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Operative Wound Protection on Surgical Wound Complications

수술 증 절개창 보호 방법이 수술 후 절개창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 Lim, Jin-Hong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g-So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Won-Hyuk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Oh, Sung-Ji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yung, Woo-Ji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Seung-H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Noh, Sung-Hoo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임진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성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최원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오성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형우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최승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노성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Purpose: Surgical wound complications remain a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and the cost of caring for patients with a surgical wound complication is substa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a vinyl wound protector to reduce the rate of wound complications when used in clean-contaminated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6 and September 2006, 295 patients with a gastric cancer that underwent gastric surgery were studied prospectively, and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wo groups: the no wound protector group (n=137) or the polyethylene protector group (n=132). Results: The demographics and operation type and operation time were similar for patients in both groups. The rate of wound complication was different between patients in the no protector group (n=42) and the polyethylene protector group (n=12) (P=0.001) and the rates of seroma (P=0.001), infection (P=0.030) and dehiscence (P=0.282) were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polyethylene protector group of patients (P=0.040). Conclusion: The use of a polyethylene protector resulted in a reduction of the surgical wound complication rate, and the cost of caring for patients, and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could be reduced.

목적: 수술 절개창 합병증은 의료진 및 환자에게 많은 노력과 비용을 발생 시킨다. 수술 절개창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중 하나로 수술 시 절개창 보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주로 절개창 감염에 국한된 연구였기 때문에 절개창 보호 방법이 절개창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 절제술을 시행받은 295예의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6년 5월부터 2006년 9월까지로 하였다. 수술 전 성별, 나이, body mass index, 음주 및 흡연력, ASA 분류를 조사한 후 환자의 동의를 얻어 무작위로 절개창 보호 방법을 결정하였다. 수술중 절개창을 보호를 하지 않은 비보호군(137명)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보호막으로 절개창을 보호하는 보호군(432명)으로 분류하였으며, 발생한 합병증과 합병증 치료 기간을 조사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절개창을 보호하지 않은 비보호군과 절개창을 보호한 보호군 간에 환자의 기본 인자 및 수술 관련인자의 차이는 없었다. 전체 절개창 합병증은 비보호군에서는 42예, 보호군에서는 12예가 발생하여 통계학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장액종은 비보호군에서 29예, 보호군에서 6예(P=0.001), 감염은 비보호군에서 13예, 보호군에서 4예(p=0.030), 열개는 비보호군에서 6예와 보호군에서 2예(P=0.282)가 발생하였다. 재원기간은 절개창 비보호군에서 $12.3{\pm}9.7$일, 절개창 보호군에서 $10.3{\pm}5.4$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0).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폴리에틸렌 보호막을 이용해 절개창을 보호하였을 때 전체 절개창 합병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술 중 보호막을 이용하여 절개창을 보호하여 절개창 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불필요한 치료 기간의 연장을 줄일 수 있다.

Keywords