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복지

검색결과 944건 처리시간 0.031초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 (Institutional Ethnography: Why Another Methodology? -Usefullness and Implication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in Social Welfare Knowledge-)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99-324
    • /
    • 2013
  • 본 연구는 캐나다의 사회학자인 도로시 스미스(Dorothy Smith)가 발전시킨 '제도적 문화기술지(institutional ethnography)'를 소개하고, 이 방법론이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를 탐색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소개에서는 이 방법론의 출발점, 개인과 사회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전제, '입장(standpoint)', '문제틀(problematic)'과 같은 방법론적 장치, '일'과 '일 지식(work knowledge)', '텍스트', '제도적 담론'과 같은 '제도'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적 개념들과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기술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론은 사회복지 제도가 작동되는 실천(정책) 현장의 '실제(actualities)'를 정교화하고, 제도적 변화의 구체적 지점들을 발견하게 해주며, 연구자가 선택한 사람의 입장에서 지식을 생산하게 촉진한다. 이를 통해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기존 사회복지 지식지형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물론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 PDF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생활 적응 사례연구를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of Social Welfare Practice a Case Study on Adaptation of Family Life to Married Women Migrant)

  • 허명준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07-115
    • /
    • 2020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문화 간 차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원만한 가정생활을 누리기 위해서 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서는 첫째, 문화 간 차이 극복하기 위한 실천방안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문화 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내담자를 위해 그들의 인종, 문화, 민족, 성별, 성적 지향의 배경에 부합하는 개입양식을 사용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둘째, 전문교육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기존의 사회복지 과목에 문화적 다양성에 관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관련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다문화가족지원법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가족문화의 이해라든가, 결혼이주여성 상담이라는 항목이 결여되어 있는 등 보완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대두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결혼여성이민자들은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한국생활이 자국의 생활과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어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내심과 높은 수준의 노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방안이 요구된다.

리더십, 조직문화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김영춘;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01-211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정도,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서 총 45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변혁적 리더십, 교환적 리더십 등 리더십 유형, 조직문화를 독립변인으로 종사자의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리더십 유형,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문화가 집단문화, 교환적 리더십, 발전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조직의 리더가 변혁적 리더십을 통한 종사자의 자발적 참여와 업무능률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러한 리더십 유형은 조직의 문화가 집단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한국으로 온 외국인 여성의 인권과 차별 사회복지사는 무엇을 했나?

  • 이해령
    • Social Workers
    • /
    • 1호통권45호
    • /
    • pp.16-19
    • /
    • 2006
  • 사회복지사들은 이주기혼여성들이 이주민이라는 특색을 고려하여 이들을 대하여야 한다. 특정 문화와 이를 수용하려는 자세가 되어있으면 지식습득이 빠르며 내담자와의 공감대 형성도 별 무리없이 이루어 지는 경향이 많기에 다문화 수용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 PDF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반-억압 실천 (Anti-oppressive practice)의 적용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Anti-Oppressive Practice to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 양만재;김안나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247-278
    • /
    • 2018
  • 한국사회복지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서비스 전달정책과 실천에 그 관심의 폭을 확대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은 외국인 근로자들을 지원하는 현장 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강화에 역점을 두고 연구와 실천을 수행해왔다. '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론'은 외국인이주자들이 한국사회에 순응하고 적응을 돕는 실천론으로서의 강점이 있다. 그러나 문화 역량강화는 그들이 당하는 차별과 그들을 억압하는 한국문화와 제도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의 변화를 모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영국에서 사회복지실천개혁의 배경으로 발전된 사회구조 변화를 통해서 사회정의와 인권 가치를 실현하는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의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와 그들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인터뷰를 기초로 외국인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차별의 유형과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실천방법을 분석하고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이 외국인근로자에게 적용 가능한가에 대한 의견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