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과 대학생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dy imag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NS use time of college students)

  • 신민정;편하형;김현정;문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57-264
    • /
    • 2019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학생 144명에게 SNS 사용시간,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고자 t-test와 ANOVA로 파악하였고, 사후 검정은 Duncan's multiple test로 확인하였다.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파악하였다. 대상자 144명 중 남자는 55명(38.2%), 여자는 89명(61.8%), SNS 사용 시간 여자 2.2시간, 남자1.9시간이었다. SNS 사용 시간과 대인관계 유의한 상관관계 양적 상관을 보였는데(p<.014)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감과 높은 수준의 양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신체상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와 신체상 간의 관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3).

노인고독사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과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돌봄 활동 연계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nkage plan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donation bank caring activities with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or the prevention of lonely death in the elderly)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1-16
    • /
    • 2021
  • 최근 노인복지관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역시 고독사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지역사회 노인돌봄 관련의 종합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문제는 지속가능하면서, 비전문이 아닌 훈련받은 준전문에 준하는, 자원봉사자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인력의 지속적 보충 및 전문화를 기반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의 주요한 자원으로 연계 됨을 목적으로, 실제 이를 적용해 봄으로서, 지역사회 내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자원봉사자 활동이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트레스 유형 연구 (Types of Stres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for Nursing Students)

  • 김순애;이혜진;이송현;홍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37-24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문헌고찰과 인터뷰를 통해 57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Q 카드는 13점 만점으로 40명의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분포형태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C QUANL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경험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 I은 교과과정 부담형, 유형 II는 경제자립 목표형, 유형 III은 아웃사이더 좌절형, 유형 IV는 성장 정체형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대상자의 유형에 따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어능력이 대학생들의 영어능숙도와 영작문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llocational competence on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writing abilities)

  • 김윤정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189-20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use of English collocations in their relation to Korean college students' general English proficiency and writing abilities. Participants in the present study were 203 Korean college students. Their knowledge and use of English collocations were measured by a self-designed collocation test and an essay writing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knowledge of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ir general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performance in the collocation test increased as their level of proficiency increase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knowledge of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ir writing abilities. Student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he collocation test as their level of writing abilities increase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use of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ir writing abilities. Students' collocation use in the writing test increased as their level of writing abilities increased. Fourth,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knowledge of collocations and their general English proficiency and between the students' use of collocations and their writing abilities.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 PDF

커피음용행동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개념도 분석 (Concept Mapping Analysis on the Meaning of Coffee-Drinking Behavior)

  • 오보영;이상희
    • 감성과학
    • /
    • 제19권4호
    • /
    • pp.55-70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를 마시는 대학생들이 커피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명을 연구 참가자로 선정하여 커피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69개의 진술문을 도출해냈다. 이후 다차원 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개념도분석을 실시하여 참가자들의 개념적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커피 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한 구성 요인으로 7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각 군집은 '개인이 원하는 신체적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 '사교 활동의 수단', '심리적 위안을 얻기 위한 방법', '공간 활용 및 사적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음용', '습관적 음용 및 카페인의 효과 이용', '커피만의 다양한 특성과 매력을 즐김', '커피의 도시적이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선호'로 나타났다. 또한 각 군집을 분류하는 두 가지 차원을 알아본 결과, 커피 내적고려-커피 외적고려 차원과 정서적 요인-물리적 요인의 두 차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군집별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이 커피음용의 행동의 의미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공간 활용 및 사적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음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일부 대학생의 흡연 실태와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 및 행태 조사연구 (Research on the Smoking Condi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Behavior and Awareness of Oral Hygiene)

