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해결 학습모델

Search Result 74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Jointly Learning Model using modified Latent Structural SVM (Latent Structural SVM을 확장한 결합 학습 모델)

  • Lee, Chang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3.10a
    • /
    • pp.70-73
    • /
    • 2013
  • 자연어처리에서는 많은 모듈들이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나, 이 경우 앞 단계의 오류가 뒷 단계에 누적되는 문제와 앞 단계에서 뒷 단계의 정보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이프라인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결합 학습 방법을 확장하여, 두 작업이 동시에 태깅된 학습 데이터뿐만 아니라 한 작업만 태깅된 학습데이터도 동시에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결합 학습 모델을 Latent Structural SVM을 확장하여 제안한다. 실험 결과, 기존의 한국어 띄어쓰기와 품사 태깅 결합 모델의 품사 태깅 성능이 96.99%였으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결합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한국어 띄어쓰기 학습데이터를 추가로 학습한 결과 품사 태깅 성능이 97.20%까지 향상 되었다.

  • PDF

Design of Moa Contents Cur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Incremental Learning Technology (점진적 학습 기반 모아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설계)

  • Lee, Jeong-won;Min, Byung-Won;Oh, Y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01-402
    • /
    • 2018
  •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해서 대용량 데이터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모리부족 문제, 학습소요시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용량 문서학습을 위한 동적학습 파이프라인 생성기술 중 빅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점진적 학습 모델" 기술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는 온라인상의 수많은 콘텐츠들 중 개인의 주관이나 관점에 따라 관련 콘텐츠들을 수집, 정리하고 편집하여 이용자와 관련이 있거나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 설계된 모아 큐레이션 서비스는 대용량의 문서를 학습함에 있어서 메모리 부족 문제, 학습 소요시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학습데이터의 용량 제한이 없는 문서를 자유롭게 학습하고 부분적인 자질추가/변경 시에 변경요소만을 추가 반영할 수 있는 범용적이고 일반적인 분류기의 구조설계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 PDF

Coreference Resolution Pipeline Model using Mention Boundaries and Mention Pairs in Dialogues (대화 데이터셋에서 멘션 경계와 멘션 쌍을 이용한 상호참조해결 파이프라인 모델)

  • Damrin Kim;Seongsik Park;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07-312
    • /
    • 2022
  • 상호참조해결은 주어진 문서에서 멘션을 추출하고 동일한 개체의 멘션들을 군집화하는 작업이다. 기존 상호참조해결 연구의 멘션탐지 단계에서 진행한 가지치기는 모델이 계산한 점수를 바탕으로 순위화하여 정해진 비율의 멘션만을 상호참조해결에 사용하기 때문에 잘못 예측된 멘션을 입력하거나 정답 멘션을 제거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멘션 탐지와 상호참조해결을 종단간 모델로 진행하여 학습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모델 복잡도가 높은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참조해결을 2단계 파이프라인 모델로 진행한다. 첫번째 멘션 탐지 단계에서 후보 단어 범위의 점수를 계산하여 멘션을 예측한다. 두번째 상호참조해결 단계에서는 멘션 탐지 단계에서 예측된 멘션을 그대로 이용해서 서로 상호참조 관계인 멘션 쌍을 예측한다. 실험 결과, 2단계 학습 방법을 통해 학습 시간을 단축하고 모델 복잡도를 축소하면서 종단간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유지하였다. 상호참조해결은 Light에서 68.27%, AMI에서 48.87%, Persuasion에서 69.06%, Switchboard에서 60.99%의 성능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Constructing the Model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View of Situated Learning (문제중심 학습의 모델 설정)

  • Shin, Hyun-Sung;Yun, Jae-Ueu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0 no.3
    • /
    • pp.401-413
    • /
    • 2007
  • This study was some part of the main program making better the lessons in the classroom in which those should focus on the creative and self-leading method.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reate the model of Problem Based Learning and investigate its efficiency For the purpose, those researchers tried to reform the Myers' PBL model through the pilot experiment and could get the Model of Korean School PBL appropriate to the our classroom situations. Thirty six students from the enriched class in the junior high school 3rd grades was involved in the experiment for 8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l problem solving test and attitude test. Specially, those students also showed that the ability to translate the variety of problem situations mathematically was so excellent and they also had their own technique to generate the understand of problem solving situations, but they aid not show the significant ability to pose the meaningful problem.

