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적 결과

Search Result 21,802,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Prediction of Unsatisfied Customers Using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이용한 불만족 고객의 예측)

  • Oh, Se-Chang;Choi, Mi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6.04a
    • /
    • pp.667-670
    • /
    • 2016
  • 많은 기계학습 문제에서 특정 선택 문제는 전체적인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는 불만족 고객의 식별 문제와 같이 수 많은 특징을 사용하는 문제에서 더욱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특징을 찾고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한 몇 가지 대표적인 방법들을 불만족 고객의 식별 문제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먼저 정보 획득량 지표로 의미 있는 특징들을 선별하고, PCA를 사용해서 남아있는 중복성을 줄이는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최적해 탐색 문제이 효율적인 해결을 위한 유전 알고리즘의 집중화 집단과 다각화 집단의 분리

  • Park, Tae-Jin;Ryu, Gw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83-487
    • /
    • 2005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최적화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유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유전 알고리즘의 가장 큰 특징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2개의 집단을 가지고 진화를 수행한다는 점이다. 하나의 집단은 일반적인 유전 알고리즘의 그것과 비슷하지만, 좋은 영역의 탐색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며 다른 하나의 집단은 이러한 좋은 영역에의 집중 시 나타날 수 있는 조기 수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탐색을 다각화 하는 방향으로 진화한다. 몇 가지 최적화 문제에 대한 실험 결과 이러한 특성이 다른 2개 집단에 의한 진화 방법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cording to the Tasks with Different Degrees of Structure by the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과제 구조화 정도에 따른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문제제기 비교분석)

  • Lee, Hyeyoung;Park, Mango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2 no.3
    • /
    • pp.309-33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ssibility of a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bility by presenting problem posing tasks with different degrees 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udy of Stoyanova and Ellerton(1996).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rection of gifted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o increase mathematical creativit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bility is likely to be a factor i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problem posing activities in educa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iginal problems. Although there are many criteria that distinguish between gifted and ordinary students, it is most desirable to utilize the measurement of fluency through the well-structured problem posing tasks in terms of efficienc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Jo Seokhee et al. (2007). It is possible to obtain fairly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fluency.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the problem with depth of solving steps of 3 or more is likely to be a unique problem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reate multi-steps problems when teaching creative problem posing activities for the gifted. This implies that using multi-steps problems is an alternative method to identify gifted elementary students.

  • PDF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So Hyun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 /
    • v.18 no.2
    • /
    • pp.117-12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03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deycare center in Seoul and Gyonggido.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K-CBCL'.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mother's depression, rejective and control parenting behavior. An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mother's affectionate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Also, the mother's depression was the predicted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relative effect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ejective parenting behavior that is subordinate factor of parenting behavior was additional predictor of stress.

구성주의 유아과학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김연옥;이영환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2
    • /
    • pp.19-4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유아과학프로그램을 만 5세의 유아에게 일정기간 동안 경험하게 한 다음 그러한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39명을 대상으로 구성주의 유아과학프로그램이 창이성과 문제해결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본 구성주의 유아과학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들은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과학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들보다 창의성, 과학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모두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성주의 유아과학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보다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행과제와 구체적 평가기준안 개발

  • Jo, Won-Ju;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349-370
    • /
    • 2001
  • 21C 사회는 실생활의 많은 현상들과 문제들을 수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21C가 요구하는 수학교육의 역할도 실생활에서 접하는 현상 또는 문제들의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여 해를 구하고, 그 결과를 실생활에 비추어 해석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그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이 수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중학교 수학 교육의 중심 제재인 함수의 지도에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1. 일선 수학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으며 그 활용가치와 활용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가?', '2. 중학교 함수 영역의 수학적 모델링 수행 과제와 그에 따른 구체적 평가 기준안을 개발한다.’로 설정하고,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임의로 선택된 서울과 경기도의 현직 수학교사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문결과에서 얻은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함수 영역의 수학적 모델링 수행과제와 구체적인 평가 기준안을 개발한 후, 개발된 과제와 평가 기준안은 현직교사 3인의 자문을 얻어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PDF

뇌 기능 분화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연구

  • Lee, Gang-Seop;Hwang, Dong-Ju;Hong, Ji-Chang;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01-715
    • /
    • 2002
  • 창의성과 지능, 뇌 기능 분화의 관계와 수학 창의성과 지능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뇌 기능 분화와 수학 창의성,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의 관계를 규명은 미흡한 상태이고, Balka(1974)의 연구에서는 수학 창의성과 일반 창의성은 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생각할 때 뇌 기능 분화와 창의성간의 상관관계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가 수학 창의성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남녀에 따른 뇌기능 분화의 차이와 좌뇌, 우뇌와 전뇌의 수행 수준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구광역시 내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의 40명을 대상으로 뇌 기능 분화 검사,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서로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뇌의 기능 분화 발달은 좌뇌는 남자가 우뇌는 여자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고, 전뇌 집단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가장 높았으므로 전뇌를 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들이 계속 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m-Based Learning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Jin, Young-Hun;Son, Jeong-Woo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3
    • /
    • pp.703-718
    • /
    • 2011
  • Team-Based Learn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gifted education, because that improve decision making, coordin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shapely team activity. So, when a program that founded on Team-Based Learning applied to gifted students, investigated the improved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eveloped programs consisted of total 10 times and were conducted the lesson for 13student (male 3, female 10) of 4, 5th grade gifted students class in S elementary school, Sancheong-gun. The improved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elected as the self-checking tool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Due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nonparametric test has done with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it showed significantly improvements in significance level of 5%.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ield of divergent thinking, critical logical thinking. Therefore, the programs based on Team-Based Learning are effective for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they will be used widely in the classroom to requir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f gifted students.

Analysis on Analogical Transfer between Mathematical Isomorphic Problems with Different Level of Structuredness (구조화 정도가 다른 수학적 동형 문제 사이의 유추적 전이 분석)

  • Sung, Chang-Geun;Park, Sung-S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59-75
    • /
    • 2012
  • This study aims to find whether the solutions for well-structured problems learned in school can be transferred to the moderately-structured problem and ill-structured problem. For thes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atterns of changes in strategies used in solving the mathematics problems with different level of structuredness? Second, From the group using and not using proportion algorithm strategy in solving moderately-structured problem and ill-structured problem, what features were observed when they were solving that problems? Followings ar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for the lower level of structuredness, the frequency of using multiplicative strategy was increased and frequency of proportion algorithm strategy use was decreased. Second, the students who used multiplicative strategies and proportion algorithm strategies to solve 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 exhibited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concept of ratio and proportion.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provided new direction for transfer and analogical problem solving study in mathematics education.

A Case Study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예비수학교사 교육에서 수학적 문제제기 수업 사례)

  • Han, Hye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1
    • /
    • pp.63-89
    • /
    • 2018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a course integrat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carry out problem posing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examined the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bout problem posing through the course. The problem posing course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stages: education on the theories regarding problem posing; activities with problem posing;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 posing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class journals data analysis, the problem posing experiences provided in this study wer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posing strategies and the benefit of problem posing activities to student learning. Particularly, the experience in various problem posing activities and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problem posing provided in the course played a key role in the improve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problem posing and P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