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절개 수술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9초

폭이 좁은 치조골에서 컴퓨터가이드를 이용한 무절개 임플란트 수술로 식립한 narrow implant의 방사선학적 평가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bone level alteration around narrow implants placed in narrow alveolar ridge using guided flapless surgery)

  • 정승미;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06-312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폭이 좁은 치조골을 가진 환자에서 컴퓨터가이드를 이용한 무절개 임플란트 수술로 narrow implant 식립 후 최소 6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주변의 골소실 예후를 평가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6월 30일 사이에 내원한 환자 중 임플란트 순측을 덮고 있는 치조골의 두께가 0.5 mm에서 1.5 mm 사이인 12명의 환자(12개 narrow implant)에서 CBCT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순측에 남아 있는 치조골을 평가하였다. 결과: 임플란트를 덮고있는 순측 치조골의 폭이 아주 얇았지만, 수술 즉시 임시보철물을 장착후 6개월 이상 지난 임플란트의 CBCT를 촬영하여 식립전과 식립후 치조골 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임플란트의 순측 치조골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이 관찰되었다. 결론: 컴퓨터가이드를 이용한 무절개 임플란트 수술은 전치부에 골폭이 좁은 치조골을 가진 환자에서 임플란트 주변의 골소실을 방지하는데 유리함으로 narrow implant와 함께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수술 증 절개창 보호 방법이 수술 후 절개창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erative Wound Protection on Surgical Wound Complications)

  • 임진홍;김성수;최원혁;오성진;형우진;최승호;노성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48-253
    • /
    • 2007
  • 목적: 수술 절개창 합병증은 의료진 및 환자에게 많은 노력과 비용을 발생 시킨다. 수술 절개창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중 하나로 수술 시 절개창 보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주로 절개창 감염에 국한된 연구였기 때문에 절개창 보호 방법이 절개창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 절제술을 시행받은 295예의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6년 5월부터 2006년 9월까지로 하였다. 수술 전 성별, 나이, body mass index, 음주 및 흡연력, ASA 분류를 조사한 후 환자의 동의를 얻어 무작위로 절개창 보호 방법을 결정하였다. 수술중 절개창을 보호를 하지 않은 비보호군(137명)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보호막으로 절개창을 보호하는 보호군(432명)으로 분류하였으며, 발생한 합병증과 합병증 치료 기간을 조사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절개창을 보호하지 않은 비보호군과 절개창을 보호한 보호군 간에 환자의 기본 인자 및 수술 관련인자의 차이는 없었다. 전체 절개창 합병증은 비보호군에서는 42예, 보호군에서는 12예가 발생하여 통계학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장액종은 비보호군에서 29예, 보호군에서 6예(P=0.001), 감염은 비보호군에서 13예, 보호군에서 4예(p=0.030), 열개는 비보호군에서 6예와 보호군에서 2예(P=0.282)가 발생하였다. 재원기간은 절개창 비보호군에서 $12.3{\pm}9.7$일, 절개창 보호군에서 $10.3{\pm}5.4$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0).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폴리에틸렌 보호막을 이용해 절개창을 보호하였을 때 전체 절개창 합병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술 중 보호막을 이용하여 절개창을 보호하여 절개창 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불필요한 치료 기간의 연장을 줄일 수 있다.

  • PDF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을 전용한 "All-on-4" 개념의 임플란트 보철 증례 (Application of digital implant system on implant treatment with "all-on-4" concept)

  • 김용준;정승미;김경희;방정환;김대환;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8-94
    • /
    • 2018
  • 최근 치과치료의 영역에서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은 그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다. 디지털 장비들의 기술적 발전에 힘입어 한계점들이 하나 둘씩 극복되었다. 초기 단일치아 수복 정도에나 사용되었던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은 임플란트 수술에서부터 보철물 제작까지 무치악의 영역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50세의 하악 무치악 환자가 임플란트를 이용한 교합 재건을 원하였다. 하악의 임플란트 수복을 위해서 "All-on-4" 개념의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 사용을 계획하였고, 무절개 수술을 위한 가이드 장치를 제작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전악 보철을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전체 치료 과정에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인상채득, 납형 제작, 주조 등)을 가능한 배제하고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공과정 및 임상과정을 최소화하기로 계획하였고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양악 무치악 환자에서 NobelGuideTM 시스템을 이용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수복 (Fixed Prosthetic Restoration in an Edentulous Patient with NobelGuideTM System)

  • 신형주;김대곤;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3호
    • /
    • pp.243-253
    • /
    • 2009
  • 임플란트 술식에서 방사선 영상 기술,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정확한 진단 및 surgical guide의 제작이 가능해졌다. 본 증례는 양악 무치악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을 위해 CAD/CAM technique을 이용하여 수술을 하고 즉시 하중을 가한 증례이다. Planning software program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구조물과 단면상을 고려하여 상 하악에 각각 6개씩의 임플란트를 최적의 위치에 계획하였다. 정밀한 surgical guide 이용하여 미리 계획된 위치와 방향으로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시행하였다. 즉시 사용 가능한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미리 제작해 수술 직후 장착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으며, 이를 6개월간 평가하여 심미적이며,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최종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었다.