  • PDF

TOEIC Model Training Through Template-Based Fine-Tuning (템플릿 기반 미세조정을 통한 토익 모델 훈련)

  • Jeongwoo Lee;Hyeonseok Moon;Kinam Park;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24-328
    • /
    • 2022
  • 기계 독해란 주어진 문서를 이해하고 문서 내의 내용에 대한 질문에 답을 추론하는 연구 분야이며, 기계 독해 문제의 종류 중에는 여러 개의 선택지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선택하는 객관식 형태의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자연어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는 사전학습된 언어 모델을 미세조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학습 데이터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미세조정 방법으로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제한적이며 사전학습된 의미론적인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여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미세조정 방법에 템플릿을 적용한 템플릿 기반 미세조정 방법을 통해 사전학습된 의미론적인 정보를 더욱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객관식 형태의 기계 독해 문제 중 하나인 토익 문제에 대해 모델을 템플릿 기반 미세조정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템플릿이 모델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 PDF

Training Techniques for Data Bias Problem on Deep Learning Text Summarization (딥러닝 텍스트 요약 모델의 데이터 편향 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 기법)

  • Cho, Jun Hee;Oh, Ha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7
    • /
    • pp.949-955
    • /
    • 2022
  • Deep learning-based text summarization models are not free from datasets. For example, a summarization model trained with a news summarization dataset is not good at summarizing other types of texts such as internet posts and papers. In this study, we define this phenomenon as Data Bias Problem (DBP) and propose two training methods for solving it. The first is the 'proper nouns masking' that masks proper nouns. The second is the 'length variation' that randomly inflates or deflates the length of text. As a result, experiments show that our methods are efficient for solving DBP. In addition, we analy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nd presen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ur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1) We discovered DBP and defined it for the first time. (2) We proposed two efficient training methods and conducted actual experiments. (3) Our methods can be applied to all summarization models and are easy to implement, so highly practical.

A Study of Algorithmic Thinking-Based Problems for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에 관한 연구)

  • Kim, Il-Man;Hur, Ky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19-325
    • /
    • 2010
  • 현재의 컴퓨터 교육은 정보화 사회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 정보교과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소프트웨어 활용 중심의 내용을 대폭 축소하고 컴퓨터 과학의 원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력을 키우기 위하여 개정된 ICT 운영지침의 컴퓨터 과학 원리에 대한 교육 내용 분석을 통한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 모델을 초등 수학과에 접목시켜 다양한 학습 문제해결 실습을 통하여 알고리즘적 사고 신장의 적합성을 검증 하고자 한다.

  • PDF

Genetic Algorithm-Based Feature Selection Scheme for Short-Term Load Forecasting (단기 전력수요 예측을 위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특징 선택 기법)

  • Park, Sungwoo;Moon, Jihoon;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813-816
    • /
    • 2019
  • 최근 에너지 부족 문제 및 환경 문제의 해결수단으로 스마트 그리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를 위해서는 더욱 정확한 전력수요 예측이 필요하다.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 기반의 전력수요 예측 모델은 좋은 예측 성능을 보이지만 입력 변수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불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변수로 선정할 경우에는 모델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특징 선택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기존의 특징 선택 기법은 모델의 성능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적용 시 오히려 모델의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유전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특징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 알고리즘을 통해 각 모델에 맞는 최적의 입력 변수를 선택함으로써 빠른 학습 속도와 높은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다.

메타인지와 그의 지리교육 적용

  • 임덕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3-126
    • /
    • 2002
  • 교수-학습 방법 발전이 필요하다는 논리와 관련해서 선진국들의 교육 추세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첫째, 교육이라는 행위가 교사가 주도하는 교수(teaching, instruction)로부터 학생이 주도하는 학습 (learning)으로 바뀌어 가는 추세이고, 둘째, 학습에 있어서 자극-반응 모델에 기초한 반응에는 강조를 두지 않고 인지(cognition), 즉 지각과 사고를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며, 셋째, 따라서 학생이 학습을 제대로 해 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방략(strategy), 가령 구성적 방략이나, 비고츠키 모델 등이 개발되거나 원용되고 때로는 기존 방략들(탐구적 방법, 문제해결 방법 등)이 재 강조되면서, 그 방략들이 학생들에게 유효하도록 가르쳐 지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

The Effects of Field-Oriented Capacity Upgrade Model(FO-CUP): H University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임상중심 실무능력향상 교육모델(FO-CUP)의 융합적 효과성 연구: H대학 작업치료실습을 중심으로)

  • Kim, Keum-S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2
    • /
    • pp.193-200
    • /
    • 2020
  • This study proposes the Field Oriented Capacity Upgrade Program, an educational model for improving clinical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students was compared by comparing the proposed educational model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odel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 class, and conducted similar experimental studies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conducted a preliminary and follow-up survey of a total of 13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over three semesters. As a result of training using the proposed learning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y 22% and 1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and it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of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the ability required in various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