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해결 과제

Search Result 1,07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using Advance Programming Assignment (사전 과제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수 학습 모델 설계)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27-328
    • /
    • 2016
  •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지식 교육부분과 문제해결능력과 연관된 프로그래밍 전략을 교육하는 부분이 함께 필요하다. 프로그램 작성 기술을 교육하는 과정은 단순한 지식 습득과정이 아니므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유도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의 프로그래밍 수업의 대표적인 수업방식은 실습방식으로,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서로 다른 수준을 고려하면서 실습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에는 수업시간에 대한 제약이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사전 프로그래밍 과제를 활용하여 주어진 학점과 시간 안에서 실습 중심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 학습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한된 실습수업 시간으로 인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업을 실시하는데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여, 학습자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좋은 프로그램 작성 기준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배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중공업 분야의 소음.진동 문제해결과 연구개발

  • 정균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19-32
    • /
    • 1997
  • 소음진동의 문제해결과 연구개발은 산업현장에서 소음 진동 공학자들이 담당하여할 과제로서 별개의 과제로 양립하는 동시에 상호보완되어야 할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문제는 해결 즉시 해결과정의 정식화 및 해석이 수행되어야 차후 유사한 문제 발생시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배양된다. 제어장치나 해석 S/W는 중공업 분야의 다양한 생산 제품에 적절히 이용하기 위해 기존 도구의 응용보다 자체개발을 지향하여야 한다. 개발과정에서 부수적으로 계측 및 해석기술이 향상되며 축적된 기술은 현장문제 해결시 귀중한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마치 처음 단순 해석, 계측 단계에서 실험, 개발로 발전한 후 다시 복잡한 해석, 계측, 실험 및 개발에 이르는 단계적 발전 방향과도 같다고 생각된다.

  • PDF

Analysis on Cognitive Strategies of Scientific Predicting according to 6th Graders' Predicting Skills Based on Eye Movement (초등학교 6학년들의 예상 능력에 따른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 Kim, Yeram;Shin, Dongho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33 no.4
    • /
    • pp.751-76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그룹 A와 그룹 C의 안구운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A는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읽고 문제의 주요어에 집중했으며, 단서들을 비교하고 경향성을 찾고 답을 재확인하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룹 C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긴 시간이 걸렸으며, 주요어와 단서를 찾지 못하고, 무의미한 짧고 빠른 도약 안구 운동을 보였다. 둘째, 그룹 A와 C의 안구 운동의 고정, 도약, 시선 경로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안구 운동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안구운동 분석결과를 토대로 참가자들의 인지 전략을 유동전략과 고착전략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은 교사들이 과학적 예상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예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High School Students' Reasoning Characteristics in Problem Solving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 Kang, Yun Soo;Kim, Min Ju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6 no.1
    • /
    • pp.241-26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reasoning characteristics in problem solving. To do this, we selected five high school students as participants and presented them some open problems which allow diverse solving approaches, and recorded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analyzing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 relate to their solution,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students quickly try to calculate without understanding the given problem. Second, students concern whether their solution is right or not rather than consider mathematical warrants for the results of their strategies. Third, students have difficulties to consider more than two conditions at the same time necessary to solve problem. Forth, students are not familiar to use precedence knowledge relate to given tasks. Fifth, students could have difficulties in problem solving because of easy generalization.

  • PDF

제11회 KITAL 국제심포지움- 게임산업의 법적, 정책적 과제와 해결방안 논의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7 s.134
    • /
    • pp.86-87
    • /
    • 2004
  • 게임산업이 고도화되면서 기존 법적 해석만으로는 명확하게 매듭짓기 어려운 문제들이 속출하고 있다. 필요한 정책적 과제도 더욱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러한 게임산업의 법적, 정책적 과제와 해결방안을 짚어보기 위한 국제 심포지엄이 마련됐다. 지난달 15일 열린‘제11회 KITAL 정기 국제심포지엄-게임산업의 법, 정책적 과제’의 주요 발표내용을 요약했다

  • PDF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 Self-leadership and Locus of Control in the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공대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유형별 셀프리더십과 통제소재)

  • Ahn, Jeong-Ho;Lim, Jee-You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4
    • /
    • pp.122-12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elf-leadership strategies and locus of control between the problem-solving styles in the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tyl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three dimensions.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s indicated the main effects of problem-solving styles; each problem-solving style had uniqu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self-leadership strategies and locus of control. There were neither main effects of sex nor interaction effects of problem-solving styles and sex. It would be useful to provide the engineering students with the specialized self-leadership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problem-solving styles.

