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Validity Study on Brand Identity-based Strategy Model for Culture Content's One Source Multi Use : A Case Study on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 모델의 타당성 연구 : <해리포터 (Harry Potter)>를 중심으로

  • 김영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3.07.25
  • Accepted : 2013.09.01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According to many researches on brand management, the decision makings on brand marketing should center on the brand identity. Based on the brand management theory,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y has been suggested, in which the decision makings for culture content's OSMU should be focused on the brand identity of content to maximize the brand equity.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suggested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y model is empirically studied, together with the effect on the brand equity. The study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Harry Potter T-shirt with the associations of 'magic, courage and confrontation against evil' proved that consumers respond more favorably in terms of their recognition of the fit-to-content, preference and perceived quality. With this result, the positive effect of brand identity-based OSMU on consumer attitude is verified.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identity bearing T-shirt on brand equity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brand identity-based OSMU has the positive feedback effect on the brand equity of culture content. Still, while the brand equity is established through the long period of time with consumer's consistent experience on the certain culture content, the effect of brand identity-based OSMU on brand equity has a room for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While the ultimate goal of marketing is to create the power brand with high brand value, the further discussion on the effective culture content OSMU strategy to create a power brand is needed.

브랜드 연구자들은 브랜드 마케팅과 관련된 모든 의사결정은 특정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의 논의에 근거하여 문화콘텐츠 OSMU는 콘텐츠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마케팅 활동이며, 모든 OSMU관련 의사결정은 특정 콘텐츠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성공한 문화콘텐츠이자 막대한 브랜드 가치를 지닌 파워브랜드로 평가되는 <해리포터>를 조사대상으로 선정,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캐릭터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브랜드 자산의 차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해리포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인 '마법, 선악대결, 용기'가 반영된 상품에 대해서 더욱 호감을 느끼며, 품질이 좋은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적인 전달에 초점을 맞춘 OSMU 전략이 문화콘텐츠의 부가가치 극대화에 기여한다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모델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하지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캐릭터 상품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해리포터>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충성도, 지각된 품질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고, 그에 따라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가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피드백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이란 지속적인 소비자들의 콘텐츠 관련 경험을 통해 장기적으로 구축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OSMU를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지속적인 전달이 정기적으로는 콘텐츠의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해석의 여지도 남아있는 바,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관점에서 문화콘텐츠 OSMU 전략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논의한 최초의 연구이며, 성공 프로젝트를 위한 논의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해리포터>와 같은 문화콘텐츠 파워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관심과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비드 아커, 이상민․ 브랜드앤컴퍼니 역,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북스, 1996.
  2.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100년 기업을 넘어서는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전략, 경영정신, 2003.
  3. 장 노엘 캐퍼러, 윤정구․김상률․손일권 역, 뉴 패러다임 브랜드 매니지먼트, 김앤김북스 ,2009,
  4. 케빈 레인 켈러, 이상민․김준석․최윤희 역, 브랜드 매니지먼트, 비즈니스북스, 2007.
  5. 장효진, <해리포터> 브랜드 아이덴티티 연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 석사학위논문(2011.2.)
  6. 김영재, 브랜드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28호 (2012), pp.155-180.
  7. 김영재, <아기공룡둘리>의 브랜드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20호 (2012), pp.29-47.
  8. 노준석, OSMU 전략을 통한 한국 문화콘텐츠의 선순환구조 확립방안,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제3호(2008), pp.119-150.
  9. 박기수, 서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간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36집(2008), pp.1-23.
  10. 이명천.신동우.김정현, 브랜드 확장이 모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91호 (2011), pp.212-239.
  11. 조성룡 외, 사례분석을 통한 방송콘텐츠 OSMU의 고찰,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2007), pp.423-434.
  12. 유재혁/김용준,"해리포터 브랜드 가치,나이키 앞선다", 한국경제 , 2011년 7월 18일,
  13. Schultz, D.E.․ Tannenbaum, S.I.․ Lauterborn,R.F.,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Chicago: NTC Business Books, 1993.
  14. Aaker, D. A..Keller, K. L.,"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Journal of Marketing, 54(January),1990,pp.27-41. https://doi.org/10.2307/1252171
  15. Balachander, S..Ghose, S.,"Reciprocal Spillover effects: A strategic benefit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67(Jan), 2003, pp.4-14. https://doi.org/10.1509/jmkg.67.1.4.18594
  16. Bouch, D. M..Loken, B.,"A Process-Tracing Study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 1991, pp.16-28. https://doi.org/10.2307/3172723
  17. Farquhar, P.,"Managing Brand Equity", Marketing Research, 1989, pp.1-11.
  18.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1993), pp.1-22.
  19. Loken, B..John, D. R.,"Diluting brand beliefs: When do brand extensionss have a negative impact?", Journal of Marketing, 57(July), 1993, pp.71-84. https://doi.org/10.2307/1251855
  20. Morrin, M., "The impact of brand extensions on parent brand memory structures and retrieval process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 (Nov), 1999, pp.517-525. https://doi.org/10.2307/3152005
  21. Park,C.W,.Jawaorski,B.J..MacInnis,D.J.,"Strategic Brand Concept- Image Management", Journal of Marketing, 50(Oct), 1986, pp.135-145. https://doi.org/10.2307/1251291
  22. Tauber,E. M.,"Brand Leverage: Strategy for Growth in a Cost Controlled Worl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8(Aug/Sep), 1988, pp.26-30.
  23. http://www.wbshop.com/ 2013. 7. 1.
  24.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71803751, 2013.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