterns were also made. Finally, 64 students evaluated the developed products using a 7-point scale. As a result, folksy atmosphere, uniqueness, usage as a Jeju souvenir and at local restaurants, and the role of fostering concern for Jeju Onggi were highly evaluated but aesthetics was rated relatively low. Most of the developed products were highly preferred and recommended as Jeju souvenirs or for local restaurants.

백제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상품의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 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Images and Preference 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Baekje Traditional Culture - Focused on Adolescents -)

  • 이미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5-9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olescents' images and preference 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Baekje traditional culture focused o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21 adolesc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measuring instruments was stimuli of cultural products and a questionnaire with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of image of cultural products, preference, product evaluation criteria, and subjects'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 factors(attractiveness, interest, gentleness) were emerged on images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Baekje tradition culture, however, the current products could not convey affectively the attractive and gentle image of baekje traditional culture. Second, the preference of the Baekje cultural products was evaluated low, and especially design and price was rated low in the evaluation criteria. Third, preference was related with the 3 image factors, and attractiveness factor was showed highly positive effects on preference of cultural produc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useful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plan for adolescents, and th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at modern and individual design, unique traditional pattern, resonable price, and practicality have to be considered to develop successful cultural products for adolesc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