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제해결 과제

검색결과 1,071건 처리시간 0.027초

고등학교 수학 문제해결에서 CAS의 도구발생 (Instrumental Genesis of Computer Algebra System(CA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 한세호;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527-546
    • /
    • 2009
  • 본 연구는 CAS가 도입된 이후의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대비하여 고등학교 수학활동에서 CAS의 도구발생 과정을 통찰하고, 중등수학교육에서 도구화된 CAS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CAS에 기반 한 개념중심 수학과제 학습과 문제해결을 각각 고안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생 7명을 대상으로 총 12차시의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녹화자료와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CAS를 이용하여 수준 높은 응용문제를 다룰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CAS가 교육과정 내용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 도구화된 CAS에 기반 한 무리방정식 문제해결활동을 통해 CAS가 교육과정의 제시 순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교육에서 CAS의 도구발생을 분석하여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CAS가 도입된 이후의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대비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 PDF

중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o Measur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박인숙;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0-23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먼저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3차원 평가 틀(과학내용, 과학 탐구 기능, 사고력)을 개발하였으며, 이 평가 틀에 맞추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현장 과학 교사들의 검토를 거쳐 예비 검사에 투입할 3과제로 구성된 4개 문항을 확정하였고,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문항의 구체적인 채점 기준과 배점을 결정하였다. 완성된 최종 검사 도구는 내용 및 평가 기준에 대한 과학 교육 전문가와 현장 교사들의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중학교 1, 2, 3학년 320명에게 투입되었으며,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받았다. 채점 결과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틀과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교 급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준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평가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사의 수업반성이 수학 수업에 주는 영향 -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수준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eachers' Reflection For Mathematics Classroom Instruction - Focused on the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

  • 이은영;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55-17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수준에 대한 교사의 수업반성이 수학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초등 교사의 수학 수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수업에서 과제 설정과 과제 실행단계 동안,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수준의 변화와 변화에 영향을 준 교실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수업반성을 거쳐 실시한 수학 수업에서 과제 설정과 과제 실행 단계동안,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수준의 변화 양상 및 변화에 영향을 준 교실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수준이 쇠퇴했던 수학 수업이 수업반성을 통해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수준이 높게 유지하는 수학 수업으로 변화하였다.

일반화된 지수귀문도의 해를 구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nding solutions to generalized Jisuguimundo(hexagonal tortoise problem))

  • 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61-275
    • /
    • 2011
  • 최석정의 지수귀문도는 비교적 최근에 재조명되기 시작했고, 그동안 지수귀문도의 해를 구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88~92 그리고 94~98의 마법수에 한정해서 H-교호법을 사용하여 지수귀문도의 해를 구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n{\times}n$ 지수귀문도를 정의하고, H-교호법을 사용하여 $n{\times}n$ 지수귀문도에서 분할 $({\upsilon}+1)+{\upsilon}+({\upsilon}+1)$과 그것의 여분할 ${\upsilon}+({\upsilon}+1)+{\upsilon}$에 대해, 분할 $({\upsilon}+1)+({\upsilon}-1)+({\upsilon}+1)$과 그것의 여분할 $({\upsilon}-1)+({\upsilon}+1)+({\upsilon}-1)$에 대해, 분할 $({\upsilon}+1)+({\upsilon}+2)+({\upsilon}+1)$과 그것의 여분할 $({\upsilon}+2)+({\upsilon}+1)+({\upsilon}+2)$에 대해, 분할 $({\upsilon}+1)+({\upsilon}+3)+({\upsilon}+1)$과 그것의 여분할 $({\upsilon}+3)+({\upsilon}+1)+({\upsilon}+3)$에 대해 일반화된 지수귀문도의 해를 항상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일반화된 지수귀문도의 해를 구하는 것을 중등수학교육과 중등 영재수학교육에서 문제해결의 과제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 PDF

SMS를 활용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사소통 실태 및 과제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using SMS)

  • 차경수;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0-68
    • /
    • 2009
  •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학부모는 교사와의 의사소통에서 시간 공간적으로 자유롭지 못하며, 교사도 학급당 많은 인원수와 업무과중 등으로 학부모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SMS를 활용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사소통 실태를 분석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알아보았다. SMS 활용 실태에서 아동에 대한 정보 교류 및 교육 활동을 위해 SMS가 필요하다는 대답이 높았으며, 교사는 아동에 대한 교육 정보 교류를, 학부모는 생활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담임에 대한 부담 해결, 담임과의 친숙함 형성, SMS 무반응 이유 탐색 및 대처 방안 마련, 학부모 요구에 맞는 정보 제공하기, 학부모의 답장률 높이기, 문자 용량 확대, 컴퓨터 온라인 접속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파악되었다.