  • PDF

A Review on the Studies of the Societal Challeng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사회문제 해결과 과학기술혁신' 연구의 현황과 과제)

  • Song, Wichi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5 no.4
    • /
    • pp.17-45
    • /
    • 2017
  • This article reviews studies on the societal challeng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s is a relatively recent topic of Innovation Studies. Socially-oriented innovations and policies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goals, innovation processes, and ecosystems when compared with industrial innov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ing research that discusses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from the viewpoint of solving societal problems and discusse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major research issu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in societal problem solving, innovation governance, roles and ecosystem of innovators, and relationship between societal problem solving policies and other policies.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for Identification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Peer Recommendation (또래추천을 통한 초등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가능성 탐색)

  • An, Hyun-Joo;Yoo, Mi-Hyu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4
    • /
    • pp.577-59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eer recommendation and to provide a diverse perspectives identifying for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5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eithe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from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16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eithe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from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16 teachers who were home-room teachers for students surveyed.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reative personality, achievement motivation,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ask preference inventory between students recommended by peer and students not recommended by pe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recommended by peer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creative personality, achievement motivation,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ask preference than the student not recommended by peer. Second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udents recommended by peer and students not recommended by peer for each grad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est than other graders. Fourth grad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every sections in the test, except for the section of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the peer recommand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fifth, and sixth graders. Thirdly, the student recommended by both teacher and pe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ask preference scores than the student recommended only by teacher. Therefore, peer recommendation method can be an useful data for complementing teacher recommendation and it can identif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pectives and Challenges of Computing Educat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터 교육의 전망과 과제: 계산적 사고 및 협력적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적 접근)

  • Lee, E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03-20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집약적인 현대와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컴퓨터 교육의 목표를 계산적 사고 및 이를 바탕으로 한 협력적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으로 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교육의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계산적 사고 향상을 위한 컴퓨터 교육은 컴퓨터과학을 전공하는 학습자 뿐 아니라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초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개선 및 계산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간학문적 융합 학습 활동의 설계 및 평가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여학생, 특수교육대상 학생과 같은 정보 소외 계층 학습자들의 컴퓨터과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조장하고 협력적 문제 해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 환경을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예술과 컴퓨터과학의 융합 교육 활동인 E-Textiles 프로젝트의 특성과 연구 동향, 국내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middle school classes utilizing the math learning application 'Sussam' (수학학습 애플리케이션 '수쌤'을 활용한 중학교 수업 사례 연구)

  • Jieun Yuk;Nan Huh;Hokyoung Ko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3 no.2
    • /
    • pp.273-294
    • /
    • 2024
  • Recently, interest in Edu-Tech, which applies new technologies to the educational field, is growing. Edu-Tech is now being naturally used in schools, allow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adapt to these changes. Particularly, there's significant attention on using Edu-Tech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through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task management by students for supplementary learning. It developed and utilized a math learning platform that enables teachers to easily provide and manage necessary tasks for students. Initially, the study developed "Sussam-MathTeacher" a problem-based learning appli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imed at enhancing problem-solving abilities. This platform operates as a task management system, allowing teachers to assign or recommend problems to either the entire class or individual students. It aims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a process that includes presenting necessary tasks, monitoring their own progress in solving problems, and self-assessing growth. Through this study, students demonstrated improved problem-solving skills by tackling tasks suited to their levels using "Sussam" highlighting the critical role of teachers in the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