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헌정보학 전문직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Identity and a view to the futur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3-11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을 밝히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교과과정, 전통적인 도서관 대 가상도서관으로의 변화, 전통적인 기술 업무에서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의 변화, 그리고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기술과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서직의 가치는 인문학적이고 민주적인 것이었으며, 사람들의 지혜를 증진시키고 오락을 제공하며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지식과 삶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하는 문화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사서직 기능). 그런데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다양한 정보매체와 정보형태는, 적절한 정보를 적자(이용자)에게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정보검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창출을 위한 정보전달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정보전문직 기능). 현재 우리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함께 맞고 있다.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기록정보를 보전 전승하는 문화적인 기능이 강하고,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전달과 정보공유의 기능이 강하다.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사서직과 정보전문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에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규명은 필요한 연구이다.

디지털정보환경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Curriculum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 구본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3-108
    • /
    • 2000
  • 문헌정보학 교육은 실제적인 기술요소를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한다. 문헌정보학을 포함하여 전문직을 위한 어떤 종류의 교육이건 한 가지 필수적인 요소는 교육과정에서 실무를 준비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보환경과 기술 도입, 그 기술 도입이 도서관환경에 미친 영향 그리고 미국의 변화된 교육과정을 고찰하였고 교유과정의 이상적인 버전을 제시하였다.

  • PDF

지식경영의 패러다임과 정보전문직 문화 (Knowledge Management Paradigm and the Culture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 이소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3-124
    • /
    • 2000
  • 이 글은 사서직을 비롯한 정보전문직이 지식경영이라는 패러다임을 수용할 만큼 충분히 적극적인 문화를 갖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여졌다. 이를 위하여 권리나 의견을 주장하지 않는 정보전문직 문화의 특질을 문헌정보학 내외부의 문헌요약, 그리고 현직 사서들과의 면담결과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정보전문직 문화에 대한후속연구와 논의의 방향은 결론에서 제시되었다.

  • PDF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혁신 방안 연구 (A Study on Alternative Strategies for Archival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 김유승;박지영;박태연;손승희;윤은하;이민영;전보배;현문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40
    • /
    • 2021
  • 본 연구는 변화하는 기록관리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외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자격제도를 통해 시사점을 찾고, 우리나라 기록관리 전문직 자격제도와 비교 분석했다. 또한, 국내 기록관리학 대학원의 일반 현황과 교원의 연구실적을 분석하여, 상당수 교원들이 기록관리학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낮으며 학교별 격차가 상당한 점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연구자와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결론에 갈음하며, 본 연구는 기록공동체 거버넌스 체계 구성과 자율규제력 확보라는 선행과제를 제시하고, 대학원 교육 가이드라인 제정, 계속-심화교육체계 수립, 교육원의 발전적 전환을 3대 과제로 하는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혁신방안을 제안한다.

전문직 이론을 통해 본 사서직의 전문성 (Is the Librarianship in Korea a Profession\ulcorner)

  • 이제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7-87
    • /
    • 2003
  • 우리 사회에서 사서직은 과연 전문직인가\ulcorner 이 글의 논제이다. 이 글은 직업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전문직 이론에 기초하여 전문직의 제반 요건을 이해하는 작업에서부터 시작한다. 이어, 우리 사회구성원의 시각과 사서 자신들의 육성을 통해 사서직에 대한 대중적 인식을 점검한다. 나아가, 우리 사서직의 현단계를 전문직 이론에서 제시하는 요건에 비추어 보면서, 우리의 사서직이 안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사서직이 전문직의 대열에 합류하려면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정보기술분야에서의 정보전문직의 역할 및 요구조건 (The New Roles and Requirements of Information Specialist in the Area of IT)

  • 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7-182
    • /
    • 2002
  • 급격한 정보기술, 저작도구의 발전 및 새로운 형태의 자료에 대한 요구 등은 정보전문직인 사서의 업무와 역할에 있어서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도서관은 인쇄형태의 정보를 주로 처리하고 관리하였으나 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정보형식의 변화는 새로운 형식의 정보에 대한 유통과 관리 및 이용을 위한 전자도서관을 출현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전자도서관의 출현은 정보처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여 주고 있으며 다량의 정보 속에서 이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가져오고 있다. 이렇게 정보와 관련된 정보기술의 발전과 사회적인 새로운 요구들은 이들 정보의 처리와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전문가, 즉 사서를 양성하는 문헌정보학분야에 새로운 도전의 영역을 제공하는 한편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영역을 침범 당할 수 있는 양면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흐름과 함께, 정보전문직으로서 문헌정보학전공자들은 자신들의 위치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현재에도 많은 정보관련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재 문헌정보학전공자들이 전통적인 영역인 도서관이 아닌 새로운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현황, 역할 및 지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정보전문직으로 확고히 자리매김을 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자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사서직의 전문직 요건과 수행업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Professional Criteria and Works)

  • 엄영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9-17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직이 전문직으로 인식되지 못하는 이유와 개선방안, 그리고 사서들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와, 이들의 업무가 전문직의 특성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 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대구가톨릭대학교(구 효성여자대학교) 도서관학과를 졸업하고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서들에게 설문지를 보내서, 그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를 근거로 사서직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노력에 일조가 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접근 (Discussion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 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13-333
    • /
    • 2008
  • 한국 사서직의 전문직화의 목적을 사서직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확보로 파악하고, 이를 위한 논의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그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 논의의 특성을 기능주의, 봉사정신 및 이타성 강조, 및 개인성으로 파악하였고, 사서직 직무의 조직중심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배경으로 사서직화 논의를 위한 개념으로 전문적 지식, 서비스, 조직중심, 그리고 시장개념과 그들의 상호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의 제시가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에 대한 발전적 논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한국 사서직에 대하여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in Korea)

  • 김용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0
    • /
    • 2005
  • 이 연구는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찾으려고 시도되었다. 외형적으로는 사서직이 전문직으로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 오래 동안 논의되어 온 사서직 자격제도, 교육제도 등도 다시 고찰한다. 사서직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문헌정보학 연구와 사서들의 의지가 모이는 전문직 단체의 활동은 전문성 확보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논의한다.

  • PDF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분석 및 활용 방안 (Analysis and Utilization Plan of International Archivists' Competency Frameworks)

  • 전보배;설문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7-161
    • /
    • 2024
  • 전문직의 역량은 전문성을 입증하고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역량의 개념과 역량모델의 개발, 활용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를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량 체계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대상은 해외 기록전문가협회 등에서 개발한 기록전문직 역량체계 5가지로 선정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결과 기록전문직의 역량 체계는 크게 2가지로 활용되고 있었다. 첫 번째는 전문정의 입증을 위한 활용으로 기록전문가 협회 차원에서 공인전문가 등록을 위한 검증 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문성 강화를 위한 활용으로 전문직 개인의 자가 평가 및 전문 계속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연계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두 가지 활용 방안은 역량의 입증과 강화라는 역량 체계의 활용 목적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운영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