  • PDF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잔량을 고려한 새 떼의 행동양식 기반 혼잡제어 (Energy-aware Congestion Control in WSNs based on Bird Flocking Behavior)

  • 정순교;염상길;김동수;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7-178
    • /
    • 2014
  •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혼잡제어 방식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방식과는 다르게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다. 문제 해결에 사용할수 있는 자원이 한정적이며, 중앙에서 혼잡 제어를 할 경우 지나친 통신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Swarm Intelligence)의 일종인 새 떼의 행동양식을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한 혼잡제어 기법을 살펴보고, 기존 기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논문을 통해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새 떼의 간단한 행동양식을 적용함으로써 강인하고 확장 가능하며 자가 적응이 가능한 혼잡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집단지성이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 과제의 해결 도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협력학습을 위한 협력지식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Collaborative Learning)

  • 한희섭;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5-123
    • /
    • 2007
  • 협력지식은 협력과정에서 협력그룹에 의해 계속 생성되고 수정되면서 변화하는 지식으로서 그룹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원들에 의해 표출된 지식이다. 이러한 협력지식은 협력그룹 내에서 신뢰적인 환경이 조성될 때 효과적으로 구축되어지는 것을 위키피디어를 통하여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 속에서 쌓이는 협력지식은 그 공간이 넓어지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효율적 사고지원이 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지식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협력지식관리 시스템은 위키 기반의 시스템으로서 개념공간의 탐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협력그룹 내에서 사고의 수렴을 지원하기 위한 지식 맵이 있으며, 이들의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인증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hentication Technology of Cloud Service Broker)

  • 이대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1-323
    • /
    • 2016
  • 현재 클라우드 시스템은 사업자가 각자의 방식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함에 따라 클라우드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이 떨어져 호환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Google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MS(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SB(Cloud Service Broker) 기술이 등장하여 클라우드 시스템간의 상호 호환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종 분산 클라우드 환경의 서비스 중재 기술로 등장하고 있는 CSB(Cloud Service Broker) 기술 중에서 클라우드 사용자의 상호운용성의 근본적인 해결 과제인 인증 시스템에 관해 연구한다.

  • PDF

스마트폰에 의한 집중력 관련 뇌파성분의 분석 (Analysis of Concentration-Related EEG Component Due to Smartphone)

  • 장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17-722
    • /
    • 2016
  • 본 논문은 집중력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정으로서 뇌파의 변화를 관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에서는 뇌파 실험의 피험자들에게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는데, 첫 번째 과제는 스마트폰으로 일정시간동안 게임을 하도록 한 후 단어를 암기하는 것이고, 두 번째 과제는 종이책을 읽은 후 단어를 암기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험자의 과제 수행 중에 발생하는 뇌파를 집중력과 관련된 성분인 SMR파와 중간 베타파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실세계 상황에서 수학적 모델링 과제설정 효과 (The Effects of Tasks Setting for Mathematical Modelling in the Complex Real Situation)

  • 신현성;이명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23-442
    • /
    • 2011
  • 연구의 목적은 ICME(2008,Mexico) 모델링 TSG21에서 논의한 모델일의 두 과제 설정 MMa, MeA이 학교수학에 효율적으로 적용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실험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발견했는데, 첫째는 MMa집단이 통제집단 IPS에 모델링 문항에서 성취도에 우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정보처리 문항에서도 좋은 성취수준을 보였다. 다시 말하면 모델링 MMa, MeA 교육이 가능하게 현행 학교 문제 해결 또는 개념 학습에 포함이 되고 더욱 발전 되는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둘째는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생성한 모델링 처음 3단계 상황분석, 수학질문 구성, 모델설정에서 독특한 발견전략을 사용하였고 후반 2단계에서도 전통적 IPS 문제해결과 좋은 연결성을 보였다. 또, 실험집단 MMa, MeA 학생들이 개념적 시스템의 구성과정을 잘 이해했으며 Lesh & Sriraman(2005a, 2005b)의 개념적 시스템의 구성을 뒷받침 해 주었다. 셋째는 과제설정 MMa, MeA 간에 모델링의 사고행동인 수학적 상황 센스를 만들기(S), 창조하기(C), 확장하기(E), 재정의하기(RF)가 교실에서 활발하게 일어났다는 점이다. 따라서 Pollak등이 제언한 모델링 활동은 현행 IPS 활동과 의미 있게 교류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