  • 문선정;김한나;구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58-266
    • /
    • 2012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행태와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반 갑 미만이, 흡연기간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흡연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호기심과 주변 권유가 가장 높았고, 흡연이유는 스트레스 해소, 습관적 순으로 나타났다. 2.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중 1회 잇솔질 시간, 정기적 치과 내원, 최근 치과 내원시기, 치과 방문 목적, 스켈링 및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중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흡연유무에 따른 흡연에 대한 인식 중 담배, 한 두 개피 정도의 담배, 식후의 담배 및 간접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대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실무현장의 효과적 환경을 위한 간호리더자의 역할유형분석 (The role type analysis of nursing leader for effective environment at the practice field that nursing students recognize - Q methodology -)

  • 심인옥;송건우;이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01-7811
    • /
    • 2015
  • 간호 대학생은 임상실습기간동안 실무현장에서 다양한 학습을 하게 되며 특히 간호 리더자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실습 과정에서 경험한 효과적 실무환경을 위해 간호리더자의 역할에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방법은 간호 대학생이 심층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Q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간호대학생으로 실습 경험이 있는 자로 30명으로 구성하였고, Q표본은 간호리더자의 역할유형과 관련된 문헌,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과의 인터뷰를 통해 최종 표본을 36개의 진술문으로 구성 하였으며, QUANL PC프로그램으로 주요인을 분석하여 관련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로 간호학생들이 인식하는 간호리더자의 역할유형은 4개의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제1유형은 "정의와 냉철함 유지형", 제2유형은 "동기부여를 위한 환경조성 형", 제3유형은 "인격존중 및 능력신장형", 제4유형은 "신뢰성을 통한 인간관계 중심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간호학생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실무현장의 효과적 환경을 위해 간호 리더자의 역할을 파악하여 추후 실무 환경을 위해 리더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이를 개선하는데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학생들의 전통시장 먹거리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Food)

  • 김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77-284
    • /
    • 2018
  •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먹거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관하여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되는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전통시장활성화를 위해 젊은층을 겨냥하여 다양한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통시장의 먹거리에 대한 인식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젊은층이 지속적인 방문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진술문 카드를 작성하여 P샘플을 선정하고 분류작업을 거치는 Q-sort를 PC QUAN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N= 21):추억추구형, 제 2유형(N= 6):지역문화자원추구형, 제 3유형(N= 5):지역성추구형으로 요인명을 설정하였다. 각 유형마다 서로 다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각각의 주관적인 인식은 추후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할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분류된 3가지 유형에 따른 각 각의 마케팅 전략수립을 통해 전통시장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물리적으로 낙후 되어있는 전통시장의 먹거리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여 지역 관광자원으로써의 가치 있는 다양한 먹거리를 개발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문과대학 학생들의 전공독서 실태 분석 연구: A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ading of Major Subject Books by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a University)

  • 이종문;주용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49-165
    • /
    • 2016
  • 본 연구는 A대학교 문과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독서역량과 전공독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문과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 학생 457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과별 독서역량에 집단 간 어휘력과 독해력, 속독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공독서 실태에서는 전체 학과에서 독서를 하지 않는 학생이 66.9%에 달하고, 그 이유가 교재만으로 수업과 과제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67.7%)이 많았다. 셋째 전체 전공독서량을 조사한 결과 82.1%가 15권미만이고, 11.3%가 1권 미만으로 나타났다. 일주일간의 전공독서시간이 5시간미만 68.9%, 10시간미만 13.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독서역량 학과 간 편차, 전공독서 여부 및 독서량, 시간 등)를 토대로, 전공독서의 양과 질을 넓혀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언한다.

웹기반 피드백 유형이 대학생들의 영작문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b-based feedback types o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ies and attitudes)

  • 전재영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1호
    • /
    • pp.179-20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teacher feedback (TF) group and the peer feedback (PF) group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nglish writing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wri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eighty-three college first-year students enrolled in a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 The subjects' first and final writing samples are used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abilities and a set of pretest and posttest questionnaires is administered in order to find their attitude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data collected sho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wo group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holistic scores. Neither do the two groups display any significantly different development in their analytic scores. Second, the two group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factors but writing confid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er feedback can be used to encourage EFL college students to develop their writing ab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