무절개 수술을 이용한 맞춤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즉시 장착 증례 (Immediate Connection of Customized Zirconia Abutment Using Flapless Guided Surgery: A Clinical Report)

  • 이경제;최병호;김희준;정승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201-212
    • /
    • 2012
  • 임플란트 주위조직과 치아 주위조직은 조직학,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면이 있다. 특히 functional ankylosis라 불리는 티타늄과 연조직의 직접적인 상피부착은 치아주위 조직의 접합상피처럼 염증세포의 치근단으로의 이행 및 그로 인한 골흡수를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지대주의 착탈은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의 mucosal barrier를 파괴하여 골흡수를 야기할 수 있다. 만일 지대주의 반복적인 착탈 없이 수술 시에 보철 지대주를 채결한다면 골흡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기존의 수술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었으나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한 guided surgery를 이용함으로써 임플란트 식립의 3차원적 정확성의 비약적인 향상으로 이런 술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증례는 정밀한 CBCT를 통한 분석 후 지르코니아 맞춤 지대주를 미리 제작하고 수술 시에 즉시 지대주와 임시보철물을 연결한 경우로 임상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흉강경을 이용한 식도의 거대 평활근종 절제술 -치험 1예- (VATS Resection of Giant Leiomyoma of the Esophagus -1 case-)

  • 황호영;한국남;김주현;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8호
    • /
    • pp.715-717
    • /
    • 2004
  • 59세 여자 환자가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된 후종격동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술 전 시행한 식도조영술, 식도내시경 및 식도내시경적 초음파검사로 거대한 식도점막하 종양으로 식도근종이 의심되었다. 우측 흉강을 통해 흉강경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종격동 흉막과 식도근육을 종절개한 후 종양을 적출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식도조영검사에서 식도의 협착 및 누출소견은 없었으며 술 후 7일째에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경부 미주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 (Neurilemmomas of the Cervical Vagus Nerve)

  • 박정수;서광욱;김춘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56
    • /
    • 1991
  • 인체에서 발견되는 전체 신경초종중 $25{\sim}40%$가 두경부에서 발견되나 경부미주신경의 신경초종은 매우 희귀하여 1988년까지 영문문헌상 88 예가 보고되어 있다. 임상적으로 경부종괴가 주증상이며 때로는 애성, 종괴촉지시 기침 혹은 방사통, parapharyngeal space 의 종괴성장으로 연하곤란등이 초래되기도 한다. 치료는 종괴의 완전적출과 미주신경의 기능을 보존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로 되어 있다. 저자들은 최근 5년간 4 예의 정부미주신경외 신경초종을 경험하였는데, 3 예는 측경부의 상부에, 1예는 측경부의 하부에 발생한 것이었다. 연령은 25세에서 50세까지 성인연령이었고, 성별은 남자 l 예, 여자 3 예이었다. 내원시 주소는 전예가 무통성 경부종괴이었으며, 종괴의 크기는 직경 3cm에서 10cm까지 다양하였다. 전예에서 종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으나, 1 예에서 parapharyngeal space 의 거대종괴 때문에 다소간의 연하곤란이 있었다. 2 에에서는 종괴촉지시 기침이 유발됨을 호소하였다. 수술은 경부횡절개로 흉쇄유돌근을 제치고 총경 동맥과 내경정맥을 종괴의 상하부위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박리한 후 종괴의 피막을 미주 신경의 주행방향에 따라 절개하여 적출 (enucleation) 하였다. 적출술시 종괴가 유착되어 있는 피막 부위는 동시에 절제하되 미주신경의 신경경로 (neural pathway) 는 유지되도록 하였다. 수술직후 2 예에서 일시적 애성을 호소하였다, 추적은 최단 20 개월에서 최장 80 개월까지 하였는데 일시적 애성은 호전되었고 전예가 재발없이 건강하게 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종양수술은 종양적출술시 이환된 미주신경의 절단을 결정하기 전에 신경경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적출술 (enucleation) 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흉강경하 최소절개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폐쇄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s through a Video-assisted Mini-thoracotomy)

  • 민호기;양지혁;전태국;박표원;최선우;박승우;민선경;이재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68-572
    • /
    • 2008
  • 배경: 이미 여러 외과 영역에서 내시경수술이 보편화 되었고, 심장외과 영역에서도 그간 무펌프 관상 동맥우회술이나, 최소절개 또는 변형된 흉골절개 등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이 꾸준히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시야확보 및 체외순환을 위한 흉골절개의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둔감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로봇을 이용한 내시경 심장수술이 도입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저자는 기존의 흉강경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의 폐쇄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강경을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1{\pm}6$세였고 이들 중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였다. 술전 심초음파상 심방중격결손의 평균 크기는 $24{\pm}5mm$였고, 삼첨판을 통한 압력차는 $30{\pm}5$ mmHg로 측정되었다. 삼첨판 페쇄부전은 3명에서는 경-중도였고 나머지에서는 경도 이하였으며, 1명에서 경-중도의 승모판폐쇄부전이 동반되었다. 수술은 우측 내경정맥과 대퇴동-정맥으로 캐뉼라를 삽관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하고, 유방하구를 따라 $4{\sim}5cm$의 소절개를 한 뒤 제4늑간을 통한 작업창과 흉강경으로 시야를 확보하며 심내교정을 시행하였다.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는 11명에서는 자가심낭을 이용하였고 4명에서는 일차봉합하였다. 관련 술기로는 3예의 삼첨판 성형술과 1예의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시간은 $160{\pm}47$분, 대동맥차단시간은 $70{\pm}26$분이었다. 결과: 술 후 사망 또는 주요합병증은 없었다. 3예에서 수혈이 필요하였고, 흉관제거 후 기흉이 관찰된 1예와 창상치유가 지연되었던 1예, 일시적인 부정맥의 1예 외에 별다른 합병증 없이 술 후 $5.9{\pm}1.8$일째 퇴원하였다. 술 후 시행한 심초음파 상 잔여 단락은 없었으며, 삼첨판폐쇄부전은 전예에서 경도 이하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7{\pm}6.4$개월이었고 3명의 환자가 마지막 외래 방문 시 우측 가슴이나 대퇴부 안쪽의 감각이상을 호소하였으나 그 외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기존의 흉강경 장비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로 술 후 만족할만한 임상적, 미용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완전히 폐쇄된 공간 안에서의 수술이 아니고 작으나마 개흉이 필요하므로 향후 경험과 장비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한우 송아지에서 발생한 십이지장의 중복낭종 (Duodenal Duplication Cyst in a Korean Native Cattle)

  • 김종민;한태성;박진욱;강성수;김근형;최석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6-548
    • /
    • 2011
  • 위장관계 폐쇄가 있는 선천성 중복낭종은 사람과 동물에서 아주 드물게 발생한다. 생후 5일령의 한우 송아지가 초유를 한번 섭취한 후 식욕부진과 무배변 등의 임상증상으로 본 대학병원에 내원하였다. 시험적 개복술에서 십이지장 근위부위에 장간막 반대측 벽내에서 난원형의 종괴($16{\times}7$ cm)를 확인하였다. 종괴의 장막층을 절개하여 수양성 내용물을 흡인한 후, 종괴 내강을 통과하여 십이지장 점막을 절개하였고, 상하부 위장관계의 개통성을 확인하였다. 송아지는 수술 후 회복하여 수술 3개월 후에도 특별한 임상증상은 없었다.

Iontophoresis에 의한 고막의 국소 마취후 청력역치변화에 관한 통계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IONTOPHORESIS OF LIDOCAINE ON HEARING THRESHOLD)

  • 박재훈;박남미;이용배;채규룡;김병수;정수봉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2-9
    • /
    • 1987
  • 외래에서 고막에 대한 간단한 수술을 시행함에 있어 고막의 국소 마취법으로 iontophoresis(전기 영동법)은 오래 전부터 널리 시행되어 왔으나 와우나 전정신경계에 대한 독성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1973년 Comeau이후 여러 학자에 의한 일련의 동물 및 인체 실험결과 lidocaine 의 iontophoresis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실제 임상에서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근년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iontophoresis를 시행함에 있어 기구 자체의 금속성 물질에 의한 독성 및 사용 약물의 내이 침투에 의한 영향에 관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1983년 부터 1986년 12월까지 고려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고막절개를 위해 iontophoresis에 의한 lidocaine의 국소마취법을 시행받은 환자중 무작위로 추출한 39명(46이)을 대상으로 iontophoresis시행 전후의 청력상의 변화에 관한 청각학적 고찰을 시행하여 iontophoresis후 청력 역치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